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소비주도형 성장전략 추진으로 패러다임을 바꾸면서 우리 정부와 기업들이 맞춤형 대응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정부는 최근 내년부터 시행될 5개년 계획부터 성장 목표를 기존 7.0%에서 6.5%로 하향조정했다. 서비스업 비중확대, 도시화율 상승 등을 괴하는 한편,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중 확대 등 고부가 제조업 육성을 위한 기초 여건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5일 '13차 5개년 계획으로 본 중국 경제의 향방' 보고서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중국 내수시장 공략에 힘써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구원은 1980년부터 2010년까지 10%대의 고도성장을 이어가던 중국은 2011년 12차 5개년 계획에서부터 내수중심의 성장전략을 표방하고 7%대의 중성장을 용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중국의 산업 구조가 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하고, 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정책 노력도 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GDP 대비 서비스 산업 비중은 1990년 32.4%에서 작년 48.1%로 상승했는데 2013년에는 이미 제조업 비중을 추월했다. 한편 제조업 비중은 1990년 40.9%에서 2006년 47.4%까지 늘었지만 최근 몇 년간 비중이 하락하면서 작년 42.7%를 기록했다.
중국은 또한 에너지 안보 전략, 에너지 생산과 소비 혁명 등 미래 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계획도 수립·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중국내 지역 전반에 걸쳐 거대 경제벨트 업그레이드 전략이 추진될 예정이다.
아울러 금리자유화, 자본시장 개방 지속, 위안화 국제화 가속 등 금융시장의 시장화를 통해 금융 자유화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산업재편 산업 고부가가치화에 대비해 국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연구원은 중국의 산업고도화가 예상되면서 IT, 반도체 등 우리의 우위 산업 경쟁력이 지속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며 “우주, 항공 등 우리와 비교해 기술 우위를 보이고 있는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기술 협력 모색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현대경제연구원 한재진 연구위원은 "중국 경제의 둔화가 지속될 경우, 금융 및 실물 부문 모두 부실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로 인한 국내로의 리스크 전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 기업으로서는 중국이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동부지역뿐만 아니라 중·서부 지역 경제권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며 도로·철도·항만 등 인프라 구축 사업에 적극 투자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