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이슈

[현장] 노천카페 조성했더니 악취가…서울시 '수변감성도시 1호' 홍제천 가보니

서대문구 "최근 가뭄이 이유, 한강물 끌어 내려보내는데도 한계"…환경운동연합 "물 순환 안 되는 도시 설계로 한계"

2023.03.28(Tue) 18:07:37

[비즈한국] 서울시의 ‘수변감성도시’ 프로젝트 1호 사업인 홍제천 수변 노천카페. 서울시는 작년 4월부터 소하천을 수세권으로 재편하는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수변을 중심으로 각종 시설을 조성해 도시의 매력과 경쟁력을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현재 대상지는 20곳이지만, 완공된 곳은 홍제천 하나뿐이다. 

 

서울시는 홍제천에 있는 인공폭포 앞에 낙후된 주차장과 창고 등을 없애고 카페를 조성했다. 시민들이 거주 공간 근처에서 산책을 즐기고 카페에서 ‘물멍’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홍제천 노천카페 조성에만 19억 5000만 원이 들었다. 수변감성도시 1호 사업이 완공된 지 약 4개월, 홍제천은 어떻게 변했을까? 

 

지난 2022년 4월부터 서울시는 ‘수변감성도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시는 1호 사업으로 홍제천 인공폭포 옆에 노천카페를 조성했다. 사진=전다현 기자

 

#노천카페 조성했는데 정작 주민들은 못 즐겨?…핵심 놓친 ‘수변감성도시’ 프로젝트

 

서울시의 기대와 달리 최근 홍제천은 악취와 각종 부유물로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었다. 기자가 지난주부터 홍제천 수변 노천카페를 중점으로 하천을 살펴본 결과 하천에 규조류와 쓰레기 등이 다수 떠다녔다. 심한 악취로 마스크를 벗기 어려운 구역도 있었다. 한 시민은 “폭포가 예뻐서 가까이 갔는데, 냄새가 심해서 놀랐다. 멀리서 봤을 때는 좋아 보였다”고 말했다. 주민 A 씨는 “매일 산책으로 홍제천을 걷는다. 최근 들어 악취가 심하게 나기는 했다”고 말했다. 

 

3월 24일 홍제천 인공폭포 인근 하천 모습. 규조류와 오염 물질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사진=전다현 기자

 

폭포 앞 노천카페를 이용하던 B 씨도 “여기에 카페를 조성했다고 해서 한번 와 봤다. 폭포가 멋지지만 기대보단 실망스럽다. 하수 냄새가 난다”고 말했다. 노천카페 조성으로 수변을 르네상스로 만든다는 계획이었지만, 정작 악취로 이를 즐기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서울시의 수변감성도시 조성 사업은 비슷한 이유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수질 관리나 하천 범람 등에 대한 대책보다 보이는 데에 예산을 낭비한다는 주장이다. 주민 C 씨는 “작년까지만 해도 하천 범람으로 큰 문제가 됐었다. 그런데 이런 부분에 대한 방지책보다는 꾸미는 데에 집중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D 씨는 “카페를 조성하면 이용하기는 좋지만 환경이 걱정되기는 한다. 홍제천은 굉장히 자주 공사를 하는데 이런 게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수변감성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규제 완화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하천 인근 건축 규제나 상업 시설 규제 등을 완화한다는 취지다. 그러나 인근 자영업자들의 반응은 냉소적이다. 인근 상인은 “수변에 카페 등 휴게음식점을 조성한다면 오히려 인근 상인들에 피해가 될 거다. 소상공인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홍제천 악취 원인은?…하천 인근 공사 유의해야

 

홍제천은 종로구에서부터 서대문구, 마포구까지 한강으로 합류되는 11.95km 길이의 하천이다.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된 홍제천은 수질 개선을 위해 지속해서 정비사업을 벌였지만, 악취와 수질오염 논란이 끊이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수변 내 잦은 공사가 수질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19년 7월부터 홍제천 상류에서는 보행축을 조성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6월까지 진행 예정인 이 사업은 올해 6월 공사 완료될 예정이다. 현재 하류에서도 도시가스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홍제천 하류에서 진행하고 있는 도시가스 공사 모습. 전문가들을 잦은 공사가 수질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사진=전다현 기자

 

실제로 하천 내 공사는 수질 원인의 주원인이 되기도 한다. 2022년 6월 우이천의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가 7.3(5급수)으로 오염됐는데, 당시 서울시는 인근 공사로 인해 수질이 나빠졌다고 밝히기도 했다(관련기사 [단독] 3급수 전락 우이천, 6월 수질측정값 공개 안 하는 이유).

