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에 입주한 국내 상장사들이 연평균 10% 이상 고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성공단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개성공단 입주 상장사 10곳의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평균 116.84%, 143.23% 증가했다. 연평균 성장률(CAGR)로 환산하면 매년 매출액은 10.16%, 영업이익은 11.75% 가량 성장했다.
개성공단은 지난 2004년 국내 기업이 첫 입주를 시작해 그해 12월 첫 제품을 생산하면서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후 지난 2013년 북한의 폐쇄 조치로 5개월간 가동이 중단되는 등 남북관계가 경색될 때마다 개성공단도 부침을 겪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성공단 입주기업이 지난 10년간 꾸준히 성장해 온 비결은 ▲낮은 인건비▲일정 수준의 노동력이 제공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개성공단의 인건비가 낮아서 입주 기업들의 경쟁력에 적지 않게 도움이 된다”며 “입주사들의 실적 향상 추세가 뚜렷해 주가에 반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는 처음으로 개성공단 입주기업에게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이 지원돼 관심을 끌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처음으로 개성공단 입주기업 1곳에 11억원을 지원하는 등 지방이전, 신·증설, 국내 복귀, 개성공단 입주기업 119개 업체에 총 1042억원을 지원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방기업 신·증설투자 80개사에 602억원(58%), 수도권에서 지방 이전 31개사에 386억원(37%), 국내복귀 7개사에 43억원(4%), 개성공단 입주 1개사에 11억원(1%)이 지원됐다.
5·24 조치 후 개성공단 지원 영업소도 증가
대북 신규 투자를 금지한 5·24 조치(천안함 폭침에 대응한 대북제재) 이후 개성공단 내 입주기업의 생산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영업소’도 꾸준히 늘어났다.
통일부에 따르면 개성공단 내 영업소는 총 91곳으로 이 가운데 47곳이 2010년 5·24 조치 이후 신규로 설치됐다. 영업소는 개성공단 내에서 물품을 직접 생산하지 않고 공단 입주 기업의 생산 활동을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면세점과 식당, 주유소, 편의점 등이 대표적 사례로 입주기업의 생산활동에 필요한 부품과 소모품, 근로자들을 위한 식자재와 생필품, 물류, 건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 영업소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 수는 총 58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관계 경색에도 불구하고 개선공단 입주기업의 전망은 밝다.
특히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개성공단의 원산지로 한국이 인정된 것도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한미FTA 협상 때는 미국 정부가 개성공단 제품을 한국산으로 인정하지 않아 제외됐었다.
글로벌화 위해 ‘3통’ 해소 및 인터넷 제공돼야
향후 개성공단이 더 발전하려면 글로벌화되어야 한다는 견해도 제시됐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현대경제연구원에 기고한 '개성공단의 국제화 추진 방안과 향후 과제' 보고서에서 "개성공단의 국제적인 법·규범의 도입, 외국기업의 유치 등을 통해 북측이 일방적 조치를 제어하는 한편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개성공단의 자생적 저항력을 키울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임 교수는 "개성공단을 국제적 수준의 산업단지로 확대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경쟁력을 갖춘 양질의 해외기업 유치가 필수적이다.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는 다수의 제3국 기업들이 진출할 경우 남북경협 전용 공단이 아닌 다국적 공단으로 진화하면서 개성공단을 도약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중FTA 체결에 따라 중국 기업의 개성공단 진출이 가시화될 전망도 제기된다. 중국은 그동안 북한에서 생산한 제품을 중국 단둥 등을 거쳐 수입해 왔는데 북한 근로자의 인건비가 낮은 만큼 개성공단에 입주해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을 생산하려는 중국 기업이 등장할 수 있다는 것.
임교수는 중국 등 개성공단의 외국인투자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돼야 할 과제로 ‘3통(통행·통관·통신)문제’으로 꼽았다. 임교수는 특히 외국계 기업들에게 인터넷 공급이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략물자 반출입 문제도 개성공단이 국제적 첨단복합단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돼야 할 과제로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