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최근 강남권에 등장한 ‘공유 스쿠터’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 공유 퍼스널모빌리티와 관련한 문제가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스쿠터까지 등장한다는 소식에 기대감보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면허만 있으면 ‘누구나’ 이용 가능
최근 강남 곳곳에서는 공유 킥보드 사이에 세워진 스쿠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외형은 일반 스쿠터와 비슷한데 자세히 보면 열쇠를 꽂는 키박스가 없다. 킥보드처럼 앱을 통해서만 시동을 걸 수 있는 ‘공유 스쿠터’다. 모빌리티 업체 ‘스윙’은 11일부터 서울 강남에 스쿠터 100대를 비치하고 공유 스쿠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공유 스쿠터 서비스가 시작된 지 2주가 채 되지 않았지만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이미 보편화된 공유 퍼스널모빌리티가 ‘도로 위 민폐’가 돼버린 탓이다. 각종 안전사고와 주차 문제를 야기하는 공유 킥보드와 자전거 등의 전철을 밟을까 하는 걱정에 공유 스쿠터를 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
업체 측은 안전사고나 주차 문제에 대해 철저한 대비를 했다고 말한다. 킥보드 이용 시 제기됐던 안전모 미착용 문제는 스쿠터에 헬멧박스를 장착해 헬멧을 제공함으로서 해결했다고. 전동 스쿠터 뒤편에는 헬멧박스가 부착돼 있는데, 박스는 스쿠터 이용자만 열 수 있다. 전동 킥보드에 부착했던 헬멧이 자주 분실된 사례가 있는 만큼, 헬멧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다.
실제로 주차된 스쿠터의 헬멧 박스를 열어보려 했지만 열리지 않았다. 스쿠터의 QR코드를 스캔하고 시동을 걸고 나서야 앱에서 ‘헬멧 박스 열기’ 버튼이 생성됐고, 이를 누르니 잠겨 있던 스쿠터 뒤편의 헬멧 박스가 열려 헬멧을 꺼낼 수 있었다. 다만 이용자가 헬멧을 착용하는지는 확인하지 않는다. 해외의 경우 스쿠터 이용 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헬멧을 착용한 사진을 앱에 업로드하는 등 이용자 규정을 강화해 운영하고 있다.
업체는 무면허 운전과 관련된 사고가 많은 만큼 면허 인증 절차는 꼼꼼히 했다고 설명한다. 스쿠터 이용을 위해서는 회원가입 시 본인 인증을 해야 하고, 본인 명의의 운전면허증만 등록 가능하다. 면허증이 아닌 다른 사진으로도 인증이 되는 등 인증 단계가 허술하다는 지적도 나왔지만, 스윙 측은 “일시적 오류였으며 현재 해결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스윙 관계자는 “버그로 인해 일부 기종에서 면허인증시스템 오류가 있었으나 발견 직후 해결했다. 현재는 실시간으로 면허증 진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재정비했다”면서 “오류 해결 과정에서 제대로 등록되지 않은 면허는 모두 삭제하고 이용을 중지시켰다”고 전했다.
실제로 운전면허증이 아닌 다른 카드나 신분증 등을 촬영해봤지만 인증은 되지 않았다. 직접 운전면허정보를 입력해야만 인증 처리가 됐다.
#인도 주행, ‘길막’ 주차도 걱정
음주운전이나 여러 명이 동시에 탑승하는 문제 등은 여전히 제재가 불가능하다. 스쿠터 이용 시 안내하는 안전 수칙 중 ‘교통법규 준수’, ‘음주운전 금지’ 등의 문항에 동의만 하면 된다.
스쿠터의 인도 주행에 대한 걱정도 커지고 있다. 스쿠터는 이륜차로 인도 주행이 불가하다. 하지만 공유 스쿠터의 경우 최대 속도가 시속 40km로 제한되다 보니 이용자들이 도로보다 인도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공유 스쿠터가 이미 도입된 해외에서도 스쿠터 이용자들이 도로가 아닌 인도에서 주행해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상황이다.
전제호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인도 주행이 불가한 킥보드도 자전거도로는 이용할 수 있었다. 자전거도로가 인도에 인접하다 보니 그나마 자전거도로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많았다. 스쿠터는 이륜차로 분류돼 자전거도로 통행도 불가하다. 주차는 대개 인도에 하는데, 이때도 스쿠터에서 내린 뒤 끌어서 이동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이용자가 이러한 도로교통법을 준수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주차 문제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공유 모빌리티는 이용 후 특정 반납장소가 아닌 원하는 곳에 주차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 때문에 통행에 불편을 겪는 사례가 늘고 있다. 서울 송파구에 사는 김 아무개 씨는 “유모차를 끌고 다닐 때마다 길을 막고 널브러져 있는 킥보드 때문에 너무 불편하다. 매번 수거요청 전화를 하는데 이제는 스쿠터까지 마구잡이로 인도에 주차를 할까 걱정”이라고 전했다.
스윙 측은 “앱에 반납가능구역과 반납금지구역, 반납 시 페널티 부과 구역을 구분했다”며 “안내를 통해 반납 가능 지역으로 적극 유도하고 있다. 전기스쿠터는 시범 운영 후 반납불가구역을 더욱 세분화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반납금지구역은 주로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소 인근, 횡단보도, 인도 등 통행을 방해하는 장소가 지정돼 있다. 하지만 앱을 통해 강남 지역 스쿠터 위치를 확인한 결과, 반납금지구역에 주차된 스쿠터가 적지 않았다. 페널티가 부과되는 경우는 스쿠터 이용 지역인 강남을 벗어나 주차할 경우뿐이다. 결국 강남에만 주차한다면 페널티 부과가 없어 사실상 큰 효과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전제호 책임연구원은 “공유 스쿠터가 이미 전동 킥보드가 설치된 가장 혼잡한 도심 중심으로 추가되다 보니 우려가 커지는 분위기”라며 “주차 문제 개선은 시민의식이 성숙해지는 것이 우선순위지만 운영 업체가 페널티 부과 등을 강화하는 방식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PM업계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특정 업체만 패널티를 강화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국토부나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협의회에서 전체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박해나 기자
phn0905@bizhankook.com[핫클릭]
·
"요즘 연안식당 잘 안보이더니…" 디딤, 불안정한 행보에 요동치는 주가
·
[단독] 금감원, LG엔솔 전산 장애 논란 증권사에 민원처리 보상 권고
·
화장품 샀는데 '식품은 환불 불가'…갈 길 바쁜 컬리, '기본' 잊었나
·
[현장] 30만 몰린 트레이더스 유료회원제에 말 나오는 까닭
·
PB 인기 타고 전문매장 성공할까…신중해진 이마트, 야심만만 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