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글로벌 빅테크가 그리는 ‘안전한 AI’는 어떤 모습일까. 구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등 AI 생태계를 이끄는 빅테크의 임원들과 AI 전문가들이 22일 서울에 모였다. ‘서울선언’이 탄생한 전날 AI 서울 정상회의에 이어 서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글로벌 포럼에서다. 이날 국내외 AI 관련 거물급 기업 14곳이 합의한 ‘서울 기업 서약’도 발표됐다. 참가자들은 AI, 로봇공학 등 빠르게 발전하는 흐름을 고무적으로 평가하면서도 AI가 수반하는 위험을 함께 진단하고 안전한 활용법 마련에 머리를 맞댔다. 책임 있는 AI에 대한 산업계의 공감대는 어디까지 와 있을까.
#AI 기술 자체 아닌 응용 단계서 규제해야
군용 AI, 딥페이크, 가짜뉴스, 디지털 격차 등 AI 생태계와 산업 규모가 급속도로 팽창하면서 AI에 잠재한 위험 요소들이 현실의 문제로 닥치기 시작했다. 5월 21~22일 서울에서 진행된 AI 서울 정상회의는 새로운 AI 질서를 정립하고 주요 국가와 기업 간 공조 체계를 다지는 자리였다. 앞서 21일 윤석열 대통령이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와 주재한 정상급 회의에서는 AI 거버넌스(규범)의 세 가지 기본 원칙인 안전, 혁신, 포용성이 담긴 공동 합의 '서울 선언'이 채택됐다.
AI 분야 세계적인 석학이자 혁신가 앤드류 응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는 안전성 규제의 접근법을 제시했다. AI 기술이 아닌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인데, 전기모터(기술) 자체가 아니라 전기차(응용 서비스)의 안전성을 높이려는 고민이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응 교수는 “전기모터 기술이 전기차, 블렌더, 유도폭탄 등 다양한 장치에 활용될 수 있는 것처럼 AI라는 하나의 기술도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며 “기술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적용 단계에서 판단해야 한다. 그래야 기술혁신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인 규제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AI 포용성도 갖춰야” 기업들도 공감
오후에 진행된 전문가 세션에서는 산업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서 다양한 견해가 비교적 자유롭게 오갔다. 응 교수의 발언을 두고 다른 시각도 제기됐다. 아만다 마냐메 보편적디지털권리연합(AUDRi) 디지털법률·권리 고문은 “애플리케이션이 나오고 나서 규제하면 너무 늦다”며 “움직이고 있는 자동차에 억지로 브레이크를 밟는 것으로는 부족하다”고 짚었다.
22일 오후 진행된 AI 글로벌 포럼 현장. 사진=강은경 기자
AI 기업 서약에는 워터마킹 등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는 조치와 국제 표준 개발을 약속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날 서약을 발표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책임 있는 AI 개발과 사용을 위해 우리는 AI 안전연구소와 협력을 강화할 것을 약속한다”며 중소기업, 스타트업에 대한 자금 지원 협력과 인턴십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전문인력 육성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강은경 기자
gong@bizhankook.com[핫클릭]
·
iM뱅크 지주사 최대주주 OK저축은행 둘러싸고 '내부통제' 논란
·
'공사비 오르니 강남마저…' 개포주공5단지 재건축 시공자 선정 유찰
·
[비즈피플] '해외직구 금지 번복' 사과한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
·
[비즈피플] '라인 사태' 위기일까 기회일까, 시험대 놓인 최수연 네이버 대표
·
'AI 정상회담' 코앞인데 기본법 통과는 감감무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