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1등의 비애? '수수료 논란' 홀로 맞는 배민

쿠팡 빠지고 배민만 국감 증인 채택…"이중가격제 논란은 경쟁사들의 견제" 의견도

2024.10.21(Mon) 14:45:30

[비즈한국] ‘배달의민족(배민)에 집중되는 공세’. 이중가격제 논란으로 불거진 배달 플랫폼 수수료 부담 논란에서 배민과 쿠팡이츠, 요기요를 향한 정치권·여론의 공세가 조금씩 다른 것을 놓고 나오는 평이다.

 

배민 배달기사. 이중가격제 논란으로 불거진 배달 플랫폼 수수료 부담 논란에서 업계 1위 배민에 공세가 집중되는 모양새다. 사진=최준필 기자

 

#배민, 홀로 국감 증인 채택 

 

21일 열리는 국회 정무위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는 배민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의 함윤식 부사장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이중가격제 등 소상공인의 배달 플랫폼 수수료 부담이 논란이 된 상황을 확인하겠다는 게 국감 위원들의 입장이다.

 

논란의 시작은 배민의 수수료 인상 안에서 촉발됐다. 배민은 2021년 배달 1건당 1000원의 수수료를 받았지만, 2022년 1월부터는 아예 음식값의 6.8%를 수수료로 받는 정률제를 도입했다. 그리고 지난 8월에는 수수료를 9.8%로 올린다고 밝혔다. 쿠팡이츠(9.8%)와 동일한 수수료까지 올린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소상공인들이 반발하고, 몇몇 프랜차이즈가 배달 가격과 매장 가격을 다르게 운영하는 ‘이중가격제’를 도입하면서 배달 플랫폼을 향한 비판이 거세졌다. 국정감사에 배달 플랫폼이 또다시 소환된 이유다. 

 

하지만 이날 국감 증인에서 쿠팡은 제외됐다. 당초 국회 정무위는 강한승 쿠팡 대표도 증인으로 부르려 했으나 여당 의원들의 반대로 불발됐다. 

 

#3사 중 유일하게 순이익

 

공정위 등 4개 부처가 배달 플랫폼, 입점업체와 함께 상생협의체를 진행하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도 배민에 더 관심이 쏠리는 흐름이다. 배민은 지난 8일 열린 상생협의체 6차 회의에서 배달 매출액 하위 입점업체에 수수료를 낮춰주는 안을 냈다. 향후 3년간 매출 상위 60% 업주에는 수수료 9.8%를 유지하고 60~80%의 업주에는 6.8%를 차등 적용하겠다는 제안이다.

 

하지만 이 제안은 상생협의체에 참가하는 소상공인연합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등 입점업체 단체들의 반발만 샀다. 

 

그렇다고 나머지 플랫폼 업체들이 적극적인 것도 아니다. 쿠팡이츠는 14일 열린 7차 회의까지도 수수료 인하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고, 이미 차등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있는 요기요는 매출 하위 점주들의 수수료 일부를 포인트로 다시 지급해 광고비 등에 쓸 수 있도록 하는 안을 제시하는 데 그쳤다.

 

배민과 쿠팡이츠, 요기요 등 3사의 시장점유율은 지난달 기준 배민 59%, 쿠팡이츠 24%, 요기요 14%로 총 97%다. 업계 1위인 배민이 타사 모델들을 검토해 적극적으로 안을 내고 있지만, 비판이 쏠린다는 분석이 나오는 대목이다. 

 

업계 관계자는 “배민이 업계 1위인 것도 맞지만, 3사 중 유의미한 실적(당기순이익 5062억 원)을 기록하다 보니 나머지 두 플랫폼 기업들에 비해 더 비판을 많이 받는 것 같다”며 “현재 수수료를 고려할 때 배민이 쿠팡이츠나 요기요보다 과도한 부분이 없는데 1등인 배민의 모회사가 독일이라는 이유로 정치권이나 여론의 비판을 더 받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중가격제 논란 놓고 ‘배민’ 탓도

 

배달 수수료 부담에서 비롯된 프랜차이즈 업체의 이중가격제 논란에 배민과 쿠팡이츠가 서로 충돌하는 일도 있었다.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이유로 맥도날드나 롯데리아 등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오프라인 매장 가격보다 배달 서비스 가격을 500~1500원 정도 높게 운영하는 책임을 놓고 쿠팡이츠가 배민을 저격한 것이다. 

 

쿠팡이츠가 “이중가격제는 경쟁사(배민) 문제 탓”이라고 저격하자 배민은 “사실을 왜곡했다”며 법적 대응 가능성을 시사했다. “업주가 부담하는 중개이용료는 9.8%, 업주 부담 배달비는 서울 기준 2900원으로 경쟁사와 동일한데 쿠팡이츠가 배민배달(배민 라이더가 배달을 수행하는 건)과 가게 배달(업주가 배달 대행사와 자율 계약해 배달하는 건)을 섞어 사실을 왜곡했다”는 반발이었다. 

 

이를 두고 배달 플랫폼들이 1위 배민을 견제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배달에 들어가는 인건비 등을 고려할 때 소비자에게 일정 부분 금액이 전가될 수밖에 없고, 이를 보전하려고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가격을 분리해 운영하는 것인데 ‘플랫폼 업체의 영리추구’만 질타하는 것은 아쉬운 면이 있다”며 “자사에 대한 비판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이를 통해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려다 보니 책임을 전가하는 홍보 전략도 등장하는 것 아니겠냐”고 풀이했다.​ 

차해인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부동산 인사이트] 금리 내렸지만…대출 규제 시기 4가지 대응 전략
· [알쓸비법] 전문경영인이 모두 '선의의 대리인'일까? 교묘한 사익 추구 수법들
· [알쓸비법] 공정거래법 개정 vs 단행법 제정…플랫폼 규제 둘러싼 두 가지 시선
· 22대 첫 국감 '스타' 꿈꾸는 국회의원들, 유통·배달업계는 '비상'
· 사면초가 '배달의 민족'…프랜차이즈·자영업자·쿠팡이츠와 전방위 대립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