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덕후

[밀덕텔링] 드디어 정체 드러낸 새로운 탄도탄 '현무 4-2'의 가치는?

정조대왕함과 합동화력함 탑재될 듯…드론탄, 대함 버전 등 파생형 개발도 필요

2023.07.10(Mon) 10:40:32

[비즈한국] 지난 4월 13일 제152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는 ‘함대지 탄도유도탄 체계개발 사업’을 발표했다. 2024년부터 2036년까지 총 6100억여 원을 투입하여 진행되는 이 함대지 탄도유도탄, 일명 ‘현무 4-2’은 일명 ‘괴물 미사일’로 불리는 현무-5나 차세대 고체연료 우주발사체와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파생 미사일 등 ‘ICBM급 초거대 미사일’보다는 그렇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개발 중인 탄도 미사일 중 육군의 KTSSM 전술 탄도 미사일 후속 사업과 함께 한국군의 가장 중요한 전력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그 이유는 수량 때문이다. 현재 한국군은 육군 미사일 전략사령부(미사일사령부로 호칭)창설 이후 대량의 미사일을 꾸준히 양산 중이다. 현무-5나 초거대 미사일의 경우 미사일사령부에서 운영하겠지만 그 숫자가 적고, 수 백기 이상 생산되어 북한 전략 표적 타격의 주력이 될 미사일이 바로 현무 4시리즈와 KTSSM 후속 사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무 4-2 함대지탄도탄 상상도. 사진=쉘든의 밀리터리/김민석 제공


공개된 보도에 따르면 현무4는 이번에 예산이 승인된 현무 4-2를 포함해서 모두 세 종류가 확인되었으나, 지상 발사형인 현무 4-1과 잠수함 발사형인 현무 4-4보다 함대지 탄도 미사일인 현무 4-2가 가장 생산량이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발사 플랫폼 문제 때문이다.

우선 현재 한국군의 현무2 탄도 미사일은 오직 육군 미사일사령부에서만 운영 중이고, 해군의 최신형 잠수함 도산안창호함과 안무함에서 ‘현무 4-4’ 잠수함 탄도 미사일이 운영 중이다. 즉, 거꾸로 말하자면 현재 12발의 현무 4-4 탄도 미사일을 제외하면 모든 탄도 미사일을 미사일사령부가 운영 중이다.

하지만 지상에서 탄도 미사일을 운영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어디에서 발사할지’ 난감하다는 것이다. 미사일사령부는 TEL(transporter erector launcher)라 불리는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와 미사일 장전 트럭에 미사일을 실은 다음 미사일사령부 예하의 각 포대에 만들어 놓은 지하 방호시설에 숨어놓는다. 이렇게 해야 유사시 적의 선제공격을 지하에서 버틴 다음, 차량으로 분산 배치해서 적의 공습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인데, 문제는 TEL의 숫자를 무한정 늘리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TEL 자체도 수십억 원의 무척 비싼 차량이지만, 이 TEL을 평시에 숨겨놓아야 하는 지하 시설을 만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현무 4-4를 쏘는 잠수함도 플랫폼의 문제가 있다. 도산 안창호급은 6발의 현무 4-4, 장보고-3 batch 2는 10발의 현무 4-4를 실을 수 있으니 총 48발의 미사일만 잠수함에서 쏠 수 있기 때문이다. 잠수함은 해상에서 재보급이 불가능하고, 무기 보충에 며칠이 걸리기 때문에 아주 작은 숫자의 탄도 미사일만 실전에서 쓸 수 있다.

그러나 함선의 경우 TEL 수십 대, 잠수함 여러 척에서 탑재할 탄도 미사일을 구축함 한 척에 탑재할 수 있으므로 ‘최고의 탄도 미사일 운반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내년 말에 취역할 구축함 정조대왕 함에는 24발의 현무 4-2 미사일을, 차세대 구축함 KDDX에는 16발의 현무 4-2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고, 합동화력함까지 합하면 최소 200발 이상의 현무 4-2 미사일을 전쟁 발발 즉시 발사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전투함에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할 때의 이점은 또 있다. 탄도 미사일은 제트 비행기 같은 순항미사일과 달리 일정한 궤도를 따라 상승하고 하강하여 표적에 명중하는데, 미사일사령부에서 발사하는 탄도 미사일의 경우 남쪽에서 북쪽으로만 발사할 수 있지만 함정 탑재 탄도 미사일의 경우 바다에 떠 있는 상태에서 발사지점을 동쪽에서도 가능하여, 북한의 대공 방어 체계에 일종의 ‘과부하’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잠수함의 경우 수중에 있어 은밀하지만, 공격 명령을 즉시 받아서 기습공격을 하기 어렵지만, 배의 경우 바다에 떠 있는 상태에서 위성통신 등 각종 통신망이 충실하므로 전쟁이 터지면 가장 먼저 쏠 수 있는 무기체계라는 점도 중요하다.

이 때문에 함대지 탄도 미사일 현무 4-2는 사실상 한국군의 전략무기인 탄도 미사일에서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할 일종의 주력 미사일이 될 것으로 점쳐지는데, 최근 개최된 ‘2023 첨단국방산업전’에서 현무 4-2의 디자인과 세부 성능에 대해서 상당히 많은 정보가 공개되었다.

공개된 정보에서 보여지는 현무 4-2는 현무-2B 지대지 탄도 미사일, KTSSM 전술 탄도 미사일, 그리고 현무 4-4 잠대지 탄도 미사일(SLBM)과 상당히 유사한 모양인데, 특히 미사일의 주 추진기관인 로켓 뒤에 붙은 부스터(Booster) 가 외관상 가장 눈에 띄는 차이가 있다.

