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5년간 금융권 횡령액 1100억 원, 그 중 올해 상반기 적발만 700억 원

우리은행 614억 원, KB저축은행 94억 원, 새마을금고 62억 원, 지역농협 120억 원 등…지난 5년 동안 최대 횡령 금액

2022.06.30(Thu) 16:55:32

[비즈한국] 올해 상반기 키워드는 '횡령', 그 중에서도 금융업계에서의 횡령이 두드러진다. 지난 5년 동안 금융권 횡령액은 1100억 원대로 추정되는데, 이 중 올해 상반기 밝혀진 횡령 규모가 700억 원에 달하는 상황이다. 금융권에서도 임직원 횡령 방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지만 외부에서는 관리·감독에 대한 불신이 가득한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 금융권 최대 횡령 사건이 발생한 우리은행. 사진=박정훈 기자

 

올해 최대 횡령 사건은 우리은행에서 발생했다. 4월 28일 우리은행 내부 감사 결과 기업 매각 관련 부서인 기업개선부에서 근무하던 차장 A 씨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약 6년간 세 차례에 걸쳐 614억 원을 횡령한 사실을 확인했다. 

 

우리은행이 자체감사를 통해 횡령 사실을 밝혀 고소장을 제출했고, A 씨는 함께 범행을 저지른 동생과 함께 경찰서에 자진 출석했다. A 씨의 횡령 자금은 2010~2011년 우리은행이 매각을 주관한 옛 대우일렉트로닉스 계약금 578억 원과 이자로 알려졌다. 

 

돈의 주인은 이란 가전회사 엔텍합(Entekhab)으로 계약이 파기되며 엔텍합 소유주인 다야니 가문이 한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걸었고, 중재판정부가 이란의 주장을 상당 부분 인정해 730억 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우리은행이 돈을 송금하기 위해 계좌를 열었지만 돈이 비어 있는 것을 확인하며 횡령 사실을 알아차린 것이다. 

 

5월 10일 금융위원회가 다야니 가문에 지급해야 할 배상금 730억 원 중 614억 원 상당을 우리은행을 통해 지급했고, 나머지 금액에 대한 반환 절차를 논의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A 씨는 횡령한 돈을 주가지수 옵션거래 등 개인 용도로 사용한 혐의와 해외 페이퍼컴퍼니 계좌로 50억 원을 빼돌린 혐의도 함께 받고 있다. 현재 A 씨와 그의 가족 재산 66억 원에 대해 추징보전 조치됐다. 

 

우리은행 직원의 614억 횡령은 지난 4년간 은행·보험·카드·증권 등 금융권에서 횡령한 금액보다 많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89억 8870만 원△2018년 55억 7290만 원△2019년 84억 7370만 원△2020년 20억 8280만 원△2021년 152억 6580만 원으로 약 400억 원 수준이다. 

 

뒤이어 5월 13일 KB저축은행 직원인 40대 남성 B 씨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횡령, 사무서 위조 혐의로 구속됐다. KB저축은행에서 기업금융 업무를 담당한 B 씨는 2015년 5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회사 내부 문서를 위조해 94억 원을 횡령했다. 

 

KB저축은행은 지난해 12월 B 씨를 대기발령 조치하고 경찰에 수사의뢰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체 감사를 통해 포착한 횡령액은 30억 원 수준이었으나 경찰 수사를 통해 액수가 3배 이상 늘었다. B 씨는 횡령금의 90% 이상을 도박으로 탕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횡령 사건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5월 25일 새마을금고에서도 40억 원에 달하는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 송파구 중앙새마을금고 본점에서 은행 텔러로 30년 넘게 근무한 C 씨는 고객들에게 예금이나 보험 상품을 가입시킨 뒤 만기일이 다가오면 신규 고객의 예치금으로 돌려막기를 하는 방식으로 횡령을 저질렀다. 

 

범죄 기간은 약 10여 년으로 금융권에서의 횡령 사건이 불거지자 C 씨는 압박을 느끼고 4월 경찰에 자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뒤이어 6월 28일 새마을금고에서 20억 원 대의 횡령 사건이 추가로 밝혀진다. 강릉의 한 새마을금고 직원 2명이 횡령죄와 배임죄를 저질렀다며 경찰에 자수한 것.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최근 특별 감사에서 해당 지점의 회계 장부와 보유 현금이 22억 원 가량 차이가 난다는 점을 확인한 바 있다. 

 

지역농협에서도 두 차례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 6월 24일 경기 광주시 오포농협에서 자금출납 업무를 담당하던 D 씨가 4월 타인 명의 계좌로 공금을 수십 차례 송금해 회삿돈 50억 원을 횡령했다. 범죄를 저지른 이유는 스포츠토토로 발생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함으로 알려졌다. 

 

뒤이어 파주시 지역농협에서도 직원 F 씨를 경찰에 고발했다. 회계장부를 작성하던 직원 F 씨가 최소 17억 원을 본인 계좌나 차명 계좌로 빼돌린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조사과정에서 밝혀진 횡령 규모는 최대 7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F 씨는 횡령한 돈을 가상화폐 투자, 수입차 구입 등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도 신한은행 2억 원 횡령 사건 등도 발생하며 금융권에 내부통제 장치뿐만 아니라 감독·검사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올해 금융업계에 발생한 횡령의 규모가 지난 5년 동안 가장 큰 액수를 기록하고 있어 대책 방지에 힘써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강민국 의원실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5월까지 금융권에서 횡령을 한 임직원은 174명으로 횡령 규모는 1091억 8260만 원에 달한다. 하지만 이 중 회수된 금액은 127억 1160만 원. 환수율 11.6%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연일 횡령 사건이 추가되고 있어 횡령 금액은 더욱 높아질 예정이다.

 

이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내부 통제 제도 개선 방안을 통해 금융회사들의 횡령 사고에 대처하겠다며 나섰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은행을 포함한 금융권에서 거액의 금융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다. 고객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금융산업이기에 사고에 더욱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며 “사고 예방을 위한 내부통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으로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다. 사진=비즈한국 DB

 

현재 금감원은 614억 원대 횡령 사건이 발생한 우리은행을 비롯한 은행·보험·증권 등 금융업별로 내부통제제도와 관련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금융권 전반에 대한 조사 결과를 취합해 구체적인 제도 개선에 나설 전망이라고 밝혔다. 

정동민 기자

workhard@bizhankook.com

[핫클릭]

· "물가 때문에 난린데" 배민·쿠팡이츠 '방문포장' 수수료 부과 움직임에 자영업자들 전전긍긍
· [재계 50대 총수의 집] ⑤ 하림·HDC·효성·영풍·셀트리온 '회사를 자택 주소로?'
· 'ESG경영' 강조한 최태원, SK실트론 지분 유지할까
· 삼성물산 '래미안' 가상세계 상표 출원, 왜?
· [현장] 계도기간 끝난 헬스장 가격 환불기준 표시제, 과연 지켜지고 있을까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