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레트로 열풍에도 '코원·소리바다·좋은사람들' 상폐 위기, 소액주주 어쩌나

줄줄이 감사 의견 거절…시장 상황 변화에 핵심 경쟁력 잃고 좌초

2022.04.06(Wed) 11:33:10

[비즈한국] 최근 국산 SNS 싸이월드가 우여곡절 끝에 서비스를 재개하면서 2000년대 감성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스마트폰이 없던 시절, 90년대생의 감성을 담당한 건 싸이월드뿐만이 아니다. PC에 소리바다를 설치해 최신 가요를 다운로드해 듣고, 수업 시간엔 COWON(코원) PMP로 몰래 인터넷 소설이나 좋아하는 가수의 뮤직비디오를 봤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 시절 추억 속 업체들의 현황은 그리 좋지 못하다. 

 

소리바다는 국내 최초 음원 P2P 서비스로 수많은 사용자를 모았지만 지금은 점유율이 낮다. 소리바다는 4일 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사진=소리바다 페이스북

 

#소리바다 ‘회생’ 신청, 코원 ‘적자’ 전환

 

지난 4일 한국거래소는 코스닥시장 2021사업연도 12월 결산법인 사업보고서를 심사한 결과 총 38개 업체에 상장 폐지 사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상장 폐지 위기에 처한 38개 업체 중에는 소리바다, 코원, 좋은사람들이 포함됐다. 이들 업체는 2000년대 각각 음원 유통, 전자기기, 속옷 시장에서 활발하게 사업을 펼쳤던 업체들이다. 대중에겐 여전히 친숙하지만, 전성기를 지난 이들 업체의 상황은 위태롭다.

 

1세대 음원 유통사 소리바다는 4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목적은 ‘재정적 위기 조정과 계속 기업으로서의 가치 보전으로 효율적인 경영 정상화 도모’다. 소리바다는 2021년 자본총계가 마이너스(-46억 원)로 돌아서며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됐다. 같은 날 관리비용 절감 등을 이유로 사옥도 청담동 블루펄빌딩에서 신사동 강남빌딩으로 옮겼다. 소리바다는 2020·2021사업연도 연속으로 △재무제표·서면진술서 미제출 △​회계처리 관련 내부통제 미비 △​낮은 자산 회수 가능성 등으로 ‘​감사 의견 거절’을 받아 상장 폐지 대상이 됐다.

 

소리바다는 2000년 국내 첫 음원 P2P 공유 서비스로 시작해 인기를 끌었다. 2001년 코스닥 시장 상장에 성공했지만, 이후 저작권법 침해 논란에 시달리며 각종 소송과 분쟁을 겪었다. 소리바다는 서비스 중단(2005년)을 거쳐 2007년부터 유료 서비스로 전환하면서 불법 논란에서 벗어났다. 

 

이후 삼성전자와 콘텐츠 공급 제휴를 맺는 등 사업을 이어갔지만 음원 서비스 시장에선 밀려나기 시작했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소리바다의 시장 점유율은 4.2%에 그친다. 소리바다는 CCM 음원 유통(씨씨엠스카이·씨씨엠러브), 연예 엔터테인먼트(윌엔터테인먼트), 화장품 유통(윌앤코스) 등 계열사를 통한 사업 다각화에 나섰지만 매출은 2019년 458억 원에서 2020년 215억 원, 2021년 110억 원으로 매해 쪼그라들며 자본잠식에 빠질 만큼 실적이 악화했다.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전 PMP와 전자사전으로 학창 시절을 책임졌던 코원(3월 31일 ‘코원플레이’로 사명 변경)의 사정도 소리바다와 크게 다르지 않다. 코원 또한 2020, 2021회계연도 연속으로 감사에서 의견 거절을 받고 증시에서 퇴출될 상황에 놓였다. 의견 거절 사유는 ‘감사 범위 제한’과 ‘계속기업 존속능력 불확실’이다. 2021년 불성실공시 벌금을 내지 않아 누적된 데다, 같은 해 10월 채권자 2인이 법원에 회사 파산신청을 해 소송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모바일 게임 사업(69.8%)이다. 코원은 2016년 모바일 게임 ‘해전1942’ 론칭을 시작으로 ‘9M 프로야구 21’ ‘앵거오브스틱5’ ‘드래곤 라자EX’ ‘포트리스 V2(스팀 버전)’ 등을 출시했다. 두 번째로 매출 비중이 큰 전자기기 사업(22.7%)도 고음질 플레이어·PMP·차량용 블랙박스 등을 판매하며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실적 악화는 막지 못했다. 연결기준 매출은 2020년 175억 원에서 2021년 68억 원으로 급감했고, 영업이익(3억 원→-62억 원)과 당기순이익(3억 원→-55억 원)은 적자 전환했다. 경영 상황이 악화하자 코원은 3월 31일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사업 다각화 의지를 밝혔다. 시설물 유지 관리업·빌딩 및 주택 관리업 등 부동산 관련 사업과 스포츠·매니지먼트·공연 등 문화 관련 사업을 추가하면서다. 코원 측은 “신규 사업을 준비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다.  

