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한미약품 5연속 홈런, 타석은 계속된다

적자까지 감수한 투자, 밑지는 장사(?) 정부지원도 더해져

2015.11.17(Tue) 11:11:34

   
 

한미약품이 국내 제약 역사를 새로 쓰며 올 한 해에만 글로벌 다국적 제약회사들과 5건의 초대형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해 그 원동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각각 세계 1위 제약사인 존슨앤드존슨(얀센)을 비롯해 사노피(7위), 일라이릴리(10위), 베링거인겔하임(15위) 등과 총 65억 달러(한화 7조5000억 원)에 달하는 규모다. 우선 수개월 이내에 한미약품에 유입될 10%에 해당하는 7000억 원대 규모 계약금은 제약업종 상장기업이 지난해 올린 전체 당기순이익과 맞먹는 금액이다. 

이러한 대박의 이면에는 적자를 감수하면서까지 연구개발(R&D)에 올인 했던 약 사출신 임성기 회장의 선택과 집중과 함께 이관순 대표와 연구소 직원들의 집념과 끈기가 있었다.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톡톡한 역할을 해냈다. 

◆ 뚝심의 R&D 올인 통했다

   
▲ 임성기 회장

한미약품은 지난 2009년 연구개발(R&D)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을 재편하면서 신약과 복합제에만 집중하고 회사 캐시카우 역할을 했던 복제약(제네릭)과 단순 개량신약 개발을 전면 중단했다. 한미약품은 시장경쟁 심화로 매출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었지만 과감한 R&D투자로 정면돌파를 선택했다. 세계적으로 개발 중인 신약을 모두 모니터링하고 항암제, 면역질환 등 시장성이 높은 분야를 집중 연구했다. 

한미약품은 최근 15년 간 약 9000억 원을 신약 R&D에 투자했다. 이중 최근 5년 동안에만 52288억원을 R&D 비용에 집중 투자했다. 파이프라인의 임상 단계가 높아진 만큼 더 많은 비용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한미약품의 매출액 대비 R&D 비중은 지난 2007년부터 10%를 넘어섰고 2012년 13.5%, 2013년 15.8%, 지난해 20%를 넘어섰다. 이러한 R&D비중은 한국 기업 전체를 봐서도 매우 드문 사례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출원된 특허만도 289건이며, 올 1월 기준 연구원은 438명이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칠순이 넘은 임성기 회장은 이관순 사장을 수시로 불러 R&D 진행 현황보고를 듣고 논의한다. 임 회장은 매주 열리는 R&D 관련 임원회의도 주재해 기술수출과 관련한 세세한 부분까지 직접 챙긴다.

기술 수출과 관련한 모든 최종 결정도 임 회장이 직접 내린다. 임 회장은 제값을 받고 기술을 수출하겠다는 원칙을 철저히 고수한다. 글로벌제약사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을 적기에 개발하다보니 다국적 제약사들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좋은 조건에 계약을 체결하게 됐다는 후문이다. 

한미약품이 글로벌 제약사인 사노피, 얀센과 총 6조원 규모의 기술수출에 성공한 배경에는 자체 개발한 핵심 기술인 ‘랩스커버리’가 있다. 한마디로 약효 지속 기간을 늘려 약 투여량과 횟수를 줄여주는 기술이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13년 동안 랩스커버리 기술과 씨름했으며 R&D 비용의 60~70%를 이 기술에 투입됐다. 

한미약품의 가능성은 현재진행형이다. 한미약품 파이프라인 창고엔 25건의 유망한 과제들이 임상시험을 단계별로 거치며 개발중이다. 특히 최근 약 6조원에 수출된 랩스커버리 기술이 적용된 성장호르몬 치료제와 항암제 파이프라인이 유력한 다음 주자로 꼽힌다.

   
 

◆ 한몫 단단히 한 정부, 수지 타산은 몇점? 

한미약품 성과에는 정부도 한몫을 단단히 했다. 정부는 신약개발 전 단계에 걸쳐 부처 간 칸막이를 제거해 우수한 프로젝트를 발굴·지원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3개 부처가 공동 투자한 범부처 신약개발사업단을 운영하고 있다. 

신약개발사업단은 2012년 7월부터 40개월간 한미약품의 당뇨병 신약 임상 2상에 총 80억 원을 출연했다. 한미약품도 80억 원을 부담하는 50대50 구조로 총 160억 원이 투입돼 글로벌 임상과 제품화 연구 성과를 사노피사에 이전하게 됐다. 임상 2상은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므로 장시간과 고비용이 요구되는 분야였지만 정부의 도움으로 한미약품은 숨통을 틔웠다. 

이관순 사장은 “사노피로 기술이전이 성사된 프로젝트는 복지부와 신약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성숙된 과제라는 점에서 뜻 깊다”고 강조했다. 
한미약품은 이번 당뇨 신약 기술 수출 계약으로 약 5조원의 기술이전료를 받게 됐다. 하지만 정부는 80억 원 투자 금액 가운데 불과 24억~32억 원 만을 한미약품으로부터 돌려받게 될 전망이다. 

국가연구개발사업규정상 정부출연금 기술료 징수규정을 보면 정부는 출연금 중에서 중소기업은 10%, 중견기업은 30%, 대기업은 40%를 돌려받는다. 한미약품은 그간 중견기업으로 분류돼왔고 이번에 대기업으로 바뀐다 해도 정부는 출연금의 30~40%만 받게 된 것. 

사업단 관계자는 "신약개발에 대한 투자는 정부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국내 제약 산업 경쟁력 강화와 발전에 있다"라며 "논의 중이라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징수규정을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복지부는 한미약품이 올해 7월 독일 베링거인겔하임과 라이센스 계약을 맺은 폐암 치료제 '포지오티닙'의 임상시험 비용 37억 원도 지원했다. 

복지부는 신약개발사업단 출범 이후 14건의 기술이전에 따른 정액 기술료 합계만 5조원에 육박한다고 집계했다. 신약개발사업단은 오는 2020년까지 총 1조600억 원(정부 5300억, 민간 5300억)이 투자되는 글로벌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주도한다. 

장익창 기자

sanbada@bizhankook.com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