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국적으로 140여개의 사업지구에서 15조 원 규모의 토지 보상금이 풀릴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부동산 업계에서는 이 뭉칫돈이 어디로 흘러갈지에 대한 행방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올해 토지보상이 예정된 사업지구는 보금자리주택지구 5곳, 도시개발구역 12곳, 산업단지 48곳, 경제자유구역 4곳, 친수구역 2곳, 물류단지 4곳, 철도건설사업 7곳, 고속도로 건설사업 8곳 등 약 140군데에 달한다.
수도권에서는 모두 9조2700억원 가량의 토지보상금이 풀릴 것으로 관측된다.
예상보상가는 1조3700여억 원으로 추산되는 하남감일 보금자리주택지구가 이미 1월부터 보상금 지급을 시작했다. 오는 7월에는 과천지식정보타운 보금자리주택지구가 협의보상에 착수하는 것을 비롯해 모두 35곳에서 토지보상이 이뤄지게 된다.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는 예상 보상가 2400억 원에 이르는 울산테크노산업단지가 오는 5월 보상에 들어간다. 8월에는 9000억 원의 보상금이 풀릴 예정인 부산에코델타시티 친수구역이 보상을 시작하는 등 모두 32곳에서 토지보상이 진행된다.
충청권에서는 오는 3월 조치원 서북부지구 도시개발사업 등 30곳에서, 대구·경북권에서는 지난달 각각 보상에 돌입한 경산지식산업지구(예상 보상가 2200여억원), 수성의료지구(예상 보상가 4천억원)를 비롯해 모두 23곳에서 보상이 이뤄진다.
강원권에서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관련 사업인 원주∼강릉 철도사업(올해 배정예산 8000억원)을 포함해 총 12곳의 사업지구에서 토지보상이 진행된다.
그러나 올해 토지보상이 기대됐던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지구(예상보상가 8조8000억 원)는 출구전략의 미비로 토지보상 착수가 불투명한 실정이고, 하남감북 보금자리주택지구와 서울양원 보금자리주택지구는 주민들이 제기한 지구지정 취소 소송 결과에 따라 사업 계속 추진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풀리는 토지보상금은 예년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장기간에 걸친 부동산 불황의 여파로 LH 등 사업시행자의 자금난이 커지고, 사업 성공의 불확실성이 고조됨에 따라 따라 대규모 사업 지구가 대폭 축소된 대신 민관합동으로 시행되는 중소 규모의 사업지구가 크게 늘어난 것이 눈에 띈다는 게 관련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그렇다면 이 뭉칫돈들은 어디로 흘러갈까. 과거 토지 보상비는 상당 부분 부동산 시장에 재투자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교통부 조사에 따르면 29조원의 보상비가 풀렸던 2006년의 경우 보상비의 40~50% 정도가 인근 토지로 재유입 되거나 상가, 빌딩, 아파트 매입에 재투자 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를 비롯해 혁신도시, 기업도시 주변의 지가 상승률이 높았던 이유도 토지 보상금이 풀렸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토지보상비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돼 수도권 대토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거래 활성화로 이어져 수도권 지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규모 토지 보상으로 들썩이는 대표적인 지역인 하남시의 경우 토지 보상금을 받은 땅주인들이 다시 부동산에 투자하고, 지하철 5호선 연장 등 개발 호재로 외부 투자자가 몰리면서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다.
실제 신장동의 위치 좋은 상가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호가가 3.3㎡당 500만원 정도 올랐고, 시 외곽 농지들도 3.3㎡당 50만원 정도 오른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상가뉴스레이다 선종필 대표는 “아파트 가격 하락 대세론이 힘을 얻으면서 대형아파트에 대한 투자수요가 사라지고 대신 상가.건물 쪽으로 투자 수요가 옮겨가고 있는 상태”라며 “토지보상금을 받은 후 1년 내에 부동산을 매입해야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는 점을 유의해야 하고, 상가나 건물은 철저하게 수익성에 초점을 맞춰 투자해야 한다” 고 조언했다.
또한 “상가 투자시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금액 적게는 5억에서 많게는 30억 원대가 적합하며, 연 수익률 6%내외로 안정적인 수익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manim@bizhank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