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부동산 인사이트] '경기도 살기 좋은 아파트' 6개 단지의 공통점

상품·입지 아닌 관리가 선정 이유…투자가치 보장되진 않지만 주거의 장점 누릴 수 있어

2024.06.10(Mon) 15:08:35

[비즈한국] 경기도가 2024공동주택 모범·상생관리단지9월에 선정하기로 하고 참가 아파트를 모집하고 있다. 공동주택 모범·상생관리단지 선정 사업은 공동주택 우수 사례를 적극 발굴, 선정 및 전파해 입주민 주거복지 실현, 자치관리 기능 강화, 공동체 활성화 등 살기 좋은 공동주택 문화 조성을 위해 경기도가 1997년에 전국 최초로 시작해 올해로 28년째이며, 지난해까지 총 296개 공동주택이 모범·상생관리단지로 선정됐다.

 

경기도 2023년 ‘공동주택 모범·상생관리단지’는 △군포 금강펜테리움 센트럴파크 2차, △남양주 다산한양수자인 리버팰리스(사진), △용인 센트럴파크원, △수원 광교호수마을 호반써밋, △안양 더포레스트힐, △고양 일산두산위브더제니스 등 6개 단지였다. 사진=금강건설


공동주택 모범·상생관리단지 선정사업은 도내 의무관리 대상 공동주택과 150세대 이상 주상복합 아파트를 대상으로 세대 규모에 따라 150~500세대 미만, 500~1000세대 미만, 1000세대 이상의 3개 그룹으로 나눈다. 일반관리, 시설안전 및 유지관리, 공동체 활성화 , 재활용 및 에너지 절약 이상 4개 분야에 17개 항목과 층간소음 관리위원회 구성, 경비원 고용계약 개선 등 우수사례에 대해 1차 시군 평가 및 2차 경기도 평가를 거쳐 그룹별로 2개 단지씩 총 6개 단지를 선정하는 것이다.

 

선정 단지에는 경기도가 인증하는 모범·상생관리단지 인증동판과 도지사 표창이 수여되며 경기도가 직접 실시하는 기획감사를 3년간 유예하는 혜택도 부여한다. 또한 그룹별 1, 3개 단지는 국토교통부의 우수관리단지 선정평가에 경기도 대표단지로 추천된다.

 

그렇다면 공동주택모범 상생관리단지는 실제 어떤 아파트들이었는지 살펴보자.

 

경기도 2023공동주택 모범·상생관리단지6개 단지다. 선정된 단지는 군포 금강펜테리움 센트럴파크 2, 남양주 다산한양수자인 리버팰리스, 용인 센트럴파크원, 수원 광교호수마을 호반써밋, 안양 더포레스트힐, 고양 일산두산위브더제니스 등 6개 단지였다.

 

이중 그룹별 13개 단지인 군포 금강펜테리움 센트럴파크 2, 남양주 다산한양수자인 리버팰리스, 고양 일산두산위브더제니스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우수관리단지 선정 평가에 경기도 대표 단지로 추천됐다.

 

선정된 이유는 아래 표와 같다.

 



그룹별로 한 단지씩 살펴보자. 먼저 500세대 미만 1그룹에서는 군포 금강펜테리움 센트럴파크 2차가 선정됐다. 201810월 입주 시작한 아파트로 447세대, 주차대수는 세대 당 1.31대다. 건폐율 13%, 용적률은 174%이다. 전용 84의 최고 시세는 7억 원이었고, 현재는 6억 원대 시세가 형성돼 있다.


군포시에서 가장 시세가 높은 아파트는 힐스테이트 금정역이다. 144000만 원까지 거래된 바 있다. 가장 새 아파트이기도 하고, GTX-C 초역세권이기 때문에 가장 높은 시세가 형성돼 있다. 두 번째로 시세가 높은 아파트는 래미안 하이어스다. 2010년 입주한 구축 아파트지만 산본신도시에서는 가장 시세가 높은 아파트다. 군포 금강펜테리움 센트럴파크 2차가 있는 도마교동에서 시세가 가장 높은 아파트는 군포 금강펜테리움 센트럴파크 3차 아파트다. 2차 대비 3년 더 신축이다.

 

경기도에서 해당 아파트를 선정한 이유로 관리비 공개, 회계감사 결과 및 계약서 공개, 입주자대표회의 구성원 교육 이수 등이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하주차장 및 조경 관리상태 등이 우수함이라고 평가했다.

 

두 번째 단지는 남양주 다산한양수자인 리버팰리스다. 201712월 입주한 아파트로 현 시점 남양주시에서 가장 시세가 높은 단지다. 곧 개통될 별내선 연장선의 역세권 호재가 있고, 왕숙천이라고 하는 천혜의 자연환경, 그리고 상업시설이 가장 잘 구축돼 있는 단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기도 살기 좋은 아파트 선정 이유가 특징적이었다.

 

공동체 생활 담당이사를 두어 공동체 사업에 대한 컨설팅을 받고 다양한 주민들의 요구에 맞는 화합행사를 꾸준히 개최하고 있음

 

상품도 아닌, 입지도 아닌, 결국 어떻게 관리가 되고 있는지가 우수 평가 이유였던 것이다.

 

경기도에서 살기 좋은 아파트로 선정됐다고 투자가치가 보장되진 않는다. 하지만 단지 관리 자체가 잘 되고 있다는 것에 대한 검증 결과는 될 듯하다. 단지 관리가 잘 되는 아파트에 사는 것도 즐거운 주거생활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주거지 선택에 있어 하나의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혹시라도 현재 거주하는 단지의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면 이렇게 공식적으로 잘 되고 있다고 검증을 받은 단지들의 노하우를 벤치마킹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필명 빠숑으로 유명한 김학렬 스마트튜브 부동산조사연구소장은 한국갤럽조사연구소 부동산조사본부 팀장을 역임했다. 네이버 블로그 빠숑의 세상 답사기와 유튜브 스튜TV’를 운영·진행하고 있다. 저서로 서울 부동산 절대원칙(2023)’ ‘인천 부동산의 미래(2022)’ ‘김학렬의 부동산 투자 절대원칙(2022)’ ‘대한민국 부동산 미래지도(2021)’ ‘이제부터는 오를 곳만 오른다(2020)’ ‘대한민국 부동산 사용설명서(2020)’ 등이 있다.​​​​​​​​​​​​​​​​​​​​​​​​​​​​​​​​

김학렬 스마트튜브 부동산조사연구소장​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부동산 인사이트] '미분양 줍줍' 실패하지 않으려면
· [부동산 인사이트] 1기 신도시 재건축 '2030년 입주' 실현 가능성은?
· [부동산 인사이트] 갭투자 시 반드시 할 것과 피할 것
· [부동산 인사이트] 3년 만에 50억에서 120억 원 된 나인원한남
· [부동산 인사이트] 12억 둔촌주공 고분양가 우려했지만 지금 20억 넘어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