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이슈

코로나 시대 눈에 띄는 '생물학적 위험 기호'의 유래와 의미

1966년 찰드 볼드윈이 개발, 의료폐기물 심벌로 사용…경고 강조 위해 색상, 모양 등 변화

2021.08.17(Tue) 14:46:23

[비즈한국]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다양한 ‘심벌’을 자주 접한다. 코로나19 이후엔 격리된 확진자의 자택이나 병원 등 곳곳에서 원 여러 개를 겹쳐 놓아 자동차 휠 모양과 닮은 도형을, ‘2020 도쿄올림픽’을 반대하는 시민단체 사람들의 손에서는 노란색과 검은색으로 이뤄진 피자 같은 표시를 마주했다. 과연 이러한 심벌이 의미하는 것은 뭘까.

 

격리 의료폐기물 심벌이 새겨진 용기.


우선 코로나 시대 특히 자주 보이는 심벌은 의료폐기물 심벌(Biohazard Symbol·​생물학적 위험 기호​)이다. 이 심벌은 1966년 찰스 볼드윈(Charles Baldwin)이라는 한 환경 엔지니어가 개발했다. 1966년 이전에는 생물학적 위험 기호의 종류가 상당히 많았다. 그러나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이 드물었고, 이 엔지니어는 미국 다국적 화학기업인 다우케미컬에서 표준화된 심벌을 개발했다.

 

그렇게 개발된 심벌이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개발 단계에서 고려된 40개 이상의 기호 중 사람들의 기억에 가장 잘 남는 심벌이 채택됐다. 이 기호는 감염 사슬을 나타내는 4개의 원으로 구성돼 있다. 각 원은 △감염 또는 위험한 상태를 유발하는 병원체 △병원체가 감염시키는 유기체 △병원체가 발생한 숙주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원체 전파 수단을 의미한다.

 

의료폐기물 심벌의 색상은 다양하다. 격리 의료폐기물은 붉은색, 봉투형 용기에 담기는 위해 의료폐기물 및 일반 의료폐기물은 검은색, 상자형 용기에 담기는 위해 의료폐기물 및 일반 의료폐기물은 노란색, 재활용하는 태반은 녹색 도형으로 표시해야 한다.

 

생물학적 위험 기호는 전 세계에서 동일하게 사용된다.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에 따르면 격리 의료폐기물은 감염병으로부터 타인을 보호하기 위해 격리된 사람에 대한 의료행위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뜻한다. 위해 의료폐기물은 혈액제제, 시험과 검사 등에 사용된 주삿바늘, 수술용 칼날 등을 말한다. 일반 의료폐기물은 혈액, 체액 등이 함유된 탈지면, 붕대, 일회용 주사기를 일컫는다.

 

확진자로부터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등 폐기물은 모두 격리 의료폐기물로 간주한다. 코로나 상황에서 붉은색 표시가 가장 흔히 보이는 이유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지난해 발간한 ‘감염성 의료폐기물 비상처리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에 따르면 생활치료센터에서 환자는 직접 폐기물을 소독해 전용 용기에 담아 밀봉해 문전 배출하면 매일 정해진 시간에 관리 인력이 수거 및 소독한다. 당초 격리 의료폐기물은 7일까지 보관할 수 있고 처리 기한도 2일 주어졌다면, 코로나 상황에서는 당일 위탁처리, 운반, 소각되도록 규정이 강화됐다.

 

2017년 시민단체 회원들이 학교급식 식재료에 대한 독립적인 방사능 기준 도입을 촉구하는 모습으로 방사능 심벌을 사용했다. 사진=비즈한국 DB


지난 8일 막을 내린 ‘2020 도쿄올림픽’ 전후에 유독 자주 보인 심벌이 있다. 바로 ‘방사능 심벌’이다. 환경 단체들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도쿄올림픽을 반대하며 방사능 심벌 표지판을 내세웠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현 소재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방사능 유출 사고 때문이다.

 

방사능 경고 심벌은 1946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방사선연구소에서 개발됐다. 작은 원 주위에 세 개의 프로펠러가 그려져 있는데, 방사선의 방출을 나타낸 그림으로 알려졌다. 방사능 경고 기호의 색상은 여러 번 변경됐다. 처음엔 방사능을 사용할 지역에서 파란색이 거의 파란색이 사용되지 않으리란 예측 하에서 파란색 배경의 기호가 사용됐다. 그러나 이후 더 눈에 잘 띄는 노란색 배경과 붉은색 기호로 변경됐고, 현재는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도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표=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 등에 관한 규정


이 외에도 영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해골 표시’를 사용한 심벌도 있다. 바로 급성 독성물질 경고 표시다. 급성 독성물질은 입이나 피부를 통해 1회 또는 24시간 이내에 수회에 걸쳐 투여되거나 호흡기를 통해 4시간 동안 노출했을 때 유해한 영향을 나타내는 물질을 말한다. 해골은 죽음, 위험, 위협 등을 의미하는데, 급성 독성물질 경고 표시에는 치명적이거나 유독한 경우 빨간색 테두리로 된 마름모 도형 안에 해골 그림이 들어간다. 다만 유해한 경우에 그칠 때는 해골을 느낌표로 대신한다.

 

이 역시 전 세계에서 쓰이는 심벌이다. 2002년 유엔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는 국제적으로 화학물질 분류 및 표시 방식이 통용될 수 있도록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화학물질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를 도입하기로 합의했고 이후 각국에서 GHS에 따라 경고 그림을 표준화했다. 이에 따라 당초 독성물질 경고 표시는 노란색 바탕에 해골 문양으로 그려졌지만, 환경부는 2008년부터 흰 바탕에 검은색 그림으로 바꿔 표시하고 있다.​

김명선 기자 line23@bizhankook.com


[핫클릭]

· '퀵커머스' 상표 확보 맞붙은 배민 vs 쿠팡, 승자는 누가 될까
· [유럽스타트업열전] 독일교민 가려운 곳 긁어주는 한국 인슈어테크 '마이크로프로텍트'
· [현장] 주민동의율 59.2%, 면적으론 13.1% 불과…흑석2구역 공공재개발 가보니
· 주목받는 창업템 '무인 밀키트 판매점'의 명과 암
· 마사회, '코로나19' 여파 경마 파행에도 임직원 연봉은 껑충 역시 '신의 직장'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