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이슈

성장률 개선되면 뭐하나…가계 처분가능소득 폭락에 경제 먹구름

처분가구소득 전 분기 대비 4.6% 하락…2년 만에 최저

2023.10.06(Fri) 14:25:17

[비즈한국] 경제기관들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일제히 하향조정하고 있지만, 올해 성장률이 1분기와 2분기 상승세를 타면서 정부에서는 ‘상저하고(상반기 저성장, 하반기 고성장)’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을 고수 중이다. 하지만 수출이 여전히 부진한 데다 내수를 받쳐줄 가계의 소득이 감소하고 있어 상승세를 이어가기 힘들 거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 가계 소득 감소에 소비자들의 향후 경기 전망이나 소비 심리가 악화하고 있어 내수 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채소 코너에서 장을 보는 시민.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 성장률은 지난 4분기에 전기 대비 -0.3%를 기록하며 역성장을 기록하며 우려를 낳았다. 다행히 올해 1분기에 성장률이 0.3%를 나타내며 플러스로 돌아선 데 이어 2분기에는 0.6%로 오르며 상승세를 타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분기 성장은 수입이 감소한 덕에 성장률이 오른 일종의 착시 현상이었다. 2분기 우리 경제는 수출은 전기 대비 1.8% 감소했고, 민간소비 역시 0.1% 줄어드는 침체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0.6%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수입이 전기 대비 4.2%가 줄어들면서 역성장 요인을 상쇄해준 덕분이었다.

 

문제는 수출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는 데다 경제의 또 다른 버팀목 역할을 해줘야 할 내수마저 둔화할 조짐이 강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2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565조 7000억 원으로 전기 대비 0.2% 줄었다. 명목 GNI가 줄어든 것은 지난해 3분기(-0.3%) 이후 3분기만의 일이다. 경제는 성장했는데 우리나라 국민의 소득은 감소한 것이다.

 


실제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개인소득에서 세금과 이자비용 등 비소비성 지출을 제외한 액수)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2분기 우리나라 전국 1인 이상 전체 가구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45만 850원으로 1분기(361만 6711원)에 비해 16만 5861원(4.6%)이나 줄었다. 특히 올 2분기 처분가능소득은 지난 2021년 2분기(338만 5045원) 이래 2년 만에 가장 낮은 액수다. 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 3분기 354만 179원을 저점으로 4분기 357만 6381원으로 오르며 상승세를 보였으나 올 2분기에 큰 폭으로 하락 반전했다.

 

이처럼 소비와 구매력의 원천이 되는 처분가능소득이 급감하다 보니 가계는 허리띠를 졸라맸다. 올 2분기 평균소비성향(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70.2%로 1분기(70.7%)보다 낮아졌다. 가계 소비 감소는 국내총생산에도 부정적 영향을 줬다. 국내총생산(GDP)에서 가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1분기 49.4%에서 2분기 46.7%까지 급락했다. 이는 지난해 2분기 45.2%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GDP 대비 가계지출 비중은 지난해 3분기 47.0%, 4분기 47.3%로 상승세를 타 올 1분기에는 50%에 육박할 정도였지만 2분기에 주저앉은 것이다.

 

이처럼 2분기에 소득 감소로 가라앉은 소비 여력은 향후에도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월 103.1에서 9월 99.7로 3.4포인트나 떨어졌다. CC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낮다는 점은 소비자들의 심리가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특히 6개월 후 상황을 예상하는 전망에서 부정적인 심리가 컸다. 9월 생활형편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8월(95)보다 3포인트 하락한 92를 기록했고, 향후 경기전망 CSI는 같은 기간 80에서 74로 6포인트 떨어졌다. 취업기회전망 CSI 역시 8월 84에서 9월 77로 7포인트나 급락했다. 수출이 역성장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이처럼 소비 심리까지 얼어붙으면 경기 회복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경제계 관계자는 “가계 소비가 펜데믹 이후 소비심리 정상화 과정에서 빠르게 증가했지만, 현재 향후 회복 여력은 소진된 상태”라며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수출 회복과 함께 소비 회복 지속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미래 성장 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 등을 통해 가계 소득과 일자리를 늘리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현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29년 만에 우승' 역대급 가전 할인? LG "설레발 금지" 행복한 고민
· '진짜 사장' 찾는 국민은행·하나은행·현대해상 콜센터 직원들, 첫 공동파업 나선 까닭
· [단독] '900억 PF대출 못 막아' 천안오토아레나 공매, 보증 선 현대아산 어쩌나
· 이마트 광주점 폐점 일주일 앞두고 무기한 연기…광주신세계 확장 사업 또 무산되나
· 폴란드 수출 '훈풍' 타고 K-방산 3분기 실적도 '맑음'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