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이슈

[현장] 미리 보는 대한민국의 미래? 경기도 인구감소지역 연천군에 가다

산부인과 0개, 응급실 1개…젊은 세대 입을 모아 “떠나고 싶어요”

2023.01.06(Fri) 17:23:04

[비즈한국] 2021년 10월, 행정안전부는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제정된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따라 89개 시군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했다. 그중에는 경기도에 있는 가평군과 연천군도 포함됐다. 인구감소지수가 인구감소지역 다음으로 높은 ‘관심지역’으로는 경기 동두천시와 포천시가 지정됐다. 인구감소지역, 관심지역 가운데 연천군, 동두천시, 포천시 3개 시군은 경기 북부에 위치해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연천군의 인구는 4만 2062명으로, 경기도 전체 시군 가운데 인구수가 가장 적다. 또 2017년에서 2021년 사이를 기준으로 연천군의 인구 감소폭은 약 6%로 나타났다. 이는 광명(약 12%), 안양(약 7%)에 이어 도내에서 세 번째로 컸고, 같은 인구감소지역인 가평군(약 1%), 관심지역인 포천(약 3%), 동두천(약 3%)보다 큰 폭이었다. 2023년을 맞은 연천군의 모습은 어떨까? 상인과 1020세대를 만나 인구감소지역 연천군의 오늘을 짚어봤다. 

 

#청년은 떠나고 노인은 찾아오는 곳

 

3일 오전 10시, 연천읍 거리는 한산했다. 연천읍은 군청, 파출소, 지방법원, 경찰서 등 군내 관공서가 있는 지역이지만, 행인은 한두 명이 전부였다. 몇몇 식당은 점심 장사를 준비하고 있었지만, 슈퍼나 부동산은 아예 셔터를 내린 곳도 많았다. 놀이터나 어린이집에서 아이들 소리를 듣기도 힘들었다. 군청, 연천 중·고등학교를 지나 발견한 어린이집은 문을 닫은 상태였다.

 

연천읍에 있는 저층 아파트 사이로 보행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노인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이현이 인턴기자


연천고등학교에는 한 학년에 약 8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날 연천고에서는 3학년 학생들의 졸업식이 있었다. 졸업식을 마치고 읍내로 가려던 4명의 학생을 버스정류장에서 만났다. 이들은 올해 모두 대학 진학을 위해 연천을 떠난다. 대학을 졸업하고 연천에서 계속 살고 싶냐는 물음에 모두 “아니요”라고 입을 모았다. 공부든 놀거리든 ‘인프라’가 부족한 게 이유다.

 

김현준 군(19)은 “연천은 작아서 인프라가 부족하고, 학급 활동을 하기도 힘들다. 대학 진학에 중요한 내신 따기도 힘들다. 인원이 적다 보니 내신 1등급이 1~2명에게만 배분된다”고 말했다. 홍혜란 양(19)은 “친구들이랑 놀러갈 때는 동두천이나 의정부로 간다. 연천은 영화관도 작고, 맛집이나 카페도 없다”고 토로했다. 김현준 군은 “동두천에 사는 친구는 연천에 맥도날드도 없다고 놀린다”고 덧붙였다. 연천군에는 맥도날드, 스타벅스 지점이 없다. 가장 가까운 스타벅스 매장은 동두천 지행역에 있다.

 

1월 3일 졸업식이 있었던 연천고등학교의 모습. 사진을 찍는 한두 명 학생 말고는 지나다니는 이가 없었다. 사진=이현이 인턴기자

 

 

연천에 있는 편의점에서 일하는 김 아무개 씨(여·22)도 “특히 교통 불편이 크다. 서울로 가려면 소요산역까지 버스를 타야 한다. 생활권이 더 넓은 곳으로 나가고 싶은 마음이 있다”며 부족한 교통 인프라를 지적했다. 현재 연천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1호선 소요산역이다. 1호선 연장 공사가 연천역까지 진행되고 있지만, 지금으로서는 상당히 교통이 불편하다는 게 김 씨 생각이다.

 

한편 예순이 넘은 나이에 인천에서 연천으로 사는 곳을 옮긴 노인도 있다. 손 아무개 씨(여·75)는 “남편을 먼저 보내고 혼자 살기 위해 집값이 싼 연천에 왔다”고 했다. 젊은이들은 연천을 떠나고 싶어 하지만, 나이 든 사람들은 혼자 살 집을 찾아 연천으로 오기도 한다. 

