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홍춘욱 경제팩트] 도시화율이 높을수록 잘사는 이유는?

정보통신사회가 되면서 '직접 접촉의 힘'이 더욱 중요해졌다

2017.05.01(Mon) 11:18:36

서울 강남 도심의 모습. 정보통신사회가 되면서 도시화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비즈한국]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모여 사는지 측정한 지표 ‘도시화율’은 어떤 나라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점치는 데 아주 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도시화의 수준이 20% 미만인 나라는 저개발국가일 가능성이 높으며, 반대로 도시화의 수준이 80% 이상인 나라는 이미 높은 수준의 1인당 소득을 기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시화율이 아주 낮은 상태에서 벗어나, 조금씩 높아지는 나라, 대표적으로 인도 같은 나라는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게 일반적이다.

 

인도의 도시화율과 경제성장률 추이. 자료: 세계은행

 

왜 도시화가 경제 여건을 측정하고, 더 나아가 미래 경제성장의 가능성을 점치는 데 도움이 될까? 땅값 비싸고 환경 나쁜 도시에 모여드는 게, 오히려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야 마땅하지 않을까?

 

이 의문에 에드워드 글레이저 박사는 그의 역작 ‘도시의 승리’에서 다음과 같이 답한다.

 

나가사키나 바그다드, 방갈로르처럼 국제적 교류를 전문으로 하는 도시들은 정보 수입에 능숙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을 육성한다. 그런 도시에서는 외국인들이 그곳 사회의 과학, 예술, 상거래의 샘플을 얻기에 편리하며 그 반대로 역시 성립한다.

 

방갈로르 같은 곳들이 이룬 성공이 국제적인 지적 교류의 결과로만 가능했던 것은 아니다. 이런 도시에서, 고용주들은 잠재 근로자들로 이루어진 대규모 풀(pool)에 매력을 느끼고, 근로자들은 풍부한 잠재 고용주들에 의해서 일자리를 얻는 선순환이 이뤄진다. 따라서 기업들은 엔지니어를 찾으러 방갈로르에 오고, 엔지니어들은 회사들을 찾아 나선다. 도시 규모 역시 근로자들의 이직을 훨씬 더 쉽게 만든다. -본문 59쪽

 

대항해시대부터 정보통신 사회에 이르기까지, 사람 사는 세상에 근본적인 차이는 없었던 셈이다. 아니, 정보통신 사회가 형성되면서 도시화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고도의 기업가적 산업에서는 근로자들이 이리저리 회사를 옮겨 다니면서 발전한다. 젊은이들은 고용주를 바꾸고 새로운 기술을 익히면서 생산을 높여 더 높은 임금을 받게 된다. 함께 일하는 직원 수가 많으면 특정 신생 기업의 파산에 대비한 암묵적 보험을 드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본문 59~60쪽

 

강남과 판교, 그리고 가산디지털단지에 그렇게 많은 정보통신 기업들이 모여 있는 이유를 이제야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이 대목에서 한 가지 의문이 더 제기된다. 스마트폰의 발전, 그리고 스카이프 등 다양한 원거리 소통도구의 발전이 도시화의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을까? 

 

이에 대해 글레이저 교수는 ‘직접적 접촉’의 힘은 생각보다 크다고 지적한다.

 

원거리 소통 능력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컴퓨터 산업은 지리적 집중화가 주는 혜택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사례가 되었다. 전자적으로 쉽게 연결이 가능한 기술 혁신가들도 직접 사람을 만나서 얻는 혜택 때문에 미국에서 가장 비싼 부동산을 구입하는 데 돈을 쓴다.

 

수많은 조사 결과들이 직접적인 접촉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다. (중략) 혁신은 실리콘밸리 같은 장소에 집중된다. 아이디어들은 대륙과 바다보다는 복도와 거리를 더 쉽게 가로질러 가기 때문이다. 특허 인용 건수도 인접성이 가진 지리적 이점을 입증해준다. 

 

1993년에 세 사람의 경제학자들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등록된 다른 특허들을 더 자주 인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들에 따르면, 특허 인용 건수의 20% 이상이 같은 메트로폴리탄 지역에서 나온 예전 특허들과 관련이 있었다. -본문 75~77쪽

 

컴퓨터 산업은 지리적 집중화의 혜택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가장 유명한 사례가 되었다. 다양한 IT 기업이 모여 있는 실리콘밸리 지도. 사진=Computer History Museum/Maryanne Regal Hoburg


쉽게 이야기해, 점심이나 저녁 식사시간에 편하게 만나는 사람들 사이에 혁신의 새로운 물결이 자란다는 이야기다. 

 

다들 거대도시(메트로폴리스)로 인재를 집중시키는데, 우리만 지난 10여 년간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그리고 더 큰 문제는 친밀한 관계를 맺는 사람들이 자주 만나는 자리에서 창의적 아이디어가 샘솟는다는 것을 애써 무시하는 듯한, 위계적 문화가 아직도 지배적이라는 점이다. 

 

경제적 변화에 비해 문화적 변화가 늦다는 걸 인정한다 해도 한국 사회는 아직 갈 길이 멀다. 문제를 제대로 아는 데에서 문제의 해결이 시작되는 법. 부디 지금부터라도 이 부분에 관심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이다. 

홍춘욱 ​ 이코노미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하이패션을 공유한다 '렌트 더 런웨이'
· 삼성전자의 지주사 포기는 '이재용 구하기'?
· 동영상▶롯데월드타워 개장, 축하만 할 일일까
· 삼성전자 '갤럭시S8' 충전 경고메시지 일괄 발송, 왜?

· [홍춘욱 경제팩트] 왜 세종시는 실리콘밸리처럼 안 될까?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