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2002년 8월 민영화 됐음에도 주요 경영진의 낙하산 인사, 주력사업을 벗어난 몸집 불리기와 방만 경영 지속으로 경영 혁신에 대한 지적을 끊임없이 받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1월 KT 수장 자리에 삼성전자 출신 황창규 회장이 취임했다. 하지만 황 회장은 취임 이후 100일이 넘은 현재 안팎으로 터진 악재들을 수습하기에 급급한 나날을 보내며 정작 혁신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8300명이 넘는 인력 구조조정에다가 낙하산 인사 재현 등으로 뒷말까지 무성하다. 첫발을 내딛은 황 회장이 삼성의 DNA를 KT에 성공적으로 주입하는 데에는 아직도 갈 길이 멀어 보인다.
고비용 저효율 구조 고착
과거 한국통신의 유선통신 사업을 이어받은 KT. 무선통신 사업체로 출발한 경쟁사들과 단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지난해 말 기준 KT 직원 수는 3만2188명이었다. 이에 비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직원 수는 각각 4192명, 6780명에 불과하다. KT의 직원 수가 두 경쟁사 직원 수를 합친 것보다 3배나 많았던 셈이다. KT의 연간 인건비는 전체 영업비용의 15%를 차지한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인건비 5% 안팎보다 3배 이상높다. 고비용 저효율 구조가 고착화 된 셈이다.
이석채 전 회장 시절 KT는 본업인 유무선 통신 분야에서 경쟁력을 잃자 기업 인수합병(M&A)에서 살길을 찾고자 했다. 이로 인해 KT 계열사 수는 2009년 30개에서 57개로 늘어났지만 시너지 창출에 실패했다.
KT는 지난해 4분기 실적에서 영업 손실 1493억6800만 원, 당기순손실 3007억 원으로 창사 이래 첫 적자를 기록했다. 이대로 가면 공멸이라는 분위기가 고조된 가운데 황창규 회장이 지난 1월 27일 공식 취임했다.
8300명 퇴사, 대내외 악재 산적
황창규 회장은 취임 직후 비상경영을 선포했다. 황 회장은 ‘싱글 KT’를 외치고 있다. KT와 전 계열사가 한 몸처럼 같은 방향으로 나가야만 글로벌 1등 KT를 실현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 시작으로 자신의 연봉 30%를 깎은 데 이어 임원들로부터 연봉 삭감 결의를 받았고 전체 임원 수도 27%가량 줄였다.
KT는 단일 기업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의 직원 대상 명예퇴직을 실시했다. 경쟁사 대비 1조5000억 원이 더 들어가는 높은 인건비를 줄인다는 차원에서다.근속기간 15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명퇴에는 직원 총 8350명이 신청했는데 이중 8304명이 퇴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직원의 25.8%가 지난 달 30일 자로 KT를 떠났다. 이번 KT의 명퇴 규모는 지난 1998년 5184명, 2003년 5497명, 2009년 5992명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KT는 이번 구조조정으로 연간 7000억 원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고 본다. 2015년 1월부터 임금 피크제를 도입하고, 대학 학자금 지원제도 폐지 등 복지도 축소한다.또한 KT는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 236개 지사를 통합해 79개로 광역화하고 지사 하부 조직으로 181개 지점을 신설했다. 이를 통해 현장 영업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
황 회장은 경영혁신을 외쳤지만 취임 후 100일이 지난 현재 연달아 터진 악재들로 인해 뒷수습에 급급한 나날을 보냈다. 정작 KT의 경영혁신과 관련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의 취임 직후 2월 자회사 KT ENS 직원이 연루된 3000억 원대 사기 대출 사건이 터졌다. 3월에는 홈페이지가 해킹 당하며 1200만 명의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불법보조금 금지위반으로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45‘역주행 경영’ 비판 시각도
황 회장 취임 이후 일련의 움직임과 관련해 KT 안팎의 분위기는 뒤숭숭하다.지난 8일 KT새노조, 참여연대 등은 KT 광화문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규모 구조조정, 낙하산 인사 등을 거론하며 황 회장이 '역주행 경영'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KT 측은 명퇴를 실시하면서 신청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불이익은 전혀 없다는 입장을 보여 왔다. 하지만 명퇴 과정에서 KT가 대상 직원들에 대해 강제 퇴사를 압박했다는 정황과 증거들이 속속 제기되고 있다.
KT는 명퇴 거부 잔류자들을 비연고지에 배치하거나, 성별을 불문하고 통신구 작업을 강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통신구 작업은 맨홀에 들어가고 전신주에 올라 통신설비를 설치, 정비하는 일이다. 이 때문에 많은 여성 직원들이 명퇴를 신청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KT새노조 지적이다.
희망근무지 불응자에 대한 막말 전화내용도 공개됐다. KT 한 간부는 명퇴 대상 직원에게 “경고하는데 내가 너 잘되게는 절대 못한다. 너 그딴 식으로 살면 블랙리스트 올라간다”라며 말하고 있다.
KT가 명예퇴직 유인책으로 내세운 자회사들에 대한 재취업 보장에 대한 논란도 적지 않다. KT는 명퇴자들이 원할 경우 KT M&S, ITS(고객서비스법인)에 2년간 재취업 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재취업을 할 경우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으로 연봉도 적게 받는데다가 명예퇴직금 가운데 4000만 원 가량이 삭감돼 재취업의 의미가 없다고 명퇴자들은 지적한다.KT는 성과에 따라 임금을 삭감하거나 면직 및 퇴직을 종용하는 상시적인 구조조정을 지속할 전망이다.
취임 이후 황 회장의 인사 문제도 잡음이 발생했다. 황 회장은 주요 계열사인 KT스카이라이프 사장으로 이남기 전 청와대 수석을 임명해 낙하산 인사 논란을 야기했다. 또한 삼성 출신 인사들을 요직에 앉혀 ‘황 창규 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성희롱 전력으로 문제가 됐던 삼성화재 출신 임원을 윤리경영실에 영입했다 취소하는 일도 벌어졌다.
KT가 황창규 회장 체제 아래에서 해결되지 않은 곪은 상처들을 어떻게 수습해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sanbada@bizhank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