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라이프

[아빠랑] 정자 하나에 '효'와 정자 하나에 '충'과…장흥 정자 여행

탐진강 내려다보는 그림 같은 풍광 보며 10여 개 정자에 담긴 이야기 듣기

2020.07.07(Tue) 12:21:01

[비즈한국] 물 맑은 탐진강이 흐르는 전라남도 장흥은 손꼽히는 조선 시대 정자 문화를 자랑한다. 탐진강 따라 그림 같은 풍광 속에 10여 곳의 정자가 자리 잡은 덕분이다. 저마다 개성 있는 멋을 자랑하는 정자마다 깃든 사연도 제각각이다. 어느 곳은 효(孝)를, 다른 곳은 충(忠)을, 또 다른 곳은 절개(節槪)를 담은 이야기가 전해온다. 주변과 조화를 이루는 아담한 건물, 울창한 숲이 원림을 이루는 모양은 공통적이다. 아직은 모르는 이들이 더 많은 장흥의 정자를 둘러보며 한적한 여행을 즐겨보자. 

 

부춘정​ ​서쪽에는 탐진강이 흐르고 주변에는 붉은 소나무, 푸조나무, 개서어나무 등으로 이뤄진 원림이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사진=장흥군청 블로그​

 

#대를 이은 효심이 만든 정자, 용호정원림

 

용호정은 장흥의 탐진강 상류의 벼랑 위에 세워진 조선 시대 정자다. 정자 주변이 울창한 숲을 이루면서부터 용호정원림(전라남도 기념물 제68호)으로 부른다. 원림(園林)이란 집터에 딸린 숲을 뜻한다. 

 

용호정원림은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지는 효심 덕분에 생겨났다. 조선 순조 때 장흥의 선비 최영택은 부친상을 당하자 3년 동안 강 건너 산에 있는 묘소에 하루 세 번씩 거르지 않고 성묘를 했다. 비가 많이 와서 강을 건널 수 없을 때는 지금의 정자 자리에 단을 쌓고 절을 하였다. 조부를 그리워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안타깝게 여긴 아들 최규문이 그 자리에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정자를 지은 것이 용호정원림의 시작이다. 정자 안에는 이런 사연을 기록한 ‘용호정기’를 비롯해 편액 23개가 걸려 있다.

​ ​

조선 순조 때 선비 최영택은 부친상을 당하자 3년 동안 강 건너 산에 있는 묘소에 하루 세 번씩 거르지 않고 성묘를 했다. ​​이런 아버지를 안타깝게 여긴 아들 최규문이 그 자리에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정자를 지은 것이 용호정원림의 시작이다. 사진=구완회 제공


현재의 정자는 1947년에 고쳐 지은 것으로 원래보다 2칸 더 넓어진 것이다. 밤나무와 느티나무만으로 지은 용호정은 가운데 방을 두고 사방에 마루를 둘렀다. 아담한 정자 마루에 앉으면 유유히 흐르는 탐진강이 흡사 한 폭의 산수화처럼 펼쳐진다. 정자 주위를 포근히 감싸는 숲은 여름에도 서늘한 기운을 풍긴다.

 

#정자에 깃든 의병장의 충절, 부춘정원림

 

부춘정은 조선 선조 때 의병장 청영 문희개가 지은 정자다. 언덕 위 정자의 서쪽에는 탐진강이 흐르고, 주변에는 붉은 소나무, 푸조나무, 개서어나무 등이 수려한 경관을 이루고 있다. 탐진강 경관에 주변 숲까지 합해 부춘정원림이라고 부른다. 

 

부춘정의 원래 이름은 청영정이었다. 조선 중기의 선비 청영 문희개가 처음 세우고 자신의 호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문희개는 임진왜란 때 아버지를 도와 의병을 일으켰으며, 정유재란 때는 아들들과 함께 적을 물리쳤다. 이런 공로로 벼슬길에 올랐다가 은퇴한 후 고향에 정자를 세운 것이다. 문희개는 벼슬에서 물러났지만 임금에 대한 충성심은 변함이 없었다. 매일 정자에 올라 임금이 계신 북쪽을 향해 절을 올렸다. 이를 지켜보던 손자가 할아버지의 충심을 기리기 위해 그 자리에 망군대비를 세웠다. 정자 아래 강가 바위에는 그의 충절을 흠모한 선비가 새겼다는 ‘용호(龍湖)’라는 글씨가 여전히 선명하다. 
 

