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잊을만 하면 보안 사고" 통신 3사, 정보보호 투자 얼마나 늘렸나

KT 최대 규모·LG유플러스 투자액 43% 증가…매출 대비 0.5% 미만 "점진적 확대 지속해야"

2024.07.11(Thu) 17:29:25

[비즈한국] 사이버 공격과 개인정보 유출 리스크가 확대됨에 따라 지난해 통신업계가 정보보호 부문에 비용과 인력 투입을 늘리고 관련 조직을 정비하는 등 정보보호 활동을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3년 1월 18만 건의 고객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냈던 LG유플러스는 1년 간 정보보호 투자액을 43% 늘리며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큰 폭으로 증액했다. 각 사의 ESG 지표와 사업전략을 파악할 수 있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도 정보보안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태도 변화가 읽힌다. 다만 정보보호 투자액은 여전히 매출액 대비 1% 수준에 그친다. 해킹 위협 고도화되는 만큼 보안에 대한 전향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통신업계가 정보보호 부문에 비용과 전문 인력 투입을 늘리고 정보보호 활동을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에 위치한 통신사 대리점 전경. 사진=비즈한국DB


# 정보보호 투자액 전년 대비 16% 증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기업 정보보호 현황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통신3사의 정보보호 투자액은 2449억 5470만 원으로 전년(2103억 원) 대비 16% 늘었다. SK텔레콤의 유선 사업을 담당하는 SK브로드밴드(267억 원) 포함 시 지난해 보다 20% 증가한 총 2717억 원 규모로 역대 최대치다. 

정보보호 투자액과 전담 인력 규모가 가장 큰 통신사는 KT다. 2022년 기준 KT의 정보보호부문 투자액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합산치보다 많은 1034억 원 규모였다. 지난해에는 여기에서 17% 늘어난 1217억 5091만 원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안 인력 수는 업계 최대 규모인 337명이나 증가폭은 타사 대비 가장 적었다. 

지난해 초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보안 강화라는 중대한 과제를 지게 된 LG유플러스는 1년 간 정보 보안 고도화에 집중했다. LG유플러스는 정보보호 부문에 전년(442억)보다 43% 증가한 631억 7752만 원을 투자했다. 이는 SK브로드밴드를 제외한 SK텔레콤의 2023년도 정보보호 투자액을 넘어선 규모다. 

유출 사건 직후 LG유플러스는 정보보호 부문에 3사 중 가장 적은 돈을 쓰고 있었다는 사실로 비판을 샀다. 황현식 대표는 사건 한 달 뒤 기자간담회를 열고 “보안과 품질에 대한 투자 강화를 위해 연간 정보보호 투자액을 기존의 3배 수준인 1,000억 원으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2023년 말 전담인력은 157.5명으로 3분의 1 이상 늘었지만 임직원 대비 비율(3.2%)이나 인력 규모는 가장 낮았다.  

SK텔레콤은 유·무선 합산 기준 재작년 787억 원보다 10% 증가한 867억 7504억 원을 지난해 정보보호 부문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담 인력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343.3명이다. 

#‘정보 보호’ 우선순위로, 매출 대비 미미한 비중은 과제 

개인정보 유출 및 인터넷 접속장애 등 잇단 사고를 겪은 통신업계는 재발 방지와 보안 시스템 강화를 위해 대응 전략을 짜고 있다. 디도스(DDoS) 외에도 해킹, 랜섬웨어, 피싱 등 사이버 위협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데다 지능화·고도화되는 흐름 속에서 예방·관리의 중요성도 더욱 커지는 양상이다. 
 
각 사는 정보보안 교육을 강화하고, 법적 책임 문제와 과징금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보안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여전히 매출 대비 투자 비중은 낮다. 사진=비즈한국DB

 

최근 3사가 내놓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상에서도 이 같은 고민이 엿보인다. 3년치 보고서를 비교하면 3사 모두 비교적 후순위로 다뤘던 고객정보보호 문제를 점차 우선순위로 내세우는 추세다. 3사의 이중 중대성 평가에 따르면 SK텔레콤은 3대 핵심 사안인 ‘서비스 품질 관리 및 책임(3위)’과 ‘네트워크 퀄리티 향상(9위)’ 항목에서 ‘대형고장 제로화’ 등의 목표를 다뤘고 KT도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3위)’ 외에 중요도가 한 계단 오른 ‘고객정보보호 및 사이버 보안(8위)’ 등에서 전략을 밝혔다.

 

이중 중대성 평가는 기업의 재무와 ESG 관련 사안을 포괄적으로 살펴 그 기업에 가장 중요한 주제를 선정하는 작업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의 기초 작업이다. LG유플러스의 경우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보호’가 2순위 사안으로 꼽혔다. LG유플러스는 보고서에서 “환경·사회적 영향으로는 사고 발생 시 고객 프라이버시 침해 및 불편 야기, 이해관계자 신뢰 저하가 있고 재무적 영향으로는 정보보호 관련 법·규제 위반 시, 과태료/과징금 부과 및 이해관계자 신뢰도 저하로 인한 매출 감소가 있다”고 분석했다.

 

임원부터 구성원과 계약직까지 참여하는 전사 대상 정보보호 정기 교육도 강화 추세다.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연 2회, SK텔레콤은 1회 진행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대한 법적 책임을 따지는 소송은 장기적인 골칫거리다. 2012년 해킹으로 인해 고객 870만 명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낸 KT는 피해 고객들이 낸 17건의 소송을 진행해왔다. 법원은 기술적인 문제라는 이유로 KT의 손을 들어줬지만 10년 이상 법적 리스크를 떨쳐내지 못한 셈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과징금도 상당한 규모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정보 유출 사건으로 과징금 68억 원과 과태료 2700만 원 및 시정명령을 부과 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고 과징금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보안 체계를 고도화하고 안전망을 구축하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가 전반적으로 정보보호기술과 인력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입하는 흐름을 두고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지만 투자 비중은 여전히 아쉽다는 시각이 나온다. 연결기준 매출액과 비교하면 3사의 정보보호 투자액은 0.4%대 수준이다. 황석진 동국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보안에 있어서는 과해도 나쁠게 없다”면서도 “정보보호 부문은 비재무적 활동으로 분류하도 해 한꺼번에 확대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시스템 방호벽 등 물리적 설비, 기술 구축등 점진적으로 늘려갈 필요가 있다. 지금의 증가세를 유지하더라도 꾸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강은경 기자

gong@bizhankook.com

[핫클릭]

· HD현대 vs 한화오션, 울산급 호위함 4차 사업 두고 수주 경쟁 본격화
· [단독] '만년 적자' 해법은 거래 수수료 도입? 번개장터 고객 이탈할까
· [대기업 총수 자택 공시가격⑦] 평지보다 언덕, 한강뷰보다 '숲세권' 선호하는 회장님
· [K팝: 이상한 나라의 아이돌] '황금알 낳는 거위'는 과연 행복했을까
· 변호사가 쓰는 인공지능 '슈퍼로이어' 직접 써보니…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