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고가의 장례비용 원인 중 하나로 장례업종 종사자간에 은밀히 존재하는 각양각색의 뒷돈 거래가 한몫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즈한국 취재 결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사설 장례식장을 중심으로 고객 유치에 대한 기여를 대가로 일정액이나 퍼센티지를 정해 팀장급 종업원 등에게 뒷돈을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비용은 결국 고객들이 내야 하는 장례비용에 고스란히 포함되는 실정이다.
가장 최근 조사인 지난 2015년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평균 장례비용은 100인 기준 1328만 원 정도다. 공영 장례식장을 이용하다 보면 이보다 3분의 1 안팎에서 장례를 치를 수 있다.
장례는 고인에 대한 마지막 예우를 갖추는 의식이다보니 유족 등은 장례비용에 대해 아까워하지 않고 가능한 지불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로 인해 업계에서 폭리와 불투명한 거래 방식이 성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지 오래다.
비즈한국이 확인한 뒷돈 거래 방식은 이러하다. 장례식장 내 상조팀장이 유족 고객을 유치하면 장례식장이 상조팀장에게 건당 수십만 원대의 뒷돈을 지급하는데 이를 업계 은어로 선콜이나 후콜이라고 한다.
선콜과 후콜은 장례식장 종사자들에게 고객 유치를 위한 동기부여 방법이라고 할 수 있지만 소비자들은 이에 대한 정보및 장례비용 포함 여부 등을 전혀 모르는 실정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제단알’(알은 알파벳 철자 R로 리베이트를 뜻함)이라는 뒷돈 지급도 성행하고 있다. 유족 등이 고인의 빈소를 차리게 되면 제단을 장식하기 위한 꽃을 주문하는데 제단 꽃 가격은 최소 수십만 원대에서 수백만 원대까지 널리 분포돼 있다.
이와 관련한 판매 금액에 따른 일정 부분을 장례식장이 상조팀장에게 챙겨주는 것을 업계에서는 제단알이라 칭하고 있다. 제단 꽃 가격의 30~40%를 주거나 50만 원 이내에서 현금으로 지급하는 경우가 일반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한 대형 사설 장례식장의 경우 장례식장 내 모든 상조팀장들에게 40만 원 씩, 제단 차림 가격의 40%를 현금으로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에 있는 대형 장례식장의 경우 선콜 50만 원, 후콜 30만 원을 주고 있다. 수원 소재 또 다른 대형 사설 장례식장의 경우 제단알과 관련해 50만 원, 선콜과 후콜 30만 원 씩을 지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도 사설 장례식장 업계에선 유골함, 납골당, 버스 대절 비용 외에도 변사체 수습 업무와 관련해 세분화 된 뒷돈 지급이 암묵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익명을 요구한 전직 장례업계 한 관계자는 “고객에게 알리지 않지만 시신 안치실료로 1시간 당 일정 금액을 산정해 장례비용에 포함시키기도 한다”며 “빈소 사용료를 무료라고 하고선 음식이나 장례용품 가격에 폭리를 취하는 방식 등 불투명한 방식이 성행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전직 장례업계 관계자는 “유족 등이 장례식장 측에 가격으로 항의할 수 없는 비용은 빈소, 안치실, 음식 가격 등이다. 그 외의 것은 소비자 선택 사안”이라며 “장례식 비용을 낮추기 위해선 업계의 자정 노력과 함께 판매가를 제재할 수는 없어도 공공 부문에서 세분화 된 정보 제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직 장례업계 관계자들은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장례업종에서 생존을 위해 고객 유치에 대한 동기부여 방식은 관행이자 문화로 자리잡았다. 차이는 있어도 많은 업종에서 이런 동기부여 방식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금이라도 장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장례업계 관계자들은 장례식장 시설이용료와 장례용품의 경우 사전에 확인하고 화장할 경우 고인의 거주지역 내 화장장을 이용해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장익창 기자
sanbada@bizhankook.com[핫클릭]
·
[단독] 프리드라이프 매각한 박헌준 일가 서울 쉴낙원 장례식장 운영 내막
·
삼성서울병원 인접 부지 착공, 리모델링 사실상 시작됐다
·
[단독] '왕회장 묘도 이장명령' 재벌가 명당 무리수의 그늘
·
[단독] 애지중지 둘째부인 별세, 강신호 동아쏘시오 명예회장의 쓸쓸한 말년
·
[단독] 서울대병원, 교통사고 후유증 사망자도 ‘병사’ 분류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