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오롯이 작가를 지원하기 위한 기획으로 시작한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가 10년을 이어왔다. 처음 마음을 그대로 지키며 230여 명의 작가를 응원했다. 국내 어느 언론이나 문화단체, 국가기관에서도 시도한 적이 없는 유일한 일이었다. 그 10년의 뚝심이 하나의 가치로 21세기 한국미술계에 새겨졌다고 자부한다. 그래서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10년의 역사가 곧 한국현대미술 흐름을 관찰하는 하나의 시점’을 만들었다고 평가받는다. 이제 시즌11에서 한국미술의 또 하나의 길을 닦으려 한다.

회화를 해부해보면 여러 가지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매우 복잡하게 짜여 있다. 가치 있는 회화일수록 짜임의 농도가 높다.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내용과 형식이다. 이 둘의 관계는 ‘물과 그릇’과도 같다. 내용에 맞는 형식이 곧 좋은 회화의 조건이다. 내용과 형식이 맞으면 아름답지만 그렇지 못하면 예술의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다. 와인을 바가지에 부어 마신다면 어떨까. 그 맛 자체야 변함이 없겠지만 제맛을 느끼기는 어려울 것이다. 와인은 역시 와인잔에 마셔야 제격이겠지. 와인이 내용이라면 와인잔은 형식인 셈이다.
내용은 작가의 생각이다. 살아온 환경, 경험을 바탕으로 세상 보는 눈이 만들어진다. 이게 작가의 생각으로 발전해 회화에서 내용이 되는 셈이다. 형식은 내용을 담아내는 하드웨어로 기법이나 재료, 질감, 색감 등이 그것이다.


우리는 형식의 결과물을 보고 회화를 감상하게 된다. 그래서 형식이 회화에서 중요하며, 작가의 개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형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구성이다. 작가들이 평생을 바쳐 회화에서 찾으려는 것도 자기만의 구성을 만들어내는 일이다. 구성은 모든 예술에서 기본 틀을 만들어내는 뼈대와도 같다.
작곡은 구성의 진수를 보여주는 예술이다. 태생 자체가 추상인 음을 가지고 작곡가들은 구성을 통해 구체적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음을 배열하고 조합하는 기술이 곧 구성인데, 이를 통해 사람들은 감동하게 된다.
구성이 복잡하게 얽혀 보편적 감동을 전달해주는 예술은 영화다. 이 시대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로 자리를 굳힌 영화는 구성의 묘미가 빛을 발하는 장르다. 영화에서는 편집이라고 부르는데, 영상과 소리를 레고 블록 연결하듯이 짜 맞춰 감독이 하고자 하는 말을 전달하게 된다.

이미희 작가의 회화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도 구성의 힘이다. 그는 여행을 통해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엮어내는 작업을 한다. 그 이야기는 대단한 것이 아니다. 자신의 눈높이에서 본 세상, 자신의 살아온 환경, 세상과 부대끼면서 얻게 된 경험들이다.
이런 내용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려고 자신만의 독자적 형식을 만들어냈다. 드로잉펜으로 섬세하게 묘사하는 작업인데, 여러 가지 상황을 연결해 전통회화 분위기의 풍경으로 보여준다. 마치 산수화의 한 부분을 단색 톤으로 묘사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풍경을 형성하는 요소가 다양하다. 나무나 풀도 보이고, 바위나 바다, 집이나 자동차 또는 음식도 있다. 여러 가지 직업을 가진 사람과 남녀노소도 등장한다. 이 모두가 이미희 작가가 살아오면서 만났던 대상들이다. 이를 하나의 풍경으로 구성하는 솜씨가 탁월하다. 그래서 이미희 회화를 꼼꼼히 뜯어보게 된다.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writer@bizhankook.com[핫클릭]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1] 양지훈-다른 차원을 여는 문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1] 강명숙-미니어처로 빚은 세상
·
"한국 미술사의 관점을 만들다" 2025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전 개막
·
'2025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展' 지상전시2-표현의 영토를 넓히다
·
'2025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展' 지상전시1-부조리한 현실의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