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5월 소비자 물가가 9년 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어 오르며 집과 주식 등에 투자하기 위해 ‘영끌’과 ‘빚투’를 한 20~30대 청년층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와 여당이 추진 중인 30조 원대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이 물가를 자극해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청년층을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5월 소비자 물가는 1년 전에 비해 2.6% 올라 2012년 4월(2.6%)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세계 각국이 시장에 자금을 대거 풀어놓은 데다 최근 미국 등의 백신 접종 확대로 글로벌 경기가 회복 기미를 보이면서 유가 등 각종 물가가 급등한 때문이다. 석유류 가격은 1년 전보다 23.3%나 급등하며 2008년 8월(27.8%) 이후 12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률을 나타냈다.
급격한 물가 상승은 금리 인상을 초래한다. 미국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최근 물가상승에 유동성 축소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터키와 브라질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했고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 전망을 내놓았다. 금리가 오를 경우 그동안 저금리에 빚을 늘린 이들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20~30대 청년층이 최근 저금리 시기에 다른 연령층에 비해 대출 규모를 크게 늘려왔다는 점에서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30대 청년층 가계대출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409.3조 원으로 1년 전에 비해 8.5% 늘어났다. 이는 전체 가계대출 증가율 7.0%보다 높은 수치다. 이로 인해 전체 가계대출에서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말 24.9%에서 2020년 9월 말 25.8%로 늘었다.
청년층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은 늘어난 유동성과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에 영끌과 빚투를 통해 주택과 주식을 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말 현재 청년층의 주택 관련 대출은 260.2조 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0.6% 증가했다. 20대의 경우 주택매입자금 중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의 비중이 26.1%, 30대는 29.1%를 나타냈다. 이는 40대 22.0%, 50대 16.7%, 60대 이상 9.2%보다 높은 수치다. 또 빚을 통한 주식투자인 신용융자의 경우 청년층의 증가률이 94.2%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았다. 40대는 83.4%, 50대는 86.9%였다. 다만 60대 이상만 95.9%로 청년층보다 소폭 높았다.
청년층이 주택과 주식 구입을 위해 빚을 늘린 상황에서 최근 급격한 물가 상승은 금리인상을 초래해 청년층의 원리금 상환 압박을 높일 수 있다. 20~30대 가계대출 규모가 409.3조 원임을 고려하면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갚아야 할 가계대출 이자만 4조 원 넘게 늘어나게 된다. 금리 인상 영향으로 전체 가구의 소비가 줄어들면 경제가 위축되면서 청년층의 구직난이 심해질 수도 있다. 청년층은 원리금 상환 부담은 늘어나는 상황에서 소득이 더욱 줄어들거나 일자리를 잃는 이중고에 빠지는 상태를 맞을 가능성이 있다.
금리 인상에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30조 원 규모로 추진하는 추경이 물가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은 전 국민 재난지원금 14조 원, 영업제한에 따른 손실보상 6조 6000억 원, 백신 유급휴가 지원 등 9조 원 등 총 30조 원 규모의 추경 편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경제계 관계자는 “금융시장이 소비자 물가가 한은 물가안정목표치인 2%를 지속적으로 웃돌 것으로 판단하고 움직이면 한은으로서도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저울질 할 수밖에 없다”며 “정치권이 추경을 코로나19 극복이 아닌 대선을 위해 필요 이상 대규모로 추진하면 물가에 악영향을 줘 자칫 ‘금리인상→소비위축→ 경기하락’이라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승현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핫클릭]
·
운동화 리셀 플랫폼 1위 '크림', 제멋대로 검수 기준 소비자 불만
·
1회 주사에 25억 원 '졸겐스마', 비난만 할 수 없는 이유
·
뜨거운 감자 'LH 사태' 성과급 반환 넘어 조직 해체로 이어질까
·
'스피드 주택 공급' 외친 오세훈, 재건축 대신 '재개발' 꺼내든 까닭
·
남성 흡연율 주는데…2030 여성 더 피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