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홈플러스 기업회생 둘러싼 MBK 의혹, 검찰 수사도 '속도'

금융위, 경영진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 이첩, 바로 압수수색 가능성도…변수는 '대선'

2025.04.21(Mon) 11:04:53

[비즈한국]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으로 논란이 된 MBK파트너스를 금융당국 안팎에서 곱지 않은 시선으로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수익 극대화를 지향하는 사모펀드가 기업 최대주주가 됐을 때 기업에 미치는 악영향을 이번 기회에 손봐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금융당국은 이번주 안에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 경영진을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이첩할 예정이다. 증권선물위원장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처리하는데, 금융당국은 홈플러스가 기업 회생을 준비하면서 단기 채권을 발행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패스트트랙 결정 과정에는 이미 검찰에서 파견된 검사들이 깊숙하게 관여해 금융당국과의 소통을 조율하기 때문에, 이르면 이번주나 다음주 안에 검찰이 압수수색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 3월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에 대한 현안 질의에 출석한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겸 MBK 부회장(왼쪽)과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 사진=국회사진취재단


#금융당국 수사 의지 ‘상당’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번주 초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 경영진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증권선물위원장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검찰에 통보할 계획이다. 23일 증권선물위원회의 정례회의가 예정됐는데, 그 전후로 검찰에 수사 이첩될 가능성이 높다. 

 

MBK파트너스 측은 홈플러스 신용등급이 강등된 지난 2월 28일부터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이것이 거짓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에 대해 조사해왔다. 그 결과 신용등급 강등 이전부터 하방 가능성에 관해 대화를 나누거나 관련 연락을 주고받은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진다. 

 

특히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위해 사전 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숨긴 채, 단기 채권을 발행한 것은 사기적 부정거래에 해당한다는 게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홈플러스 발행 기업어음(CP)·단기사채·카드 대금채권을 기초로 발행된 유동화증권(ABSTB) 등 판매 규모는 지난달 3일 기준 5899억 원에 달한다. 신용등급 강등 직전인 지난달 25일에는 하루에만 ABSTB 발행액이 820억 원을 기록했다.

 

기업회생에 들어가면 금융채무가 동결되는데, 이를 알면서도 채권을 발행하는 것은 채권 투자자를 기만하는 행위로 처벌받는다. 금융당국은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비롯해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 등을 검찰에 ‘수사 대상’으로 이첩할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MBK파트너스 사무실. 금융당국은 이번에 MBK파트너스를 기회 삼아 사모펀드에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겠다는 의지가 상당해 보인다. 사진=임준선 기자


금융당국은 MBK파트너스를 기회 삼아 사모펀드에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겠다는 의지가 상당해 보인다. 홈플러스 관련 자료를 검찰에 넘긴 이후에도 검사와 감리 등으로 MBK파트너스의 문제점을 찾아내겠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은 MBK파트너스에 이어 MBK 산하 투자자문사인 스페셜시튜에이션스(SS)까지 검사를 확대한 한편, 홈플러스 회계심사도 회계처리기준 위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강제성이 있는 감리 조사로 전환해 진행 중이다.

 

#SM엔터 때와 속도 비슷

 

이르면 이번주에서 다음주에 검찰 역시 MBK파트너스에 대한 강제수사(압수수색 등)에 나설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번 수사가 SM엔터테인먼트 인수 주가조작 사건 수사와 속도가 비슷하다는 점도 이 같은 관측에 힘을 보탠다. 지난 2023년 2~3월 카카오와 하이브의 협의로 SM 인수전이 마무리됐지만, 금감원은 불공정거래 의혹 조사 한 달 만에 패스트트랙 절차를 통해 검찰(서울남부지검)로 사건을 이첩했다. 이어 4월 18일엔 SM엔터테인먼트 본사까지 압수수색했다.

 

금융당국 파견 경험이 있는 검사 출신 변호사는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에 파견을 간 검사들의 업무 중 하나가 바로 이런 사건 처리에서 검찰과 금융당국의 의견을 조율하는 일인데, 이첩이 결정됐다는 것은 검찰이 수사에 들어갈 정도로 의심이 충분히 입증됐음을 의미하기에 검찰 역시 빠르게 수사에 착수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3월 18일 김병주 MBK 회장이 국회 정무위 긴급현안 질의에 해외 출장을 이유로 불출석한 것도 검찰이 빠르게 수사할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대형 로펌 파트너 변호사는 “MBK 측의 대응이 통상의 기업들과 다르게 ‘고자세’를 유지하는 부분도 금융당국이나 검찰에게는 곱지 않게 보일 수 있다”며 “다만 6.3 조기 대선 이전에 검찰 수사가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음 정부가 검찰과 금융당국에 어떤 가이드라인을 주는지가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차해인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현장] 홈플러스 기업회생 40일, 매장 곳곳에 '영업종료' 안내문
· 최윤범 회장, 고려아연 경영권 방어 성공…영풍·MBK '쓴맛'
· [유럽스타트업열전] 사모펀드 '먹튀' 논란, 유럽은 어떨까
· [비즈피플] 승승장구하다 홈플러스 사태로 멈칫,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 "1월 정산금 받았지만…" 홈플러스 입점업체 '가시지 않는 불안감'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