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배민·요기요·쿠팡·이마트 뛰어든 퀵커머스…'황금알'인줄 알았더니 '오리알'

도심 임대료 부담에 물류거점 확대 주저…수요 꺾이고 규제 가능성에 눈치보기만

2022.10.05(Wed) 10:50:46

[비즈한국] 유통업계가 새벽배송을 버리고 새로 꺼내든 카드는 퀵커머스다. 주문하면 15분에서 1시간 이내 즉시 배송해주는 퀵커머스에 유통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직 업계의 독보적 선두주자가 없다 보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너도나도 퀵커머스에 기웃거리는 상황. 하지만 시장 상황은 녹록지 않다. 

 

주문하면 15분에서 1시간 이내 즉시 배송해주는 퀵커머스에 유통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우아한형제들 홈페이지

 

#퀵커머스 시장 탐나긴 하는데, 성장 가능성 있을까

 

유통업계가 경쟁적으로 확대하던 새벽배송이 올해 적자 누적을 이유로 상당수 중단됐다. 새벽배송을 위해 구축해야 할 물류센터 투자 비용과 배송 인력에 대한 인건비, 여기에 마케팅 비용까지 쏟아부은 탓에 의미 없는 출혈경쟁만 이어졌기 때문이다.

 

새벽배송이 빠진 자리를 대신하게 된 것은 퀵커머스. 퀵커머스는 해외 시장에서 먼저 주목받았다. 국내 시장이 새벽배송에 집중할 때 미국, 유럽 등은 퀵커머스 서비스를 확대해나갔다. 지난해 미국 뉴욕은 퀵커머스 업체의 치열한 전쟁터가 되기도 했다. 

 

그와 비교하면 국내 시장은 조금 늦은 출발을 한 셈이다. 배달의민족(배민)이 2019년 업계 최초로 ‘B마트’를 시작했지만 이렇다 할 경쟁사가 없었다. 그러다 지난해 5월 요기요의 ‘요마트’, 7월 쿠팡이츠의 ‘쿠팡이츠마트’가 론칭했다. 올해 4월에는 이마트가 ‘쓱고우’ 서비스를 시작했고, 오아시스는 메쉬코리아와 손잡고 퀵커머스 플랫폼 ‘브이마트’를 준비 중이다. 

 

퀵커머스 시장에 뛰어든 업체가 많아지긴 했지만 아직까지 소비자가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배송 속도의 변화는 크지 않다. 대부분이 한정된 지역에서만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마트는 강남 지역에서만 서비스를 운영하고, 쿠팡이츠마트도 서울 송파와 강남, 서초, 강동, 성동 등 일부에서만 접할 수 있다. 가장 먼저 퀵커머스에 뛰어들었던 배민의 B마트도 서울과 경기, 인천, 대전의 일부 지역에서만 운영 중이다. 

 

배민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MFC(마이크로풀필먼트, 소규모 물류거점)에서 근거리 배송이 가능한 지역까지만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니 서울과 수도권이라 할지라도 배송이 불가한 지역들도 있다. MFC를 계속해서 늘려가려고 노력 중”이라며 “빠르게 확장하려는 목적보다는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해 나가자는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등의 지역 소상공인이 퀵커머스가 골목상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규제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사진=최준필 기자

 

#키워볼까 싶었는데 수요 꺾이고 규제 가능성까지

 

새벽배송에 경쟁적으로 뛰어들어 적극적인 투자를 하던 모습과 달리 퀵커머스 시장에 진입하는 유통업계의 분위기는 조심스럽다. 생각보다 즉시 배송에 대한 수요가 금방 식어버렸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미국, 유럽에서도 붐이 일었던 퀵커머스는 해가 바뀌며 열기가 확 사그라들었다. 최근 해외의 퀵커머스 업체인 프리지 노모어(Fridge Nomore), 바이크(Buyk), 1520 등이 자금 문제로 줄줄이 문을 닫기도 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엔데믹 상황에서는 예전만큼 소비자들이 퀵커머스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예전과 같은 호황을 기대하긴 어렵다”며 “독일 퀵커머스 업체 고릴라스(Gorillas) 등이 해외에서 자리를 잡고 서비스를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국내 시장과 다른 환경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해외는 국내처럼 새벽배송이나 쿠팡의 7시간 내 배송 등이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수요가 주춤한 상황에서 섣불리 퀵커머스 서비스를 확대하기엔 위험 부담이 클 것이란 예상이다. 퀵커머스는 도심 곳곳에 촘촘하게 MFC를 구축하는 것이 서비스의 핵심이다. 소비자 가까이에 MFC가 있어야만 빠른 배송이 가능하다. 결국 퀵커머스 확대를 위해서는 MFC를 늘려야 하는데,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설명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임대 등의 문제와 맞물려 있다 보니 업체마다 MFC를 확장하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퀵커머스 규제에 대한 목소리까지 높아져 업계의 긴장감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퀵커머스에 뛰어드는 업체가 늘어나면서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등의 지역 소상공인이 골목상권 침해를 주장하고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산업부에 요청해 ‘유통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을 위한 연구’ 용역을 추진했는데, 그 결과 MFC가 입점한 지역 인근의 편의점, 기업형 슈퍼마켓(SSM), 커피 전문점 매출이 각각 8.4%, 9.2%, 10.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자영업자들은 퀵커머스에 대한 규제의 목소리를 높이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유통업계는 ‘MFC 기반 퀵커머스 서비스가 해당 지역 소매 상권의 매출에 전반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어렵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에는 편의점도 모두 근거리 배송을 하지 않나. 또한 서비스 범위가 일부 지역에 한정돼있는 상황에서 MFC가 지역 상권에 영향을 준다고 보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본다”며 답답해했다. 

 

꺾여버린 수요에 규제까지 더해지면 퀵커머스 성장에는 제약이 걸릴 가능성이 크다. 서용구 교수는 “퀵커머스가 이제 막 커지려는 시점에서 수요가 줄었다. 비대면 소비에 대해 예전과 같은 호황을 기대하긴 어렵다 보니 퀵커머스의 성장 지속성이 다소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전국적으로 퀵커머스가 성장할 것이라고 보긴 힘들다. 다만 소비 시간이 부족해 소량의 상품을 구매하는데도 배송료를 내겠다는 수요가 있는 강남, 송파, 서초 등의 일부 지역에서는 현재와 같은 수준이 이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박해나 기자 phn0905@bizhankook.com


[핫클릭]

· '1분에 6병' 172만 병 팔린 박재범 '원소주' 흥행요소 짚어보니
· [고 이건희 사망 2주기] 부동산 대부분 아직도 '이건희' 소유…상속 안 된 이유는?
· 급식서 사라진 배추김치, 중고마켓선 물물교환 간청…'김치대란' 요지경
· [현장] 코로나 직격탄 맞았던 K-뷰티 성지 '명동', 엔데믹 이후 상황은?
· 연탄·기부금 줄고, 재고 음식 넘쳐…불황 엿보이는 기부 문화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