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알쓸인잡] 자기개발이든 자기계발이든 일단 시작하라

안주하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본질…목표의 높이보다 꾸준함의 길이가 '핵심'

2024.04.19(Fri) 15:22:57

[비즈한국] 나이 마흔이 넘어서 처음으로 쉬지 않고 5km를 넘게 달리는 데에 성공했다. 누군가에게는 고작 5km일지 모르지만 학창시절 체력장 오래달리기조차 완주한 적이 없는 나로서는 그야말로 인생의 한 획을 긋는 사건이었다. 심장이 쿵쾅거리고 숨이 턱 끝까지 차는 느낌이 싫어서 아무리 급해도 양반은 뛰지 않는 법이라고 농을 치거나, 마라톤에 계속 도전하는 어느 임원을 보면서도 대단하긴 한데 굳이 그걸 왜 하는지 이해가 잘 안 간다고 말하기도 했었다. 멈추지 않고 끝까지 달려본 지금은 안다. 나는 그저 문밖을 벗어나지 못한 것 뿐이란 걸, 변명할 거리가 필요했을 뿐이란 걸.

 

10km를 안 쉬고 달릴 수 있다고 해서 연봉이 늘어나거나 회사에서 인정받는 건 아니다. 하지만 목표를 향해 안주하지 않고 노력하는 행위 자체가 일상을 더욱 개선시킨다. 사진=박정훈 기자

 

20~30대에는 외국어 공부를 하거나 전문 자격증을 따기 위해 학원을 다니고 인강을 듣거나 학위를 취득하고자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만이 자기개발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야 나의 몸값도 올라가고, 더 나은 일자리를 구하고, 더 많은 돈을 벌고, 더 많은 사람에게 인정받을 수 있다고 여겼다.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어떤 숫자, 자격증, 학위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고 생각했다. 어쩌면 그런 것들로 나의 경험 부족과 그로 인해 드러나는 부족한 밑천을 채우고 싶었던 걸지도 모르겠다.

 

연초에 다이어리를 구매하면 첫 장에 야심차게 새해의 계획을 적는다. 건강관리(라고 쓰고 체중감량이라고 읽는다), 영어 공부, 자격증 따기(관심분야만큼이나 자격증 종류도 다양하다), 책 몇 권 읽기 같은 것들이 매년 지치지도 않고 반복되었다. 한 권으로 끝낼 수 있다는 제목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만큼 두꺼운 각종 자격증 문제집과 베스트셀러에 이름을 올린 자기계발서 두어 권을 구매하고 나면 그것을 소유한 것 만으로 그 안의 지식과 내용이 모두 내 것이 될 거라고 믿었던 때도 있었다.

 

자기계발(啓發)과 자기개발(開發)은 그 의미가 비슷하여 흔히 섞어서 사용한다. 하지만 굳이 둘 사이의 차이를 살펴보자면 ‘계발(啓發)’은 잠재된 능력이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준다’는 의미로 주로 쓰이고, ‘개발(開發)’은 새로운 능력이나 기술을 개척하고 만들어 내거나 더 나아지도록 이끌고 개선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그런 맥락에서 어학, 자격증 공부를 하면서 자꾸만 더 나아지려고 애쓰는 것은 자기를 ‘개발’ 하려고 고군분투 하는 것이고, 장거리 달리기는 40년 넘게 숨겨두었던 ‘뛸 수 있는 능력’ 을 일깨워 ‘계발’한 것으로 보는게 더 적합하겠다.

 

다이어리에 구체적인 다짐을 적고, 미라클 모닝페이지를 몇 페이지씩 쓰는 것보다 더 실용적인 자기 계발은 일단 ‘움직여서 뭐든 하는 일’이 아닌가 싶다. 그게 뭐든지 간에 말이다. 나는 못하는 일, 나랑은 관계 없는 일이라 여겼던 많은 것들이 어쩌면 그저 해보지 않은 미개척 영역일 뿐, 하면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 위해서는 책상 앞에 앉아서 글로 쓰고 머릿속으로 상상해 보는 것보다 실제 온몸으로 부딪혀 보는 것 만한 게 없다.

 

채용 면접에서, 승진 심사에서 ‘자기개발/계발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는 것은 꼭 자격증이나 학위 소지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 아니다. 심사대상자가 현실에 안주하거나 머무르기 보다는 배움과 도전을 통해 자기발전의 기회를 계속 만들어 갈 만큼 스스로의 삶에 열정을 갖고 있는지, 얼마나 자기 주도적 인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실패와 극복경험’을 단골소재로 묻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에서다. 그래서 대학원 진학이나 자격증 공부라는 자기개발 계획만큼이나 지리산이나 설악산 종주계획을 세운다고 답하는 이들에게 업무능력 자체를 떠나 삶에 대한 들끓는 열정과 내공을 느낀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에서 지난해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8%가 자신의 가치를 높여 대체 불가능한 사람이 되는 것이야말로 가장 좋은 재테크 방식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고 한다. 우리는 지금까지 살면서 한 번도 경기가 호황이라는 뉴스를 들어본 적이 없었고, 건너 건너 누군가는 비트코인이나 주식, 부동산 잭팟이 터져서 혹은 인플루언서가 되어서 하루아침에 파이어족이 되었다고들 하지만, 막상 나에게는 모두 먼 나랏일이다. 솔직히 말하자면 매일 출석만 하면 수강료를 전액 환불받는다는 각종 인강 프로모션조차 단 한 차례도 성공해 본 일이 없다.

 

많은 직장인이 업무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더 좋은 조건으로 이직하기 위해, 혹은 언젠가 나에게 기회가 왔을 때를 대비해 나의 가치를 높이고자 다양한 자기개발을 하고 있다. 그러나 20여 년의 회사 생활과 더불어지난 10여 년간 가사돌봄생활을 병행하며 40대에 접어들어서야 비로소 깨달은 사실은 ‘뭐든지 하려면’ 그리고 그걸 ‘지속하려면’ 필요한 것은 오직 건강한 체력 뿐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자기계발은 ‘겨우’ 달리기가 아니라 달리기가 ‘전부’이다. 그리고 그렇게 꾸준히 하다 보면 50대에는 하프마라톤도 도전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도 해 본다. 누군가는 과거의 나처럼 ‘돈을 벌어주지도 않고, 연봉이 올라가는 것도 아닌데 그걸 굳이 왜 하는지 잘 모르겠다’고 할지라도. 보편적인 기준으로 봤을 때 별 볼 일 없는 학벌과 배경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임원을 하고 은퇴했던 그 임원이 갖고 있던 내면의 힘이 무엇인지를 이제 조금은 알 것도 같다.

 

​필자 ​김진은? 정규직, 비정규직, 파견직을 합쳐 3000명에 달하는 기업의 인사팀장을 맡고 있다. 6년간 각종 인사 실무를 수행하면서 얻은 깨달음과 비법을 ‘알아두면 쓸데있는 인사 잡학사전’​을 통해 직장인들에게 알려주고자 한다.  

김진 HR 칼럼니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알쓸인잡] 직장인의 N잡 활동, 어디까지 받아들여질까
· [알쓸인잡] 직장 내에서 정치 이야기는 무조건 금기여야 할까
· [알쓸인잡] 직급갈등③ 타인의 눈으로 나를 관찰해보는 노력
· [알쓸인잡] 직급갈등② '꼰대' 직장상사가 실력을 인정받는 방법
· [알쓸인잡] 직급갈등① K-직장인 관점에서 본 이강인의 '하극상'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