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라이프

[이주의 책] 폐지 줍는 노인 위한 나라는 없다 '가난의 문법'

'45년생 윤영자' 통해 구체적 일상 파고들어…노인이 일하지 않아도 살 수 있는 사회 돼야

2020.12.31(Thu) 16:07:42

[비즈한국] 할머니가 폐지와 고물을 가득 쌓아올린 카트를 힘겹게 끌고 간다. 그걸 보는 사람들의 시선은 대충 세 가지다. ‘늙어서 나도 저렇게 되면 어떡하지?’라고 두려워하거나, ‘나이 들어 참 안됐구나’라고 동정하거나, ‘나는 저렇게 안 되겠지’라고 외면하거나. 폐지 줍는 노인은 어느새 우리 사회에서 가난의 상징이 되었다. 하지만 아무도 그들의 삶을 눈여겨보진 않는다. 그들은 왜 폐지를 주울까? 어떻게, 왜 그 일을 하게 되었을까? 

 

사진=푸른숲 제공

가난의 문법
소준철 지음, 푸른숲
304쪽, 1만 4400원

 

2015년 3월의 어느 날, 가양역 근처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작은 골목을 지나가는데, 1km가 채 안 되는 거리에서 재활용품을 줍는 노인 여럿을 보게 됐다. 그녀들은 함께 다니는 게 아니었다. 그녀들은 어떤 갈림길에 다다르자 뿔뿔이 흩어졌다. -271쪽 

 

‘가난의 문법’의 저자 소준철은 어느 날 한 무리의 노인을 목격했다.​ 소준철은 이들을 외면하거나, 동정하거나, 두려움을 느끼기보다는 연구하기를 택했다. ‘가난의 문법’은 그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현장을 조사하고 연구한 결과물이다. 폐지로 대표되는 재활용품을 수집하는 도시 여성 노인의 삶을 통해 가난을 들여다본다. 

 

여성으로 특정한 것은 폐지를 줍는 노인 가운데 남성보다 여성이 많기 때문이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평균수명이 더 긴 데다 체력이 달리고 특별한 기술이나 직업 경력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다. ‘가난의 문법’은 이들을 대표하는 70대 여성 ‘윤영자’의 카트 뒤를 따라 북아현동 골목 곳곳을 누빈다. 

 

‘윤영자’는 1945년생, 전남 해남 출신에 국졸이며, 자녀는 3남 3녀를 두었다. 한때는 돈을 제법 벌어 북아현동에 단독주택을 소유했으나 자식들 사업자금을 대느라 집을 팔아, 지금은 북아현동 다세대주택 반지하에 거주한다. 자식이라는 (실제론 부양하지 않는) ​부양의무자가 있다는 이유로 기초노령연금을 받지 못하는 데다 남편이 대장암에 걸려 일을 못 하게 되자 폐품을 주워 팔기 시작했다. 이 일로 벌어들인 돈과 연금이 영자씨의 소득 전부다. 

 

두 시간가량 거리를 헤맸다. 충정로에서 서대문까지, 그리고 서대문에서 다시 아현동 가구 거리까지. 오전부터 지금까지 움직인 거리는 대략 오 킬로미터 정도다. 걷다가 멈추는 일을 반복해 속도가 쉬이 나지 않았다. 버려진 것을 모두 줍는 것도 아니었다. 더미를 뒤져 쓸 수 있거나 팔 만한 것을 골라냈고, 카트에 넣고 이동하기 쉽게끔 접고 포개는 일을 반복해야 했다. 조금만 걸어도 온몸에 땀이 흘렀다. (중략)

영자씨 맞은편에서 다른 할머니가 리어카를 끌고 올라온다. 두 사람은 서로를 흘깃 쳐다보고 마주 지나쳤다. “저 할매 징허네. 많이도 주웠네. 느리적기리믄 일났겄구먼.” (중략)

과속방지턱 하나를 넘다가 카트에 쌓아둔 것들이 쏟아져버렸다. 그녀는 급한 손으로 종이상자를 맨 아래부터 다시 쌓았다. 그 위에 깡통을 얹고, 고무줄을 카트 위아래로 꽉 쪼맸다. 하얀 간장통 세 개는 손잡이에 매달았다. -79~83쪽

 

한때는 폐지 수집으로 버는 수입이 제법 쏠쏠했다. 그러나 경쟁이 늘고 폐지값까지 떨어지면서 하루 종일 폐지를 모아도 생활비 대기도 힘들다. 2018년 3월 ‘폐기물 대란’이 일어나 폐지 수출이 중단되면서 국내 폐지 가격이 폭락했고, 폐지 회수 노인의 수입도 급감했다. 2020년 9월 현재 전국 평균 폐지 가격은 1kg에 66.6원이다. 

