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전국에서 우후죽순 생기던 공공배달앱이 하나둘 운영을 중단하고 있다. 올해 배달 수요가 크게 줄며 이용 실적이 저조해졌기 때문이다. 내년에도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위기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춘천, 거제, 익산시 사업 종료 혹은 포기
소비자 물가 상승과 엔데믹 효과로 올해 배달 수요는 크게 꺾인 분위기다.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최근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등 배달앱 3사의 월간 사용자 수는 연초 대비 크게 줄었다. 배민은 올해 1월 2070만 명 수준이던 월 사용자 수가 11월에는 1975만 명으로 5%가량 줄었다.
업계 1위 배민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쿠팡이츠는 같은 기간 월 사용자가 658만 명에서 359명으로 반 토막이 났다. 요기요도 892만 명 수준의 사용자가 669만 명으로 약 25% 줄었다.
공공배달앱의 상황도 좋지 않다.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는 ‘배달특급(경기도)’도 올해 1월 55만 명 수준이던 월 사용자 숫자가 11월에는 42만 명으로 감소했다. 대구 지역 공공배달앱 ‘대구로’는 같은 기간 19만 명이던 사용자가 16만 명으로, 군산시 공공배달앱 ‘배달의명수’는 2만 9000명에서 2만 명으로 줄었다. 군산시 관계자는 “시장 상황이 달라지다 보니 전반적으로 배달 수요가 줄어들었다. 전년 대비 20% 정도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배달 호황기에도 실적 부진을 겪던 지자체의 공공배달앱은 수요 감소로 존폐위기에 놓인 상황이다. 경남 거제시가 지난해 3월부터 운영해온 공공배달앱 ‘배달올거제’는 오는 20일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입점 가맹점이 늘지 않고, 월 매출도 6000만~7000만 원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이용률이 저조한 것이 이유다.
거제시 관계자는 “민간 앱사와 외식지부, 거제시 3자 간 맺었던 업무협약 기간이 만료됐다”며 “협약 기간을 2년으로 정하긴 했지만 서비스를 한시적으로만 운영하려던 계획은 아니었다. 하지만 위드 코로나로 인해 시장 상황이 달라져 종료 결정을 했다”고 밝혔다.
이미 운영을 종료한 곳도 상당수다. 춘천시는 지난해 3월 시작한 자체 배달앱 ‘불러봄내’의 운영을 서비스 론칭 한 달 만에 포기했다. 매년 3억 원의 예산 투입에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올해부터는 강원도 배달앱과 통합해 운영하고 있다. 대전 ‘부르심’은 운영을 종료한 뒤 올해 대전시에서 함께 운영되던 공공배달앱 ‘휘파람’과 통합했다. 공공배달앱 사업을 준비하던 전라북도 익산시는 올해 3월 효율성 부족으로 공공배달앱 구축을 포기했다.
#계속되는 ‘위기설’에도 대안 없어 “재검토 필요”
공공배달앱은 시장에 나온 직후부터 줄곧 ‘위기설’에 시달렸다. 고질적 문제는 이용률 저조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민간 배달앱은 높은 수수료로 수익을 내 마케팅에도 큰 비용을 투자한다. 하지만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배달앱은 민간 앱 수준의 마케팅을 할 수 없다”며 “이용자들은 공공배달앱의 소비자 혜택이 적다고 느낀다. 민간 배달앱과 비교하면 특별히 공공배달앱을 찾을 이유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지자체 관계자도 “가맹점주는 공공배달앱의 주문건수가 너무 적다면서 입점을 거부한다. 소비자는 가맹점이 적다는 이유로 이용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며 한숨 쉬었다.
공공배달앱은 무료 혹은 낮은 중개수수료를 내세우는 만큼 수익성을 내기는 어려운 구조다. 사업비용을 한정된 예산 내에서 써야 해 마케팅 영역에서 민간 앱과 큰 차이를 보인다.
앱 개발 및 유지보수도 마찬가지다. 강원도에 사는 홍 아무개 씨는 “공공배달앱의 취지가 좋아 사용하려 했으나 주문 건마다 강제 취소됐다. 공공배달앱 주문이 적다 보니 사장님들도 공공배달앱으로 간혹 주문이 들어오면 시스템을 잘 다루지 못해 허둥지둥하다가 취소해버린다고 하더라”며 “결국 이전에 사용하던 민간 배달앱으로 돌아왔다. 공공배달앱은 지워버렸다”고 말했다.
경기도에 사는 박 아무개 씨도 “배달 가능 지역이라고 표시돼 메뉴를 고르고 주문서까지 다 작성하고 나면 결제 단계에서 배달 불가 지역이라고 떠 주문이 불가하다”며 “몇 번 그런 일을 겪고 나니 공공배달앱을 사용하지 않게 됐다”고 전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연간 공공배달앱 운영비가 3억 원 이상이 들어간다”며 “한 번씩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바꾸면 추가 예산이 억대로 들어가기 때문에 관리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공공배달앱의 내년 운영 상황은 더 어려워 보인다. 정부가 내년도 지역화폐 예산을 전액 삭감해 지역화폐 발행이 불확실해졌기 때문이다. 민간 배달앱과 달리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공공배달앱을 이용하는 고객이 많았던 만큼 지역화폐 발행이 중단되면 이용률이 더욱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공공배달앱의 소비자의 이용률이 떨어지고 향후 수익성 등이 나아질 여지도 적다”며 “그럼에도 운영을 위해 매년 들어가는 세금이 상당하지 않나. 과연 배달 시장에까지 공공이 나서는 것이 적합한지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을 운영하는 경기도주식회사 관계자는 “배달 서비스를 넘어 더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종합적인 공공 플랫폼으로 발전하기 위해 다양한 의견과 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박해나 기자
phn0905@bizhankook.com[핫클릭]
·
한화그룹 경영승계 과정서 소액주주들 폭발한 속사정
·
'16억에 사서 9억에 손절한 중국인 큰손' 송도 아파트서 벌어진 일
·
"유리천장 깨졌다고?" 20대 기업 여성 임원 수 살펴보니
·
16시간 교육으로 정품 감별? 민간 자격증 '명품감정사' 전문성 논란
·
매출 257억 원, 영업적자 352억 원…당근마켓, 대표이사 교체 카드 빼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