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이슈

'배달특급' '배달의명수' 공공배달앱, 업주도 고객도 외면하는 이유

'월 주문 10건' 소비자 이용률 떨어져…허술한 기능과 운영으로 지자체장 업적용이란 지적

2021.03.31(Wed) 13:31:55

[비즈한국]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민간배달앱 시장에서 수수료 문제가 불거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배달앱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도입 초기만 해도 ‘착한 서비스’로 주목받던 공공배달앱이었지만, 어느 순간 자영업자도, 소비자도 외면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해버렸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선보인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2020년 12월 1일 배달특급 론칭을 기념해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황광희 배달특급 홍보대사가 사진 촬영을 했다. 사진=경기도청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야심작 ‘배달특급’, 사용자는 줄어들어

 

2020년 3월 선보인 1호 공공배달앱 ‘배달의명수(군산)’를 시작으로 ‘배달특급(경기)’, ‘먹깨비(서울·충북)’, ‘일단시켜(강원)’, ‘어디go(부산 남구)’, ‘배달e음(인천 연수)’ 등 현재 전국에서 운영 중인 공공배달앱은 20개 이상이다. 광주, 대구, 진주, 경주 등도 곧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가장 적극적인 서비스를 선보이는 것은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배달특급’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야심 차게 시작한 ‘배달특급’은 지난해 12월 서비스 시작 후 현재 약 19만 명 가입자를 기록, 11일 누적 거래액 100억 원을 돌파했다. 화성, 오산, 파주 등 3개 지역에서 시범서비스 시작 후 현재 이천, 연천, 양평, 김포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수원, 의왕, 안양 등 서비스 예정 지역의 일부 음식점도 배달특급에 가입해 주문을 받고 있다. 경기도주식회사 관계자는 “분기별로 지역을 확대해 올해 28개 지자체에서 서비스를 선보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경기도에서는 배달특급이 성공적으로 안착했다고 자평하지만 실사용자 수 분석결과는 다른 답을 내놓고 있다.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배달특급의 월 순방문자수(MAU)는 2020년 12월 21만 5101명에서 올해 2월 20만 2504명으로 5.8% 줄었다.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며 가입자 수는 늘었을지 몰라도 실제 앱 사용자는 줄고 있다는 의미다. 

 

다른 공공배달앱 상황도 비슷하다. 전북 군산의 ‘배달의명수’는 2월 순방문자 수 3만 1685명으로 지난해 12월(3만 7267명)보다 15% 줄었고, 서울·충북의 ‘먹깨비’도 2월 순방문자 수 7만 2480명으로 2개월 전보다 22%(9만 3295명) 감소했다. 인천e음도 순방문자 수가 지난해 12월 112만 7606명에서 2월 107만 7317로 4.5% 감소했다. 

 

민간배달앱 시장에서 수수료 문제가 불거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배달앱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다. 사진=최준필 기자


#소상공인 위해 만든 공공배달앱, 소비자 이용률 떨어지니 소상공인도 외면

 

공공배달앱의 가장 큰 장점은 낮은 수수료다. 민간배달앱이 6~16%의 수수료를 받는데 비해 공공배달앱은 1~3.5%로 저렴하다. 입점 수수료, 광고료 등도 받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혜택에도 불구하고 자영업자 반응은 떨떠름하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외식산업 배달 실태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보면 외식 업소가 배달앱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빠른 배달서비스, 시장점유율, 정산방식, 광고비, 판매수수료 순으로 나타났다. 수수료가 조금 비싸더라도 많은 소비자에게 높은 만족도를 줄 수 있는 배달앱을 선택한다.

 

공공배달앱은 이와 반대로 가고 있다. 소비자 이용률은 현저히 떨어지는데 저렴한 수수료만 강조한다. 경기도 의왕의 한 중국집은 배달특급에서 최근 한 달간 11건의 주문을 받았지만, 배달의민족에서는 최근 3개월 5000건 이상의 주문을 받았다. 월평균 1500건 이상의 주문이다. 공공배달앱과의 주문량 차이가 상당하다. 

 

경기도 수원에서 식당을 운영 중인 한 자영업자는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장점에 공공배달앱을 환영했는데 이용 손님이 거의 없다. 게다가 시스템도 복잡하고 엉성하다”면서 “메뉴 하나 수정하는 데 반나절이 걸린다. 관리자는 엉뚱한 메뉴를 올려놓지를 않나, 수정하려고 연락하면 며칠씩 걸린다”며 답답해했다. 

 

경기도주식회사 관계자는 “서비스 앱 오류와 관련해 개발사와 지속해서 소통하며 개선하고 있다”며 “CS 또는 가맹점 방문을 통한 의견 수렴으로 보완 중”이라고 설명했다.

 

지자체는 공공배달앱을 앞다퉈 선보이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사용이 불편하고 할인 혜택 등이 적어 외면하고 있다. 사진=이종현 기자

 

소비자 입장에서 공공 배달앱은 민간 배달앱에 비해 장점이 없다. 오류가 잦아 사용은 불편하고 할인, 적립 등의 혜택도 적다. 인천에 거주하는 박 아무개 씨는 “할인 혜택도 적고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과 비교했을 때 배달비가 저렴한 것도 아니다”라며 “쿠폰을 적용하려면 매번 오류다.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공공배달앱을 사용할 이유가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민간배달앱은 프랜차이즈 중심의 할인 혜택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하지만 공공배달앱은 세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마케팅 예산에 한계가 있다. 때문에 민간 배달앱 수준의 할인을 제공하기는 불가능하다. 공공배달앱을 이용 중인 자영업자 A 씨는 “수수료를 조금 높이더라도 소비자에게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이용자가 늘고 공공배달앱도 활성화될 것 같다”고 말했다.

 

민간배달앱은 앱 개발 및 유지 보수, 관리자 채용, 마케팅 등에 막대한 비용을 쏟아붓고 있다. 반면 공공배달앱은 세금으로 운영돼 민간 수준의 투자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나아가 공공배달앱이 일부 지자체장의 실적 채우기로 이용되면서 지속가능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 시선도 있다.

 

한국유통학회 명예회장인 김익성 동덕여대 교수는 “공공배달앱은 예산이 한정적이며 시장 변화에 따른 앱 개발 및 보완에도 한계가 있다. 지자체의 지원이 지속 가능해야 하는데 가능할지 의문”이라며 “지자체장 임기가 만료되면 사업이 흐지부지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여지가 있다. 소상공인에게는 혼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교수는 “장기적으로는 사적 영역에 맡기는 것도 고려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공공배달앱으로서 기능할지가 문제다. 일단은 공공배달앱이 소상공인 생존에 중요하기 때문에 제한적 요소가 있지만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해나 기자

phn0905@bizhankook.com

[핫클릭]

· 고양이 복막염, 집사들이 '무허가 신약물질'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이유
· 아현1구역 공공재개발 보류, 반대 의견서 명의도용 누군가 보니…
· '아지네마을' 유기견 후원금 펀딩 둘러싼 공방
· KT '구현모 체제' 1년 경영실적·내부혁신 뒷걸음 속살
· [단독]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 부인 토지 재산 축소 신고 의혹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