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인수 후 1년…신세계 업은 W컨셉 '쑥쑥', 카카오 만난 지그재그 '안갯속'

W컨셉, 매출 41% 영업이익 500% 성장…지그재그, 영업적자 50% 증가에 카테고리 확장 주력

2022.05.10(Tue) 15:14:16

[비즈한국] 신세계와 카카오가 여성 패션 플랫폼 ‘W컨셉’과 ‘지그재그’를 인수한 지 1년을 맞았다. 신세계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한 W컨셉은 지난해 눈에 띄게 성장했다. 반면 기대를 모았던 지그재그와 카카오의 시너지 효과는 아직 체감하기 어려운 모습이다.

 

#‘신세계’ 날개 단 W컨셉, 브랜드 인지도·확장성은 고민거리  

 

지난해 5월 신세계그룹은 온라인 쇼핑 부문인 SSG닷컴을 통해 여성 패션 플랫폼 W컨셉을 인수했다. SSG닷컴이 신선식품 판매에 치우쳐 있다는 한계가 지적되는 상황에서 W컨셉을 인수함으로써 패션 카테고리 부문 강화 효과를 노렸다.​ 

 

W컨셉은 신세계의 인프라를 활용해 매출 상승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최근에는 스타벅스와 협업한 마케팅을 진행했다. 사진=W컨셉 홈페이지

 

지난 1년의 성과만 놓고 본다면 W컨셉과 신세계의 만남은 합격점이다. W컨셉은 신세계의 인프라를 활용해 매출 상승효과를 톡톡히 봤다. ‘대한민국 쓱데이’, ‘데이원(DAY1)’, ‘랜더스데이’ 등 신세계그룹사 행사에 참여할 때마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4%, 194%, 87% 신장했다. 

 

오프라인 진출도 신세계를 등에 업은 덕에 수월했다. 지난해 10월 신세계 강남점에 W컨셉 팝업 매장을 오픈했고, 올해 3월에는 신세계백화점 경기점에 첫 오프라인 매장을 열었다. 

 

W컨셉 관계자는 “W컨셉은 2008년부터 10년 이상 온라인 판매에 집중했다”며 “현재는 매장을 찾는 고객 반응을 자세히 살피며 관찰하는 중이다. 추후 오프라인 매장 확대에 대한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고 전했다. 

 

W컨셉은 지난해 다수의 온라인 패션 플랫폼이 적자를 낼 때도 영업이익을 내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W컨셉은 지난해 총거래액은 2020년 대비 40% 이상 신장해 약 3300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1014억 원으로 전년 동기(716억 원) 대비 4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0억 원, 당기순이익은 27억 원으로 2020년 5억 원, 1억 8000만 원과 비교해 크게 늘었다.

 

SSG닷컴 관계자는 “W컨셉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현재는 SSG닷컴과 W컨셉의 특성이 다르다 보니 각자 보유한 상품을 서로 다른 플랫폼에 추가하는 등의 협업은 없었다”며 “하지만 단계적으로 협업이 추진된다면 이러한 부분도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신세계와 W컨셉의 시너지가 더욱 극대화되기 위해 W컨셉의 확장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디자이너 브랜드가 주를 이루는 W컨셉은 고객층이 구매력이 있는 젊은 여성 고객에 한정됐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이용률도 다른 패션 버티컬 플랫폼과 비교하면 확연히 떨어진다.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W컨셉의 지난 4월 활성이용자 수(MAU)는 약 57만 900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지그재그의 MAU가 384만 8000명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격차가 크다. 

 

W컨셉 관계자는 “디자이너 브랜드가 주로 입점해 있다 보니 확장성에 대한 고민은 갖고 있다.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 입점이나 고객 확대 등을 위해서는 W컨셉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우선적 과제”라며 “전사적으로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고, 올해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만나 ‘동대문 패션’ 지우는 지그재그, 적자 폭은 더 커져

 

지난해 4월 카카오는 여성 패션 플랫폼 지그재그를 인수했다. 카카오 공동체 합류 후 지그재그는 카테고리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양새다. 기존에 동대문 보세 의류 중심이던 상품군이 작년부터 브랜드 의류와 뷰티, 리빙 상품 등으로 확대됐다. 지그재그는 지난 1월 뷰티관을 오픈했고, 현재 라이프관 정식 오픈을 준비 중이다.​ 

 

카카오스타일은 지그재그의 카테고리 확장에 힘을 쏟고 있다. 사진=카카오스타일 홈페이지

 

카카오는 인수 초기만 해도 지그재그의 강점으로 꼽히던 개인화 추천 서비스 등을 보다 정교하게 선보이는 데 집중했다. 하지만 한정된 상품군으로는 성장성에 한계가 있었다. 비슷한 패션 버티컬 플랫폼의 경쟁이 심화되고, 거래액이 확대되는 만큼 적자 폭도 커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2020년 지그재그 거래액은 7500억 원 규모였으나 영업적자는 255억 원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지그재그는 여성 패션 플랫폼 최초로 연 거래액이 1조 원을 돌파했지만 적자 폭은 더욱 커졌다. 영업적자가 38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25억 원 늘었다. 

 

결국 선택한 것은 카테고리 확장이다. 고객층을 넓히기 위해서는 동대문 패션 시장을 온라인으로 옮겨오는 것을 넘어 다양한 상품군으로 고객 접점을 넓혀야 한다고 판단했다. 카카오스타일 관계자는 “지그재그는 여성 패션 앱 부문에서 업계 1위를 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었으나, 지난해부터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비전이 확대됐다”며 “이에 따라 패션뿐만 아니라 스타일이라는 범주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카테고리로 상품군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가시화되지 않았던 카카오와의 시너지 효과도 올 하반기부터는 좀 더 선명해질 것이란 예상이다. 지난달 카카오는 관련 사업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커머스 위원회’를 출범했다. 남궁훈 대표이사가 위원장을 맡고, 서정훈 카카오스타일 대표 겸 커머스 사업 부문 대표도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앞선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카카오와의 시너지 작업 등이 가시화된 것이 없었다. 하지만 지난달 커머스 위원회가 발족한 만큼 추후 카카오의 이커머스 시너지를 강화할지에 대한 전략을 논의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박해나 기자

phn0905@bizhankook.com

[핫클릭]

· '금산분리의 역습' 은행은 왜 유통·배달·통신 탐내나
· 공유 킥보드 4만 5000개 헬멧 어디로…"90% 분실됐다"
· 이수만, 청담동 피엔폴루스 2세대 16년 만에 매각…이유는?
· 할 사람 다 했다? 넷플릭스, 가입자 주춤하자 '계정 공유' 과금 만지작
· 거리두기 해제로 웨딩시장 '방긋' 가격 상승에 예비부부들 '울상'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