 

이승준 부경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하천에서 공사를 하면 토사물이나 폐자재, 폐수가 인근에 버려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2022년 12월과 2023년 1월 홍제천의 수질 측정결과를 보면 오염물질인 부유물이 하천에 있다는 걸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동언 서울환경운동연합 국장은 “수변감성도시 조성사업이 하천 오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생물다양성이 많은 지점은 유의해야 한다. 현재 그런 지점들을 중점으로 수변감성도시 사업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매년 반복되는 악취에도 대책 없어…전문가 “도시화가 문제”

 

서울시와 서대문구청은 홍제천의 수질오염이 가뭄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유량이 적어지면서 규조류 등 부유물과 악취가 생겼다는 것이다. 

 

홍제천 하류는 악취가 심해 하천 옆을 걷기 힘들 정도였지만, 현재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은 없는 상황이다. 사진=전다현 기자

 

문제는 이에 대한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관련 지자체에서도 문제를 인지하고 있었지만, 뚜렷한 해결 방안은 보이지 않는다. 하천의 특성상 매년 악취와 규조류 문제가 반복된다. 서대문구청 치수과 관계자는 “가뭄 때문이다. 아침, 저녁으로 침전물 청소를 하고 있다. 비가 거의 안 왔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매년 반복된다. 한강물을 끌어서 다시 내려보내는 구조인데, 여기에도 한계가 있다”고 답했다. 

 

서울시 물순환안전국 관계자는 “규조류가 있더라도 수질 자체에는 크게 문제가 없다. 서울 하천이 전부 건천이기 때문에 수시로 상류에서 유지용수를 끌어준다. 수질 검사에는 문제가 없지만, 중간에 고여 있거나 자연적으로 물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악취가 난다. 서울이 도시화돼 대부분 아스팔트로 이뤄져 있어 하천으로 순환이 안 되는 거다. 이 때문에 유지용수를 확대하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고 답했다. 

 

홍제천은 종로구에서부터 흘러오는데, 이 양이 적어 유지용수를 공급하지 않으면 하천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김동언 서울환경운동연합​ 국장은 “가뭄 때마다 유량이 현저하게 적어 오염이 발생하는 건데, 인공적으로 보완을 하지 않으면 유지가 어렵다. 서울 내 모든 하천이 그렇다. 이 과정에서 굉장히 많은 전기가 소모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수질오염을 막을 근본적인 대책은 없는 걸까. 전문가들은 서울시의 도시화로 인해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고 지적한다. 김 국장은 “도시 설계를 다시 하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도시화하는 과정에서 물이 순환될 수 있게 설계를 했어야 하는데, 80% 이상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덮혀 순환이 불가능해졌다. 최근에는 신도시 개발 시 공원과 녹지공간을 넓게 계획하기도 한다. 현재 서울시에서 유량 문제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여러 사업들을 하지만 근본적으로 대책을 세우기는 어렵다. 도시계획적인 측면에서 제약이 많다”고 말했다. 

전다현 기자

allhyeon@bizhankook.com

[핫클릭]

· 1급수가 갑자기 6급수로…물고기 집단 폐사, 성북천 미스터리
· [단독] 3급수 전락 우이천, 6월 수질측정값 공개 안 하는 이유
· 하천 범람 '인재' 뒤엔 '제각각 물관리' 있었네
· 환경부·지자체 '엇박자'…우이천 오염, 강북·노원·​도봉·​성북 4개구 관할이 문제?
· [단독] 1급수 생태하천 우이천, 갑자기 3급수로 오염…무슨 일?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