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 8] 이동구-평범한 일상을 다르게 보기
[비즈한국]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는 스타 작가 탄생에 초점을 맞춘 다른 공모전과 달리 민주적으로 작가를 발굴해 미술계의 텃밭을 기름지게 하려는 것이 목표다. 따라서 특정 경향이나 ...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 2022.06.27 월
[비즈한국]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는 스타 작가 탄생에 초점을 맞춘 다른 공모전과 달리 민주적으로 작가를 발굴해 미술계의 텃밭을 기름지게 하려는 것이 목표다. 따라서 특정 경향이나 ...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 2022.06.27 월
[비즈한국]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첫 관측 분기, Cycle 1의 상세한 계획이 공개되었다. 별과 행성이 태어나고 있는 원시 원반, 우주 끝자락에서 막대한 에너지를 토해내고 있는 블랙홀, 머...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6.27 월
[비즈한국] 최근 NASA는 놀라운 발표를 예고했다. 오는 7월 12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첫 번째 컬러 이미지와 분광 관측 데이터를 함께 공개하겠다고! 딸랑 사진 한 장이 아니라...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6.20 월
[비즈한국] 1977년 8월과 9월, 두 대의 보이저호가 연이어 지구를 떠났다. 벌써 45년째 우주를 떠돌고 있는 보이저 1호와 2호는 아직까지도 지구를 향해 매일 희미한 신호를 보내온다. 이미 둘...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6.13 월
[비즈한국]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는 스타 작가 탄생에 초점을 맞춘 다른 공모전과 달리 민주적으로 작가를 발굴해 미술계의 텃밭을 기름지게 하려는 것이 목표다. 따라서 특정 경향이나 ...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 2022.06.09 목
[비즈한국] 우리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주요한 존재,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그런데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이 둘을 혼동한다. 둘 다 이름에 암흑이 들어가다보니, 둘을 구분없이 섞어서 ...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6.06 월
[비즈한국] 2018년과 2019년, 천문학자들은 은하 두 개를 발견했다. 고래자리 방향으로 약 6200만 광년 거리에는 평범한 타원은하 NGC 1052가 있다. 이 은하는 주변에 크고 작은 꼬마 은하들을 여...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5.30 월
[비즈한국]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는 스타 작가 탄생에 초점을 맞춘 다른 공모전과 달리 민주적으로 작가를 발굴해 미술계의 텃밭을 기름지게 하려는 것이 목표다. 따라서 특정 경향이나 ...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 2022.05.27 금
[비즈한국] 지난주 전 세계 천문학계를 뒤흔든 매우 중요한 발표가 있었다. 우리 은하 중심부에 살고 있는 아주 거대한 블랙홀 궁수자리 A*의 모습을 드디어 실제 관측을 통해 확인했다. 이...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5.23 월
[비즈한국] 드디어 제임스 웹의 모든 장비가 관측 준비를 마쳤다! 제임스 웹은 적외선으로 우주를 관측한다. 그래서 굉장히 까다롭다. 온도를 갖고 있는 모든 물체는 적외선을 방출한다. ...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5.16 월
[비즈한국]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는 스타 작가 탄생에 초점을 맞춘 다른 공모전과 달리 민주적으로 작가를 발굴해 미술계의 텃밭을 기름지게 하려는 것이 목표다. 따라서 특정 경향이나 ...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 2022.05.12 목
[비즈한국] “이 넓은 우주에 우리뿐이라면 그것은 엄청난 공간의 낭비일 것이다.”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이렇게 이야기했다. 얼핏 생각하면 이 넓은 우주에 당연히 우리 말고 또 다른 존...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5.09 월
[비즈한국]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는 스타 작가 탄생에 초점을 맞춘 다른 공모전과 달리 민주적으로 작가를 발굴해 미술계의 텃밭을 기름지게 하려는 것이 목표다. 따라서 특정 경향이나 ...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 2022.05.04 수
[비즈한국] 몇 년 전 어느 강연장에서 있었던 일이다. 강연이 끝난 뒤 관객이 질문을 했다. “NASA는 왜 달 뒷면 사진을 공개하지 않나요?” 읭? 너무나 당황스러웠다. 아니 지난 몇십 년 ...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5.02 월
[비즈한국] 최근 연이어서 천문학자들이 발견한 역대 가장 먼 거리에 놓인 별과 은하의 놀라운 이야기를 소개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이런 질문을 남겨주었다. “우주 팽창의 중심은 대...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4.25 월
[비즈한국]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는 스타 작가 탄생에 초점을 맞춘 다른 공모전과 달리 민주적으로 작가를 발굴해 미술계의 텃밭을 기름지게 하려는 것이 목표다. 따라서 특정 경향이나 ...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 2022.04.19 화
[비즈한국] 지난 칼럼에서 허블 우주 망원경을 통해 역사상 가장 먼 우주에서 포착된 별 '에렌델'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그런데 단 며칠 만에 또 다시 천문학계에 새로운 신기록이 세워졌...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4.18 월
[비즈한국] 최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엄청난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바로 며칠 전 올해로 서른세 번째 해를 보내고 있는 대선배 허블 우주 망원경이 자신의 건재함을 보여주기라도 하...
지웅배 과학칼럼니스트 | 2022.04.11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