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중기, 교역환경 변화 대응 수출전략 마련해야"

2015.08.06(Thu) 09:12:48

   
 

2011년 이후 부진한 중소기업 수출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교역환경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수출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6일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11년부터 국내 중소기업 수출이 부진에 빠진 이유로 변화하는 교역환경에 대한 미흡한 대응력과 가격경쟁력 저하를 꼽았다.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O2O(Online to Offline) 마케팅, FTA와 한류 활용 등의 새로운 수출전략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수출증가율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1.3%로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수출증가율(5.6%)을 크게 밑돌았고 올해 들어서도 5월(누적기준)까지 전년동기대비-6.3%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전체 수출 가운데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9년 21.1%에서 2014년 18.0%로 하락하였으며 올해 들어 17.7%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중소기업 수출 부진의 원인으로 교역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 부족을 지적했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가공단계별 수입금액 비중을 살펴보면, 2011년을 기점으로 가공무역과 관련 있는 중간재 비중은 2011년 63.3%를 고점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자본재 비중도 16%선에서 정체된 반면 소비재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한상의는 “과거에는 신흥국은 생산, 선진국은 소비라는 국제분업구조가 형성됐으나 최근에는 국가간 기술격차가 축소되고 신흥국 소득이 증대되면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중간재, 자본재의 수입을 줄여 자체 생산하는 대신 소비재 수입은 늘리는 등 세계교역구조가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우리나라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2000년대 들어 단순 임가공무역을 억제하며 중국 전체무역에서 가공무역의 비중은 2005년 41.5%에서 2014년 26.8%로 크게 하락한 상태다. 

대한상의는 이어 중소기업 수출부진의 또 다른 원인으로 가격경쟁력의 저하를 꼽았다. 

국내 중소기업은 그동안 가격경쟁력에 의존해 수출을 해오고 있으나 엔저 등으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코트라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수출제품의 가격경쟁력지수는 2011년 52.7에서 2013년 49.6으로 기준치인 50 아래로 떨어졌으며 2014년 48.3, 2015년 상반기 47.4로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가격요소만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버티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 비가격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성호 경기대 교수는 “세계교역 침체, 엔저 등 대외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전통적인 수출지원 수단 확대만으로는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활성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해외 내수시장을 직접 공략하고 시장개척 경로를 다변화하는 등 수출지원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세계교역시장에서 비중을 늘려가는 소비재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온-오프라인 연계 마케팅, FTA와 한류의 전략적 활용 등의 새로운 수출전략 마련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먼저 대한상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이른바 O2O(Online to Offline) 마케팅을 활성화해 해외 현지시장을 직접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O2O 마케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하는 마케팅 전략을 말한다. 

시장조사기관인 이마케터에 따르면 글로벌 B2C 전자상거래 규모가 2013년 1조 2330억 달러에서 2018년에는 2조 3560억 달러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오프라인 해외마케팅 지원이 주를 이루고 온라인 해외마케팅 지원은 일부에 불과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계 지원도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상의는 “국내 중소기업 제품의 미국 아마존이나 중국 알리바바 등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입점 지원을 강화하고, 해외에 설치된 중소기업 제품전용매장과 현지 온라인 유통망을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한·중 FTA 등 FTA로 넓어진 경제영토에 대응해 수출유망품목을 발굴해 전략적으로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대한상의는 조언했다. 

대한상의는 “중국내수시장의 확대, 한류 확산 등으로 소비재 품목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특히 관세율 인하 효과가 크고 성장세가 기대되는 생활용품/뷰티, 가전, 식품 분야 등의 품목들이 유망할 것”이라며 “수출유망품목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하고 통관절차 및 시험검사 등 비관세장벽을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류를 활용해 중소기업 제품을 해외시장에 적극 진출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현재 한류 문화콘텐츠와 제품수출이 연계된 해외마케팅은 초보적인 단계로 이를 본격화하여 한류 관련 소비재 수출 확대에 불을 지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한류 관련 소비재 수출은 2007년 93.5억달러에서 2014년 146.2억달러로 56.4% 증가했으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6%(2014년 기준)로 높지 않다. 따라서 한류 확산 효과가 큰 중국, 일본, 홍콩 등의 국가를 적극 공략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상철 기자

csc@bizhankook.com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