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이달 현재 부도 위험이 가장 낮은 시중은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해 정부 방침을 따르지 않고 대손충당금을 쌓아 온 한국씨티은행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정부 시책에 따라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대출 지원을 강화할 수밖에 없는 국내 시중은행으로선 대손충당금 적립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대손이란 외상매출금 등의 채권이 회수불능 되는 상태를 말하며 대손충당금은 장래의 대손으로 인한 재무건전성 악화에 대비해 쌓아 두는 충당금을 말한다.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를 극복하기 위해 시중은행들에게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에 대한 대출지원 강화를 독려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영업 중인 외국계 대형 시중은행인 씨티은행과 SC제일은행은 은행 건전성 강화를 위해 이러한 정부의 권고에 불응하고 있다.
결국 금융당국은 씨티은행과 SC제일은행에게 할당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대출 지원분을 국내 은행들에게 떠맡겼다. 신한, KB, 하나, 우리 등 4대 금융지주 소속 시중은행과 농협은행이 담당했다.
이밖에 씨티은행은 정부가 기업 자금난을 진정시킬 목적으로 조성한 총 20조원 규모 채권시장안정펀드에도 참여하지 않았고 긴급재난지원금도 불참했다.
이렇듯 사회적 약자 지원에는 냉담한 씨티은행이지만 역설적으로 차곡차곡 쌓은 대손충당금으로 인해 현시점에서 부도위험은 가장 낮은 은행이 된 것이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씨티은행의 경우 동참을 독려하면 한국에서 철수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 더 이상 독려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씨티은행 측은 “금융당국에서 정부지원 예산의 조기집행을 위해 은행 실적에 따라 재배정한 것이며 당행은 코로나 19 관련 다양한 형태로 정부정책에 따라 지원하고 있다”며 “ 당행은 한국 철수를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해명했다.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대출금 중 회수가 불확실하거나 손실이 예상되는 등 부실위험에 대비한 대손충당금을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인 고정이하 여신으로 나눈 비율이다. 은행이 장래에 닥칠 수 있는 최악의 위험인 부도에 대한 방어 능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다.
일반적으로 대손충당금과 부실 규모가 균형을 맞추는 100% 이상이 유지돼야 자산건전성을 확보했다고 평가되며 금융당국도 이를 권고치로 은행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194.1%의 한국씨티은행이다. 그 다음으로 SC제일은행이 170.6%로 높았다. 국내 4대 시중은행들을 살펴보면 각각 국민은행 126.7%, 우리은행 120.7%, 신한은행은 110.5%, 하나은행은 95.15%를 보였다.
특히 4대 시중은행 중 적립비율이 가장 낮은 하나은행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금감원 권고치인 100%를 밑돌고 있다. 2016년 72.77% 이후 2017년 75.92%로 2년 연속 70%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2018년 91.52%로 90%대로 올라섰으나 지난해에도 94.13%로 4년 연속 100%에 미달하고 있다.
아울러 하나은행은 상대적으로 대기업에 비해 위성성이 높은 중소기업 대출이 지난해 87조 9330억 원으로 1년 전 79조 6900억 원에 비해 8조 2430억 원으로 10.3%나 늘었다. 같은 기간 4대 시중은행 평균 증가율은 7.5% 수준이다.
하나은행은 부실 대출 가능성에 충분히 대비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부실 대출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담보대출 비중이 가장 높다. 단순히 대손충당금 적립비율만으로 자산 건전성을 판단할 수는 없다. 어떤 평가를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적립률에서 차이를 보인다”며 “고객의 예금을 운용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선제적인 리스크관리를 통해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2019년 말 기준 하나은행의 담보대출 비중은 64%로 국민은행(61%), 신한은행(53%), 우리은행(44%)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다. 반면 신용대출 비중은 20%로 4대 은행 가운데 가장 낮다.
하나은행은 올해 2분기 대출 증가, 시중은행 최저 연체율, 충당금 적립 확대 등에 따라 자산건전성 관련 지표들인 고정이하 여신(NPL)비율과 NPL커버리지 비율은 각각 역대 최저치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재무건정성이 개선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대 시중은행들은 올해 2분기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쌓아 나갔다. 그러나 국내에서 영업하는 씨티은행 등 외국계 은행뿐만 아니라 최근 미국과 유럽의 대형은행들이 대규모로 충당금을 적립하는 것에 비해선 한참 부족하다는 진단이 나온다.
미국의 초대형 은행인 JP모건의 2분기 대손충당금은 사상 최대 규모인 104억 7000만 달러(한화 약 12조 4000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93억 달러나 늘렸다.
JP모건은 코로나19 확산으로 미국의 성장률과 2021년까지 서부텍사스산 중질유(WTI) 가격 약세를 예상하면서 공젹적인 대손충당금 확충에 나서고 있다.
국내 4대 시중은행이 대손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적립하지 않은 데에는 정부의 방침 영향도 컸다. 지난 4월 금융위원회는 금융상품에 대한 손상 처리 안내 자료를 내고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정책상 지원되는 중소기업 대출채권 상환 유예는 금융기관 대출채권의 채무불이행 위험을 바로 증가시키지 않는다”며 당장 손상으로 인식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중은행의 건전성 악화를 우려한 금융당국은 미세한 입장 변화를 보이고 있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지난 5월 말 금융감독자문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충당금과 내부유보를 늘리는 등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손실 흡수능력을 최대한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정부는 코로나19를 명분으로 여전히 국내 시중은행들에 대한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 정부는 당초 오는 9월 말까지로 계획했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를 재연장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시중은행들의 부담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장익창 기자
sanbada@bizhankook.com[핫클릭]
·
'발행어음' 한투·NH·KB증권, 자본적정성 악화에 신용등급 하향 압박 고조
·
하나은행, '채용비리' 재판 2년째 1심 계류 중인 까닭
·
'DLF 사태' 우리·하나은행 3분기 민원 최다, 카뱅은 10만 명당 최다
·
[단독] 모 시중은행, 1·2심 징역형 선고 부행장 감싸고 승진까지, 왜?
·
[현장] 정무위 국감 "DLF 사태, 금감원도 책임" 한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