 

“할매, 많이 했소?” “얼마 못했지라. 거 할매는 어따 파셨소?” “쩌기 충현동 기찻길 옆이 삼십오 원에 사대요.” 영자씨는 다시 물었다 “중국이 어쩌고저쩌고 해서 폐지값이 폭락을 해쌌는데, 할매는 괜찮으요? 고물상서 을매나 줬소?” “오늘 리어카 하나 채웠응께 백팔십 키로 좀 넘었구먼. 사백 원 더 받아서 칠천 원 했네, 어제 오늘, 중국이 해쳐먹는지 고물상이 해쳐먹는지 모르겄소.” 영자씨는 부러운 목소리로 답했다. “지보담 허벌라게 해부렀소.” -98~99쪽

 

그나마 카트는 덜 무겁지만, 50kg 이상 나가는 리어카에 200~300kg 되는 재활용품을 싣고 다니느라 이들 몸은 성한 곳이 없다. 근골격계 질환은 물론 우울과 불안 등 심리적인 문제도 안고 있다. 골목이나 새벽·밤길에는 교통사고를 당해 숨지는 일도 종종 벌어진다. 고물을 훔쳐가는 사람들이 있어서, 수집하는 중간에 화장실을 갈 수도 없고 보관하기도 쉽지 않다. 아는 사람을 피해 멀리까지 재활용품을 주우러 다니는 노인도 많다.

 

그렇게 해서 벌어들이는 돈이 얼마나 될까?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추정한 바에 따르면 이들이 수입은 2017년 기준 한 달에 57만 원이다. 2015년 여러 언론 매체의 보도를 보면, 당시 최저시급이 5580원이었는데 폐지로 노인들이 벌어들이는 돈은 시간당 고작 500원에서 1000원을 겨우 넘기는 정도였다. 

 

카트를 끌고 있는 노인의 모습으로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없다. 사진=최준필 기자

 

그럼에도 이들이 폐지 수집을 그만두지 못하는 건 마땅한 수입원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 노인들이 폐지 수집에 나서는 것은 집안일과 병행할 수 있어서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폐지를 회수하는 사람의 약 73%가 70대 이상이며, 이 가운데 36%가 80대 이상이다. 더구나 70대 이상 고령자 비중은 매해 증가하고 있다(관련 기사 갈수록 낮아지는 폐지 값…생계 절벽에 놓인 폐지 회수 노인 실태). 

 

버는 돈은 대부분 병원비와 공과금, 식비, 혹은 월세로 나간다. 그나마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부양의무자가 있다는 이유로 생계급여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 2018년 보건복지부 산하 노인인력개발원 추정에 따르면 전체 노인 735만 명 가운데 6만 6205명이 재활용품을 수집한다.

 

한국 사회의 고용정책은 65세 이상 노인이 더 이상 노동하지 않고 사회보장제도의 보호를 받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현실은? 노인 빈곤율과 취업률은 세계 1위이고, 정부는 ‘노인 일자리’ 사업을 펼친다. 사회가 받쳐주지 못하는 생계의 빈틈을 고스란히 노인 개개인이 메우고 있다. 

 

지금의 노인들은 이전 세대에 비해 생존 연령이 길어져 늙어감에 대처해야 하며, 다음 세대에 비해 국가 사회보장망의 보호가 미약한 상황 속을 ‘버티고’ 있다. 무엇보다 생계에 대한 책임은 (예나 지금이나) 개인이 고스란히 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49쪽

 

더 이상 노인들이 폐지를 줍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재활용품의 단가를 올려서 노인들의 수입을 늘려줘야 할까? 아니면 재활용품 배출부터 수거까지 모든 단계를 국가에서 관리해 아예 재활용품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할까?

 

저자는 노인들이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노인 일자리’를 만드는 게 복지가 아니라 노인들이 일을 하지 않고도 생계 불안 없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게 복지이며, 정부가 나서서 사회의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이다. 

 

사회가 해야 할 일은 이 소득을 ‘재활용품 판매’가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노인들이 (일을 하지 않더라도) 더 나은 기초소득을 가질 방법을 고민하는 데 있다. -278쪽 

 

우리는 ‘늙는다는 것이 역사상 처음으로 정상적인 것이 된’ 사회에 살고 있다. 많은 비혼·미혼 여성들이 폐지 줍는 노인을 보며 막연한 공포심을 느끼는 건, 지금 노인의 모습이 내가 맞닥뜨릴 미래일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2020년의 마지막 날, 돌이켜보면 올해 한국 사회에서는 코로나19로 수많은 자영업자와 프리랜서가 눈물 흘리는 가운데 누군가는 ‘로또 청약’을 하고 주식에 ‘영끌’했다. 안전망이 잘 갖춰져 미래가 불안하지 않은 사회라면 과연 이렇게까지 사람들이 미쳐 날뛰었을까.

 

우리가 늘 복지국가의 표본으로 내세우는 북유럽에서는 직장을 잃더라도 생계와 미래에 대한 불안 없이 새로운 선택과 도전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보장하고 지원한다. 기본소득이건 노령연금이건, 2021년 새해에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최소한 생계 걱정 없이 살 수 있도록 안전망이 확충되길 바란다. ‘​가난의 문법’​은 ‘​45년생 윤영자’​의 하루를 통해 그동안 피상적으로만 알던 폐지 줍는 노인의 일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더 나은 사회를 바라는 사람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김남희 기자

namhee@bizhankook.com

[핫클릭]

· [올드라마] 새해 방구석 1열에서 즐기는 클래식 '베토벤 바이러스'
· [이주의 책] 셀트리온의 성공 DNA를 파헤치다 '셀트리오니즘'
· [이주의 책] 가는 트럼프 오는 바이든 '그 일이 일어난 방', '조 바이든, 지켜야 할 약속'
· [이주의 책] '걱정이 넘치는 사람을 위한 가이드북', '풍요중독사회'
· 갈수록 낮아지는 폐지 값…생계 절벽에 놓인 폐지 회수 노인 실태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