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현장] 요즘 영화관엔 직원은 없고 스타트업만 있다

무인결제시스템, 얼굴인식 발열체크, 자율주행로봇 등 비대면 아이디어 실험하며 '윈윈'

2020.07.16(Thu) 17:20:06

[비즈한국]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직격탄을 맞은 영화관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는 ‘기회의 땅’이 되고 있다.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방문하는 영화관을 자신들의 기술을 실증할 최적의 장소로 평가한다. 영화관 측 역시 관객들이 더 편리하게 영화관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없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영화관의 비대면화는 코로나19 확산 이전부터 진행될 만큼 관심사다. 영화관이 비대면 서비스를 지향할수록 기술을 제공하는 중소기업·스타트업들도 덕을 본다. 사진=박찬웅 기자

 

영화관은 비대면 서비스가 가장 활발하게 보급되는 장소다. 코로나19 확산 이전부터 영화관들은 티켓 발권 무인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이용자들에게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무인 결제 시스템 서비스가 한층 더 발전했다. 롯데시네마는 무인 결제 시스템인 ‘스마트 키오스크’에 음성인식 기술을 더했다. 이제 영화 관객들은 간단한 음성 명령만으로 영화 예매와 매점 상품 구매를 할 수 있다. 또 OCR(광학문자인식, Optical Character Reader)기술도 스마트 키오스크에 탑재돼 직원 없이도 신분증 확인 및 할인 절차를 밟을 수 있다.

 

롯네시네마에서 제공 중인 스마트 키오스크. 음성을 통해 티켓을 발권하고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 사진=롯데컬처웍스


코로나19 확산 이후 관객들은 영화관 입장 시 발열 체크를 받아야 하는데, 이 역시 비대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비대면 얼굴인식 발열체크 시스템인 ‘스마트 패스’가 0.5초 내로 얼굴을 인식하고 체온까지 측정한다. CJ CGV는 6월 14일 기준으로 전국 115개 지점에 스마트패스를 설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메가박스는 6월 29일 기준으로 직영 32개 지점에 총 50대를 도입했고, 7월 중으로 미설치 16개 지점에 추가로 스마트패스를 도입할 방침이다.

 

CJ CGV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여의도점을 통째로 ‘언택트(Un-tact) 시네마’로 선정해 시범 운영 중이다. 기존 무인 결제 시스템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대면 서비스도 도입해 눈길을 끈다. ‘픽업박스’는 투명한 LED 창으로 만들어진 픽업박스를 노크하면 문이 열리면서 관객이 주문한 음식을 찾아갈 수 있는 픽업 서비스다. 

 

CJ CGV 여의도점에서 운영 중인 픽업박스. 직원이 음식을 픽업박스에 넣어 놓으면, 이용자는 QR코드 인식 후 픽업박스를 두드리면 음식을 찾아갈 수 있다. 사진=박찬웅 기자


관객 혼자 예매 정보가 담긴 QR코드를 무인기기에 인식한 후 상영관에 입장하도록 돕는 ‘스마트체크’도 주목할 만한 서비스다. 영화관 이벤트나 상영 시간표, 화장실 위치 같은 주요 정보 사람이 아닌 자율 주행 로봇 ‘체크봇’이 제공한다. 로봇이 이용자를 직접 찾아간다는 게 타 로봇과의 차별점이다. 이를 통해 CJ CGV 여의도점에서는 이용자들이 직원에게 주문한 음식을 받고, 티켓을 확인받고, 화장실 위치를 묻는 일을 더는 볼 수 없게 됐다.

 

이 밖에도 CJ CGV는 여의도점에 무인 중고거래 자판기도 설치했다. ‘투명 사물함’에 판매자는 전화번호와 상품 설명, 가격을 입력한 뒤 판매할 중고 상품을 넣어두면 된다. 해당 물품이 필요한 이라면 누구든 값을 지불한 후 사물함을 열어 상품을 가져갈 수 있는 비대면 중고거래 자판기다. 

 

CGV 여의도점에서는 관객들이 스마트체크 서비스를 통해 직원 도움 없이 상영관에 입장할 수 있다. 사진=박찬웅 기자


흥미로운 점은 영화관의 비대면 서비스가 확대될수록 중소기업, 스타트업들이 수혜를 누린다는 사실이다. 대부분의 영화관이 중소기업, 스타트업들과 협업을 통해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시네마 스마트 키오스크에 담긴 기술은 AI(인공지능) 전문기업 엘젠ICT에 의해 개발됐다. CJ CGV에 보급되는 스마트패스는 IT 중소기업인 AHA정보통신의 작품이다. CJ CGV 여의도점에서 운영 중인 체크봇은 시스콘엔지니어링에서 만들어냈으며, 같은 지점에 설치된 무인 중고거래 자판기는 ‘파라바라’의 사업 모델이다. 

 

CJ CGV 여의도점에서 운영 중인 자율 주행 로봇 체크봇. 사진=박찬웅 기자


중소기업, 스타트업과 영화관 관계자들은 협업이 서로에게 ‘윈윈(Win-Win)’이라고 주장한다. 김흥수 시스콘엔지니어링 대표는 “우리는 공장 자동화 주력 산업인 기업이다. 최근 자율 주행 모바일 로봇을 개발했는데 우리로서는 로봇의 성공 가능성을 실증할 장소가 필요했다. 그 찰나에 CJ CGV로부터 협업 제안을 받았다”며 “산업용 로봇뿐만 아니라 일반인이 대상인 서비스 로봇으로 영역을 확장할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 영화관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방문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CJ CGV 관계자는 “우리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고객들이 영화관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중소기업, 스타트업의 기술력은 방문객들이 이용하면서 느끼는 개선점들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며 “현재 여의도점에서 시범 서비스 중인 언택트 시네마 역시 고객들이 편리하다고 느낀다면 이를 더 확대해 나가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과정에서 중소기업, 스타트업들과 계속해서 상생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찬웅 기자

rooney@bizhankook.com

[핫클릭]

· 게르마늄 팔찌 이어 '미세전류 팔찌' 등장, SNS 건강제품 주의보
· 신한금투, 라임 펀드 1611억 반환 위기 처한 사연
· "회생채권 98% 탕감" 투명치과 원장 회생 신청에 환자들 반발
· 동행복권 전산시스템 도입에 판매점 반발하는 까닭
· [인터뷰] "기존 택시에 먼저 혁신할 기회 줘야" 이행열 마카롱택시 대표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