 

좋은사람들은 탄탄한 중견기업이었지만 경영권 분쟁, 경영진 횡령·배임 혐의 등으로 회사 안팎에서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좋은사람들, 실적 악화에 경영권 분쟁까지…소액주주 ‘전전긍긍’

 

좋은사람들은 ‘yes’ ‘보디가드’ ‘제임스딘’ 등 속옷 브랜드를 운영하는 업체다.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속옷 시장에 패션 속옷 열풍을 일으켰다. 대표 브랜드 보디가드와 yes는 화려한 패턴과 디자인으로 주목받으며 시장에 자리 잡았다. 좋은사람들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사세가 꺾였지만 매출 1000억 원대를 유지하며 명맥을 이어왔다. 

 

그러나 안팎으로 이어지는 부침에 휘청거리기 시작했다. 외부적으로는 속옷 시장에 다양한 업체가 뛰어들면서 보디가드 등은 올드한 브랜드가 됐고, 내부적으로는 악재가 이어졌다. 2007년부터 제품을 생산해온 개성공단1공장이 2016년 2월 정부의 개성공단 폐쇄 방침으로 전면 가동 중단된 것이 시작이었다. 

 

2018년부터는 내홍이 끊이지 않았다. 경영권 분쟁 소송, 실적 악화, 직원 줄퇴사, 경영진의 횡령·배임 혐의 고발, 회생절차 개시 신청, 소액주주와 노조의 회사 고발 등이 이어졌다. 운영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2020·2021사업연도 연속 감사 의견 거절을 받아 상장 폐지 위기에 놓였다. 적자를 이어가는 가운데 2021년 매출은 901억 원을 기록해 1000억 원 선마저 깨지고 말았다. 

 

문제는 이들 업체의 위기가 소액주주의 큰 피해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소리바다·좋은사람들의 경우 소액주주의 주식 비중이 각각 98.95%, 98.03%로 상당히 높다. 실제로 좋은사람들 소액주주는 피해자 모임(소액주주연대)을 구성해 직접 주총을 신청하고 대표이사 등을 해임했다. 

 

하지만 소액주주의 집단적인 대응에도 경제적 손실을 복구하기는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익명을 요구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코스닥시장서 상장 폐지한 회사는 대부분 소액주주 비중이 높다. 많은 경우 소액주주가 손실을 회복하지 못하고 (회사와의 갈등이) 마무리된다. 그런 곳은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은 지 한참 된 회사들이다. 투자자는 투자할 때 이미 리스크를 안았던 셈이다. 언젠가 오를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로 뛰어들었다면 손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라고 설명했다. 

심지영 기자

jyshim@bizhankook.com

[핫클릭]

· 돌아온 AI '이루다2.0', 혐오·개인정보 논란 벗어날까
· '치킨값 3만 원쯤이야…' 교촌·BBQ·BHC 회장이 사는 곳 보니
· [무궁화호가 사라졌다①] 5년간 36% 대량 감차에 벽지 주민들 '울상'
· [무궁화호가 사라졌다②] 코레일 '수익성' 이유 아니라더니 내부 문건선 인정
· 저출산·집값 상승·코로나19…어린이집 폐원, 1분기에 벌써 작년 절반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