 

#빈집 늘어난 자리에 총성만 남아

 

연천읍에서 군사시설에 가까운 쪽으로 이동할수록 사람은 더 줄었다. ‘신망리연대’ 앞에서 50년 넘게 약국을 운영하는 80대 유 아무개 할머니는 “옛날엔 여기에 빈집이 없었는데, 나이 든 사람들은 다 돌아가시고 지금은 빈집이 늘었다”고 말했다. 군부대 옆 상리초등학교는 50년 전에는 전교생이 250명이 넘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56명뿐이다. 근처 방앗간, 슈퍼마켓은 모두 문을 닫은 상태였다. 상리초교 근처에는 부대에서 나는 총성만 울려 퍼졌다.

 

신망리연대 정류장 앞 약국과 식당의 모습. 사진=이현이 인턴기자


연천군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사는 전곡읍도 사정은 비슷했다. 전곡에서 10년 이상 분식집을 운영한 50대 박 아무개 씨도 “처음 가게를 열 때보다 지금 사람이 더 적다. 20~30대는 일자리가 없어 떠나고, 10대도 줄어든다. 가게 운영에 걱정이 조금 된다”고 했다. 

 

연천군 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전곡 읍내의 모습. 젊은이들은 읍내에서도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며 ‘인프라 부족’을 토로했다. 사진=이현이 인턴기자


연천군 면적은 676.31㎢로, 서울의 1.2배다. 연천은 비무장지대와 맞닿은 접경지역이며, 전체 행정구역 가운데 군사시설보호구역이 약 94%를 차지한다. 음식점이나 미용실 등 상권 유지에는 군인의 영향이 크다. 그러나 박 씨는 “아기를 키우는 군인 가족도 요즘은 동두천 쪽으로 이동하고, 직업군인이 연천으로 출퇴근하는 경우도 생겼다”고 말했다. 전곡에 있는 한 어린이집 보육교사도 “해가 갈수록 원아가 줄어서 폐업하는 어린이집도 있다”고 덧붙였다.

 

#지방소멸대응기금 E등급, 사업은 축소돼

 

연천군에는 산부인과가 없다. 또 진료과목에 소아청소년과가 포함된 내과는 2개다. 응급실은 연천군보건의료원에 1개가 있다. 학교는 총 22개로, 고등학교가 3개, 중학교가 6개, 초등학교가 13개다. 2021년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연천군의 노령화지수(14세 이하 유소년 인구 100명 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는 285.4%다. 포천(223.0%), 동두천(204.8%)보다 조금 높고 가평군(303.7%)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이처럼 인구소멸이 연천군에 성큼 다가왔으나 정작 인구감소지역 가운데 연천군에 배분된 ‘지방소멸대응기금’ 규모는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은 각 지자체가 지방소멸 대응 사업을 주도하도록 지원하는 기금이다. 행정안전부가 연 1조 원의 기금을 광역자치단체 25%와 기초자치단체 75%로 배분한다. 기초자치단체는 기금 활용 투자계획이나 지방소멸 대응사업 추진의 적절성 등에 따라 A~E등급으로 나누어 배분되는데, 연천군은 지난해 가장 낮은 등급에 해당하는 E등급(연 112억 원)을 받았다.

 

광역단체 단위로 배분된 기금도 경기도가 제일 적었다. 경기도에 배분된 기금은 2022년에 4억 원, 2023년에 5억 원이었다. 이는 전체 광역단체에 배분된 예산 가운데 0.2%에 해당하는 규모다.

 

그에 따라 연천군이 추진하고자 했던 지역소멸 대응 사업도 축소됐다. 군은 식물·바이오 산업 육성 프로그램, 청년 취업과 창업 지원, 워케이션(다목적 주거 공간) 조성 프로그램을 지역소멸 대응 정책으로 기획했다. 그러나 연천군 인구정책실 관계자는 “기금 규모가 축소돼 이 가운데 식물·바이오 산업 육성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성 조사만 실시하고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이현이 인턴기자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서울에 두 곳…법으로 금지한 '흡연카페' 여전히 성업 중인 이유
· 대부업체까지 신규 대출 중단, 불법사채시장으로 떠밀리는 취약계층
· 휴대전화 할부수수료 명시 1년, '깨알' 문구 효과 있을까
· [오너의 개인회사] 김호연 빙그레 회장 3남매 회사 '제때', 승계 핵심고리 될까
· 카카오 대국민 보상, 해외번호 이용자들 제외해 논란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