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저물가 디플레이션 공포? 그런데 왜 체감이 안될까

원인은 품목별 가중치…소비자물가지수와 소비자 인식 물가상승률 '괴리' 최고 수준

2019.09.12(Thu) 12:57:32

[비즈한국] 통계청은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달보다 0.2% 상승했다고 최근 밝혔다. 0%대 저물가 시대의 도래에 온 언론이 떠들썩했다. 디플레이션(저물가, 저투자)의 공포가 시작됐다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했다.

 

디플레이션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둘째치고서라도 물가 상승이 억제되는 것은 소비자들에게 당장 좋은 뉴스다. 하지만 대부분 소비자들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당장 우리가 소비하는 품목에 대한 물가는 되래 오른 느낌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이같은 괴리는 왜 발생하는 것일까.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9일 오전 추석 물가 점검을 위해 서울 마포구 공덕시장을 방문, 한 과일 가게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박은숙 기자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저물가 기조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9월 전월보다 2.1% 상승했던 소비자물가지수는 그해 12월 1.3%로 1%대에 진입했다. 올해 1월부터는 0.8%로 0%대에 진입한 이후 지난8월 0.0%대까지 내렸다. 이는 1965년 통계청이 관련 자료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래 최초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가 이같은 저물가 기조를 체감하긴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30대 점주는 “연일 언론에 말하는 저물가가 어떤 물가를 말하는 것인지 모르겠다”면서 “실제로 소비하는 품목의 물가는 오히려 오른 느낌이다”라고 말했다.

 

이는 통계청이 정한 가중치를 일반 소비자가 체감하지 못 해서로 풀이된다. 통계청은 두 가지 기준에 따라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정한다. 기준이 되는 ‘시점’을 품목별 ‘가중치(총 1000)’에 따라 소비자물가를 산정하는 것이다. 통계청은 기준 시점을 2015년으로 정하고 해당 시점을 100%로 봤다. 가중치는 2017년 기준으로 품목별로 중요도에 따라 정했다.

 

여기서 통계청과 일반 소비자의 체감 사이에 괴리가 발생한다. 통계청이 가장 가중치를 두는 것은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다. 이들 품목은 16개에 불과하지만 가중치는 165.9로 전체 가운데 가장 높다. 품목별로 전세(48.9), 월세(44.8) 등이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는 가중치가 137.6이지만 품목이 133개로 집계됐다. 음식 및 숙박의 가중치는 44개 품목에 대해 131.8를 부여했다.

 

지출 주기가 긴 주택 관련 비용의 가중치가 높은 반면, 매달 수시로 지출하는 식료품이나 음식 등의 품목은 상대적으로 가중치가 낮다. 일반 소비자가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체감할 수 없는 이유다.

 

가령 가중치가 1.5로 같은 닭고기와 옷장을 예로 들어보자. 같은 폭으로 닭고기 가격이 오르고 옷장 가격이 하락하면 전체 소비자물가는 그대로다. 하지만 치킨, 삼계탕, 닭볶음탕 등으로 닭고기를 상대적으로 자주 소비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오히려 물가가 올랐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준금리를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정한다. 지난 7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1.75%에서 1.50%로 하향 조정했다. 사진은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 전경. 사진=박정훈 기자

 

실제로 이 같은 괴리는 사상 최고 수준으로 벌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전국 도시 2500가구의 지난 1년간 ‘소비자 인식 물가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물가 상승 체감률은 2.1%로 집계됐다. 이 기간 통계청이 발표한 물가상승률은 마이너스(-) 0.038%로 2.138%포인트 차이가 발생했다. 이는 2013년 이후 최대 격차다.

 

통계청은 이러한 괴리를 줄이기 위해 매년 가중치를 조정하고 있지만 불만의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소득별로 물가지수를 반영한 ‘소득계층별 물가지수’를 개발해 별도 발표하고 있다.

박호민 기자

donkyi@bizhankook.com

[핫클릭]

· 8월 고용율·실업률 개선됐지만 '고용의 질'은?
· '카피 갑질' 대기업의 스타트업 기술 탈취 실태
· '햇반 값 올릴 때 오뚜기밥은?' 서민 체감물가 급등 따져보니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