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같이의 가치’라는 말이 있다. 10여 년 전 한 기업의 이미지 광고에 등장한 말이다. 함께하는 힘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의미를 지닌 멋진 카피다. 같이 한다는 것은 공감 혹은 소통을 뜻하고, 이 힘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수 있다. 예술도 사람들의 공감을 얻었을 때 가치를 지닌다. 공감은 시대정신과 보편적 예술 언어에서 나온다.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도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을 쉬운 미술 언어로 보여주고자 한다. 시즌 10을 맞으면서 공자가 말한 ‘좋은 예술은 반드시 쉬워야 한다’는 생각을 실천하려는 작가를 응원한다.
회화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표현 언어는 붓질이다. 회화는 평면에다 이미지를 그리는 행위에서 시작한다. 그리는 행위를 받쳐주는 동작의 기본이 바로 붓질이다. 전문가 집단에서는 그리는 행위를 ‘드로잉’, 붓질을 ‘터치’라 칭한다.
붓질이 독립적 표현 언어로 대접받기 시작한 것은 미술사 전체에서 보면 아주 최근의 일이다. 붓질은 터치를 드러내지 않고 사물을 실감나게 표현하는 기법의 하나로 오랜 시간 존재해왔다. 쉽게 말하면 사진처럼 매끈하게 그리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던 셈이다.
붓질이 터치의 가치를 보여주기 시작한 것은 인상주의 시대가 열리는 19세기 중반에 이르러서다. 이런 흐름의 기초를 제공한 것은 18세기 바로크 회화의 대표격인 화가들이다. 네덜란드 회화를 미술사 반열에 올려놓은 렘브란트와 스페인 바로크 회화의 거장 벨라스케스의 작품에서 붓질의 의미가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사물을 묘사하기 위해 붓질을 이용하지 않고 붓질의 효과로 사물을 생동감 있게 표현해냈다. 미술사에서는 이런 붓질을 ‘회화성’이라고 부른다.
붓질이 그 자체로서 표현 언어의 위치를 부여받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 추상 회화의 출현에 의해서다. 추상 회화는 이미지를 담아내는 그림이 아니다. 붓질을 비롯한 색채나 재료의 성질 등에 가치를 두는 회화다.
추상회화 중에서도 붓질의 효과에 최고의 가치를 두는 흐름은 추상표현주의의 한 축을 이룬 ‘타시즘’이다. 1950년대 유럽과 미국에서 나타난 타시즘은 ‘얼룩’이라는 뜻의 프랑스어 ‘타슈’에서 나온 말이다. 작가의 자유로운 붓질을 중히 여기는 경향이다. 따라서 필력과 거친 붓질, 붓질의 흔적에 의한 점 등으로 그림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는 작가의 숙련된 손놀림과 순식간에 빈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직관력 없이는 불가능한 작업이다. 오랜 역사를 가진 서예의 기본인 직관적인 제작 태도를 보인다는 점에서 ‘서법적 추상’으로도 불린다.
우리나라 추상회화에서도 붓질의 효과로 유명세를 확보한 작가들이 있다. 21세기 한국 추상미술의 대가로 대접받는 이강소, 이우환, 이건용이 대표적이다. 이 중 이우환은 서예로 단련한 붓질 효과만으로 미니멀리즘의 세계적 반열에 오른 작가다.
신은영도 이런 흐름에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붓질을 개척해낸 작가다. 그는 “인간의 희로애락을 붓질에 담아내는 작가로 불리고 싶다”고 말한다. 순간순간 변화하는 감정의 흔적을 순식간에 붓질로 표현하는 제작 태도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작가가 붓질을 표현하는 방식은 독특하다. 그는 화면에 감정의 상태를 보여주는 색채를 기본으로 칠한다. 우울한 날은 푸른 톤, 즐거운 기분이 도는 때는 노랑이나 분홍색 톤 등을 쓴다. 이런 기본 색이 깔린 화면에 투명 접착제로 흔적을 남긴다. 붓질을 만드는 방법인데, 붓의 거친 정도나 속도, 접착제의 양에 따라 붓질이 달라진다. 그리고 접착제 위에 석채를 뿌려서 붓질을 드러낸다.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writer@bizhankook.com[핫클릭]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0] 정용현-도자로 빚은 공간 회화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0] 민우기-평온한 일상을 낯설게 보기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0] 이영식-빛에 접근하는 새로운 회화
·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 시즌10] 정미진-평범한 사물들이 만들어낸 '도시 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