부스터는 미사일이 수직 발사대에서 발사되는 시점의 추력을 제공하고, 미사일의 발사 방향을 초기에 바꿔주는 장비인데, 기존 현무-2의 경우 이 부스터 없이 주 추진기관에 제트 베인(Jet vain)이라는 장치로 로켓 추력의 방향을 변경했으나 현무 4-2는 이것이 따로 분리된 것이다.

이는 미사일이 지상이 아닌 함선의 수직발사대(KLVS-2)에서 발사되기 때문이다. 미사일을 지상에서 발사할 때는 다른 발사대와 충분한 안전거리를 띄우고 발사하지만, 배에서 발사할 때는 붙어 있으므로 미사일의 로켓 엔진 추력을 바로 작동하는 것이 위험하다. 또한 이 부스터는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인 현무 4-4와 유사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으나, 현무 4-4에 있던 수중 커버는 제거된 것으로 보인다.

미사일의 앞부분 역시 현무 4-4와 유사하지만, 수중에서 발사할 때 필요한 수중 커버가 제거되었다. 그 외에는 이미 공개된 고위력 현무 미사일같이 날개가 꼬리 부분에 4개만 존재하고, 현무-2C처럼 재돌입체(Reentry Vehicle)와 조종날개가 없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이것은 현무 2C에 적용된 풀업(Pull-up)기동, 즉 적 미사일 요격을 회피하기 위한 낙하 중 재상승 기능은 제거되었으나, 더 간단한 구조로 최대한 공간을 확보하여 탄두 중량과 사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현무 4-2는 위성항법 장비와 관성항법 장비(INS)를 탑재한 비교적 간단한 유도방식을 채용했으나, 한국의 유도탄 관성항법 장비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고, 기존에 현무 탄도 미사일에 적용된 다중 위성 유도, 즉 미국의 GPS와 러시아의 글로나스(GLONASS) 항법위성 등 여러 시스템의 위성항법 정보를 융합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한의 GPS 위성 전파방해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 위성항법 안테나가 전파방해 신호를 걸러내는 항 전파방해(Anti-Jamming) 기능을 보유하여 10m 이하의 초정밀 명중률을 확보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다만 현무 4-2는 몇 톤 이상의 엄청난 탄두 중량을 가진 현무-5 및 초 고위력 미사일보다 작은 1톤 이하의 탄두를 가지고 있어 한국군이 가진 가장 강력한 위력의 미사일은 아니다. 그렇지만 현무 4-2 미사일은 마하 5 이상의 빠른 속도, 그리고 지하 표적 파괴에 적합한 강화 관통탄두를 장착하여 현무 4-2로 북한이 가진 대부분의 지하 지휘소, 격납고, 미사일 기지를 파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함대지 탄도탄은 이미 개발된 현무 4-4, 4-1의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에 미사일의 개발 방향성을 찾기 위한 탐색 개발(exploratory development)을 생략하고 곧바로 체계개발(system development)로 진행될 예정이다.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함대지 탄도 미사일의 강력한 성능과 검증된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파생형 개발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다음과 같은 파생형 제작을 제안해 본다.

첫 번째 파생형은 지능형 자탄, 일명 ‘드론 자탄’(drone munition) 탑재형이다. 드론 자탄은 미사일에 넣고 발사한 뒤, 적 상공에서 드론을 사출시켜서 드론이 비행하면서 적을 탐지하여 공격하는 것으로, 현재 KTSSM 전술 탄도 미사일의 파생형으로 개발을 고려하고 있다. 현무 4-2 미사일에 드론 자탄을 장착하면 KTSSM보다 더 먼 곳의 표적에 대한 공격이 가능하므로, 북한이 중국 국경지대에 배치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이동식 차량(TEL)을 공격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파생형은 지상 공격 및 대함 공격이 가능한 지·해 복합형 탄도 미사일(ASBM) 개발을 고려해볼 만하다. 현재 국방과학연구소(ADD)를 중심으로 적 함선을 공격하는 대함탄도미사일의 기초연구가 진행 중이나, 필자의 제안은 간소화된 대함 유도 장비를 장착해서 상황에 따라 지상 공격과 함선 공격이 가능한 버전의 대함탄도미사일을 개발하자는 것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다연장 로켓을 위한 초소형 적외선 대함 유도 탐색기를 개발 중인데, 이를 모방해서 함선 탐지를 위한 적외선(Infra-Red) 및 전파원 추적(Anti-Radiation) 탐색기를 개발한다면 상황에 따라 전략적 유연성을 해군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초음속 대함 미사일 및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이 개발 중이지만, 이런 차세대 대함 미사일은 복잡한 추진기관의 문제로 가격이 무척 높은데, 현무 4-2를 활용하면 비교적 적은 양에 대량 양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를 활용하여 육군 미사일사령부의 현무 4-1과 해군의 4-2가 같이 대지, 대함 능력을 갖춘다면 항공모함 전단 등 강력한 해군력을 가진 적 세력과의 대치 상황에서 큰 억지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민석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밀덕텔링] 초대형 미사일에 준이지스함 성능 갖춘 '합동화력함', 현실성 있나?
· [밀덕텔링] '깜짝 공개' 차세대 전투함 KDDX의 예상 성능은?
· [밀덕텔링] [단독] KAI, KF-21용 '다목적 소형 무인기' 최초 공개
· [밀덕텔링]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 '핵 협의 그룹'과 '전략자산 전개'의 실체
· [밀덕텔링] 북한 최초 고체 ICBM '화성포-18', 합동화력함으로 대응하려면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