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제조사 팬택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개시 여부가 5일 결정된다.
4일 금융권 관계자는 “팬택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5일 오후 여의도 본사에서 제1차 채권금융기관 협의회를 열고 팬택의 워크아웃 신청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논의한다”면서 “팬택의 채권기관은 산업은행 의결권 40%, 우리은행 30%, 농협은행 15%, 신한은행 3%, 대구은행 3%, 하나은행 2.5%, 국민은행 1.2%, 수출입은행 1%, 신용보증기금 등 9곳이다”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의결 비율 기준으로 채권단의 75% 이상이 동의하면 워크아웃이 개시된다”면서 “현재로선 워크아웃이 개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 된다”고 밝혔다.
반면 산업은행 관계자는 “결과를 예단할 수는 없다”면서도 “워크아웃 가능성은 사실상 높다고 본다, 만약 워크아웃 개시가 가결된다면 회계법인 실사 후 출자전환, 이자 감면 등 채권 재조정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워크아웃 개시 이후 모든 의사결정은 채권단협의회 의결을 거쳐 진행된다”고 설명하면서 워크아웃 부결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진 않았다.
앞서 팬택은 2007년 4월부터 2011년 12월 30일 까지 4년 8개월간 워크아웃 상태에 있었다. 만약 이번에 팬택이 워크아웃에 들어가면 워크아웃을 졸업한 지 약 2년2개월 만에 두 번째 워크 아웃에 들어가게 되는 셈이다.
뛰어난 기술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는 팬택이 이처럼 어려운 상황에 처한 이유는 국내외의 시장 환경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즉 국내외 스마트폰 시장이 삼성전자, LG전자, 애플 등 대형 업체들을 중심으로 판이 형성된 가운데 MS의 노키아 인수, 레노버의 모토로라 인수 등 글로벌 업체들의 인수합병과 같은 시장 경쟁이 격화되면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팬택의 입지가 좁아졌다는 것.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팬택은 작년 9월부터 국내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해외 사업을 줄이고, 무급휴직을 활용해 운영인력의 30%를 감축하는 등의 고강도 사업구조 혁신을 단행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팬택은 워크아웃 졸업 이후 6분기 연속 적자를 겪는 등 재무 안정성이 갈수록 취약해졌다.
또 팬택은 지난해 상반기 800억원에 가까운 자본을 유치했고, 같은 해 8월엔 산업은행 등 채권단으로부터 1천565억원의 자금을 지원받았지만, 작년까지 줄곧 적자를 내, 실적개선에도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