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의료용 대마는 서울만 팝니다' 지역 거점약국 좌초 이후

70% 지방 환자도 서울 와서 받아가야…택배 배송도 복약지도 어려워 '난색'

2020.02.26(Wed) 15:17:39

[비즈한국] “이제부터는 여기서 의료용 대마 의약품 못 받으니 서울로 가시라고 말하면 손님이 엄청 당황하죠. 대마 제재가 필요한 분들은 루게릭병이나 간질 환자가 대다수인데 불편함을 떠안기는 꼴이라 저희도 마음이 좋지 않고요.” 전라북도 A 약국 약국장의 말이다. 지난 19일 A 약국에서 만난 다른 약사들도 “시간과 비용, 환자의 상태를 생각하면 약 하나 받으러 서울까지 가야 한다는 게 말이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지방 희귀질환 환자들의 치료권이 위협받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산하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희귀센터)가 예산 부족을 이유로 지난해 4월부터 시행하던 의료용 대마 거점약국 사업을 5일 중단했다. 센터로부터 대마성분 치료제를 배송받아 처방하던 A 약국을 비롯한 전국 약 50곳의 거점약국 처방 행위도 중지됐다. 이에 따라 환자나 보호자는 서울에 있는 희귀센터를 직접 방문해야만 약을 복용할 수 있다.

 

지방 희귀질환 환자들의 치료권에 제동이 걸렸다. 지난 2018년 의료용대마합법화운동본부 회원들이 의료용 대마법 국회통과 촉구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고성준 기자


지난 1년간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 환자들의 대마 성분 의약품 처방률은 70%에 달한다. 비즈한국이 식약처 의약품안전국 마약정책과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의료용 대마법)’이 시행된 지난해 3월 12일부터 지난 1월 31일까지 대마 성분 의약품 처방은 총 681건 이뤄졌는데 이 중 주민등록상 서울을 제외한 지역 거주자가 처방받은 건수가 475건이나 됐다.

 

자료에 의하면 해당 기간 대마 성분 의약품 처방(취급승인) 건수는 인구가 많은 서울이 206건을 차지해 가장 높았다. 그나마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가 148건, 인천이 43건으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서울과 많이 떨어진 지역에서도 처방률이 낮지 않았다. A 약국이 있는 전라북도는 29건, 전라남도는 31건이었는데, 광주를 포함한 전라도 내 처방 건수는 93건을 기록했다. 대구와 울산, 부산을 포함한 경상도 지역 처방 횟수는 116건에 달했다. 제주도에서도 12건 처방됐다.

 

 

지금까지 희귀센터와 대한약사회는 업무협약을 맺고 거점약국 사업을 시행해 지난해 4월부터 환자들이 거점약국에서 약을 처방받았다. ​의약품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에 따른 조치다. 하지만​ 거점약국 사업이 중단됨에 따라 환자들은 ​의료용 대마를 구하기 위해서 신청서와 진단서, 의학적 소견서 등 10가지가 넘는 자료를 식약처에 제출해 승인받은 후 희귀센터에 수입 신청을 해야 한다. 이후 희귀센터가 서울지방청에 양도승인 신청을 하고 환자는 희귀센터를 방문해야만 약을 받을 수 있다.

 

환자들은 우리나라가 공급을 허용한 대마 성분 의약품 마리놀(MARINOL), 세사메트(CESAMET), 사티벡스(Sativex), 에피디올렉스(Epidiolex) 네 종 중 CBD 오일 성분인 에피디올렉스​를 주로 처방받았다. 식약처 마약정책과 관계자는 “지금까지 마리놀과 세사메트는 처방이 이뤄지지 않았고, 사티벡스 처방은 2건 있었다”고 말했다. 드라베 증후군과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치료제인 에피디올렉스의 한 병 포장 단위는 100ml인데 하루에 2ml를 복용하면 50일간 투여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약을 사야 한다는 이야기다.

 

희귀센터가 대마 성분 의약품 대상 거점약국을 중단한 이유는 예산 확보에 실패했기 때문. 올해 희귀센터는 100억 원 규모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요청했으나 기재부는 29억 원가량을 편성했다. 기재부는 지난해보다 15.7% 증가한 예산을 편성해줬으므로 추가 예산 배정에는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은행에서 20억 원을 대출받아가며 해외 제약사 제품인 에피디올렉스의 선재고를 대량 구매하는 식으로 환자들에게 약을 빨리 공급해온 희귀센터는 예산 부족으로 물량 확보에 차질이 생겨 공급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입장을 표했다. 이 역시 환자들에게는 안타까운 대목이다.​

 

지난 1년간 서울이 아닌 타 지역 환자들의 대마 성분 의약품 처방률이 70%를 차지했다. 그러나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가 거점약국 사업을 중단하며 지방 환자들의 고충이 커졌다. 전국에 하나뿐인 서울 중구의 희귀센터. 사진=김명선 기자

 

현재 대마 성분 의약품을 환자에게 택배로 배송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으나 확실치 않다. 앞서의 A 약국 약국장은 “대마 의약품을 배송하다 사고가 나면 골치가 아프다. 마약류는 약사에게 제대로 복용 지도를 받는 것도 중요하다”고 의견을 표했다.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5개 지역에 희귀의약품센터의 거점센터를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으나 아직 소식이 없다. 식약처 관계자는 “기획재정부에 예산 확보를 요청했는데 편성이 안 된 것이라 별다른 방법이 없다. 추가경정예산 등 다른 대안을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3월부터 지난 1월까지 월평균 처방(취급승인​) 건수는 69건 정도였다. 1월이 73건으로 가장 많았고 지난해 4월이 72건, 7월이 66건으로 뒤를 이었다. 강성석 의료용대마합법화운동본부 대표는 “의료용 대마가 필요한 환자들은 많은데 처방은 잘 이뤄지지 않는다. 의료인이 교육을 받지 못해 해당 치료제를 처방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건강보험에 등재되지 않아 165만 원이나 하는 약값에 부담을 느끼는 환자들도 많다”며 “희귀센터가 가진 독점권을 민간 제약회사에 넘기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명선 기자

line23@bizhankook.com

[핫클릭]

· 액상전자담배 유해물질 발표에 업계 발끈 '제2 가습기살균제' 안 되려면?
· [단독] 의료용 대마 합법화 100일, 처방 259건에 그친 까닭
· [현장] 의료용 대마 합법화 첫날,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 가보니
· [현장] 의료용 대마법 시행 앞두고 '탁상행정' 논란, 왜?
· 의료용 대마 합법화에도 환자들이 '동물 사료' 찾는 이유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