부춘정 아래 강가 바위에는 문희개의 충절을 흠모한 선비가 새겼다는 ‘용호(龍湖)’라는 글씨가 여전히 선명하다. 사진=구완회 제공


훗날 헌종 4년(1838) 청풍 김씨의 후손인 김기성이 청영정을 사들여 지금과 같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집으로 개축하고 이름도 부춘정으로 고쳤다. 정자 안에는 온돌방과 대청을 2칸씩 만들고, 앞뒤로 반 칸의 툇마루를 두었다. 건물 내부에 ‘부춘정서’를 비롯해 편액 28개가 걸려 있다. 

 

#눈 속에서도 꽃을 피우는 선비의 절개, 동백정

 

야트막한 돌담 안으로 들어서면 이름처럼 뜰 안에 동백이 가득하다. 정자 마루에 앉으면 눈 아래 호계천이 흐르고 주변에는 소나무 숲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이곳에 정자를 처음 지은 이는 세조 때 의정부 좌찬성을 지낸 김린이다. 그가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면서 주변의 선비들과 교류하기 위해 지은 정자인 ‘가정사(假亭舍)’가 동백정의 시작이다. 

 

김린이 가정사를 지을 때 뜰 안 가득히 동백을 심었는데, 100여 년 뒤 후손 김성장이 중건하면서 울창해진 동백을 보고는 동백정으로 개명했다고 한다. 김성장의 지인 박광전이 쓴 ‘동백정서’에는 단종 임금에 대한 일편단심으로 벼슬을 버리고 귀향을 택한 김린의 곧은 성품이 마치 눈 속에서 꽃을 피우는 동백의 절개와 닮았다며 정자 이름이 동백정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밝히고 있다. 

 

야트막한 돌담 안으로 들어서면 동백정이란 이름처럼 뜰 안에 동백이 가득하다. 사진=구완회 제공

 

동백정은 조선 숙종 41년(1715)부터 청주 김씨를 비롯한 마을 사람이 모두 참석하는 대동계 집회소와 별신제 장소로 이용되면서 마을의 정자 역할을 해왔다. 

 

동백정은 1872년 후손들이 다시 지어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집이 되었다가 1895년에 1칸을 더 내어 지금과 같은 정면 4칸의 형태가 되었다. 서쪽에는 누마루와 방을 두고 중앙에는 앞뒤로 툇마루를 만들어 작지만 아기자기한 구조를 보인다. 처마 밑에는 동백정 현판이 걸려 있고 정자 안쪽에는 동백정 기문과 상량문, 중수기, 동백정운 등 모두 17점의 편액이 있다. 

 

동백정 안쪽에는 동백정 기문과 상량문, 중수기, 동백정운 등 모두 17점의 편액이 있다. 사진=구완회 제공

 

<여행메모>


용호정원림

△위치: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용반1길 213-34

△문의: 061-860-5771(장흥 관광 안내)

△운영 시간: 24시간, 연중무휴

 

부춘정원림 

△위치: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부춘길 79

△문의: 061-862-7337

△운영 시간: 24시간, 연중무휴

 

동백정 

△위치: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흥성로 815-86

△문의: 061-860-5771(장흥 관광 안내)

△운영 시간: 24시간, 연중무휴

 

필자 구완회는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여성중앙’, ‘프라이데이’ 등에서 기자로 일했다. 랜덤하우스코리아 여행출판팀장으로 ‘세계를 간다’, ‘100배 즐기기’ 등의 여행 가이드북 시리즈를 총괄했다. 지금은 두 아이를 키우며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역사와 여행 이야기를 쓰고 있다.​​​​​​​​​ ​

구완회 여행작가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아빠랑] '신과 함께' 옛 숲으로, 원주 성황림 숲탐방
· [아빠랑] 6·25 발발 70주년, 임진각에서 평화를 기원하다
· [아빠랑] 하회탈과 헛제삿밥, 안동에서 조선시대 타임슬립
· [아빠랑] 이순신 장군을 따라가는 통영 역사 기행
· [아빠랑] 산길도 물길도 좋구나, 세종시 오봉산과 고복자연공원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