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7개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선정해 오는 2018년까지 공공인프라 구축 등에 1조3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또 종전의 뉴타운 개발 등 일률적인 전면철거 방식이 아니라 계획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에 주민이 주축이 되어 해당 지역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도록 맞춤형 재생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을 발표했다.
우선 서울시는 1차적으로 27곳의 도시 재생 지역을 선정했다. 크게 △쇠퇴·낙후 산업지역 3개소 △역사·문화 자원 특화지역 7개소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 5개소 △노후 주거지 12개소다.
쇠퇴·낙후 산업지역 가운데 세운상가, G-밸리, 장안평 중고차 매매단지 일대 등 3곳이 1단계 사업대상으로 선정됐다. 용산전자상가나 온수산업단지 등 준공업지역 등에 대해서는 기본계획 수립이후 공감대 조성 등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역사·문화자원지역은 세종대로, 마포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남산 예장자락, 당인리발전소, 낙원상가 돈화문로, 돈의문 일대 등 7곳이 우선 재생된다.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은 서울역, 창동상계, 영동 국제회의·인센티브관광·컨벤션·전시회(MICE), 광운대역, 상암·수색 등 5곳에서 재생 사업이 우선 추진된다.
노후주거지역은 뉴타운 해제지역 등 12지역이 1단계 사업대상으로 선정됐다. 구체적으로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동 등 뉴타운 해제지역과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북한산주변, 서촌,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 상도4가동 등 지역특성관리지역 12곳이다. 아울러 이미 추진중인 주거환경관리사업에 대해서도 새로운 모델로 전환시켜 가기로 했다.
특히 서울시는 노후주거지역에 대해서는 뉴타운의 대안으로 '통합형 주거지 재생모델'을 도입한다. 종전처럼 획일적인 재개발·재건축 방식이 아닌 한 구역 내에서도 주거환경관리, 가로주택정비, 주택개량 지원 등이 다양하게 적용된다. 원할 경우 개인주택을 스스로 개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주택개량 융자지원, 집 건축 등을 위한 종합정보 서비스망 구축, 주택관리지원센터 건립 등의 지원책이 마련된다.
우선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북한산주변, 서촌,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 상도4동 등 지역특성관리지역 12개소가 1단계로 추진된다. 이미 추진 중인 주거환경관리사업에 대해서도 새로운 모델로 전환해 나가기로 했다.
또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원하는 경우에는 임대주택매입비용 현실화, 융자한도 증액, 이자율 인하 등 활성화 기반도 마련키로 했다. 뉴타운과 관련해 아직 갈등단계에 있는 343곳에 대해서는 상활별로 대책을 추진한다. 추진가능구역은 융자금액 확대 등 공공지원을 강화하고 갈등정책구역은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갈등 해소에 나선다. 추진곤란지역은 특별대책 강구책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서울시는 이번 도시 재생 사업에 2018년까지 약 1조3700만원을 투입한다. 시투자기관인 SH공사가 재생사업 실행을 맡는다. 이런 맥락에서 SH공사는 동북권의 중요한 광역거점 복합개발사업인 창동·상계 신경제 중심지 조성을 위한 1단계 붐업사업에도 시행자로 참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