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우리은행 매각 로드맵 나왔지만 ‘첩첩산중’

2014.07.04(Fri) 08:40:50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가 우리은행 매각 방안을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 매각작업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01년 우리금융지주 설립 이후 줄곧 민영화를 추진해왔다. 2004∼2010년 4번에 걸친 블록세일로 예금보험공사의 지분율을 56.97%까지 낮췄다. 이후 2010∼2012년까지 3차례에 걸쳐 매각을 시도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이번은 4번째로 정부와 금융당국은 어떻게든 매각을 매듭짓겠다는 의지‘투 트랙’ 방식이 매각 핵심

공자위에 따르면 매각 공고는 오는 9월에 발표하고 입찰은 11월 말 시작해 내년 초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공자위의 매각방안의 핵심은 ‘투 트랙(two track)’ 방식이다.

공자위 관계자는 “투 트랙 매각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 56.97% 중 30%를 실제 경영권을 노리는 인수자에게 통째로 넘기고, 나머지 26.97%는 희망수량경쟁입찰 방식으로 비싼 가격을 써 낸 일반투자자에게 우선적으로 0.5∼10%씩 쪼개 파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투 트랙 방식에 대해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과거 1~3차 매각 방안은 우리금융의 경영권 지분인 30% 이상을 일괄해 매각하려 했다. 시장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투자수요 중 경영권 인수 수요만을 대상으로 매각을 진행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엔 경영권 인수 수요뿐 아니라 투자차익을 희망하는 재무적 투자 등 모든 투자수요를 포함해 매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투 트랙 방식에 대해 “최대한 높은 가격으로 팔기 위해 두 번에 나눠 팔겠다는 거다. 다시 말해 정부가 보유한 지분 56.97% 중 경영권 확보에 필요한 30%를 제외한 나머지 26.97% 정도를 비싼 가격을 써 낸 순서대로 쪼개서 팔고, 남은 30%를 경영권 프리미엄을 붙여 팔겠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주인을 찾아주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는 26.97%를 쪼개서 산 사람들의 경우 경영권 프리미엄 없이 우리은행 주식에 투자하는 셈이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정부가 준비한 것이 ‘콜옵션’이다. 즉 26.97%에 대해 한 주당 0.5주를 같은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주겠다는 것이다. 콜옵션은 미리 주식가격을 정해놓고 그 이상 주가가 올라도 기존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쉽게 말해 ‘주식의 주가가 나중에 오르더라도 10주 산 사람에게 구
   
▲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박상용(왼쪽)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이 지난달 23일 오전 서울 중구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전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공적자금 회수 힘들 듯

문제는 우리은행을 매각해도 공적자금을 회수하기 어렵다는데 정부의 고민이 있다.

우리은행에 들어간 공적자금의 역사를 살펴보자. IMF 사태 1년 2개월 후 한일은행과 한국상업은행과 합병해 한빛은행이 됐다. 그 뒤 2001년 경남은행을 합쳐 우리금융지주를 만들었고 여기에 평화은행을 합병하면서 우리은행이 탄생했다. 이 때 들어간 공적자금이 12조 7663억 원이다.

정부가 우리은행에 투입한 공적자금 중 지금까지 회수한 금액은 총 7조5000억 원이다. 따라서 남아있는 지분을 5조2000억 원 이상의 가격으로 팔아야 원금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10년 이상 세월이 흘러 화폐 가치가 다르다는 점과 이자비용 등 금융비용까지 합치면 원금 회수가 어렵다. 때문에 정부는 우리은행의 몸값을 최대한 올려 받으려고 하는데 희망자가 별로 없다. 흥행이 돼야 남는 장사가 되는데 흥행 자체삼성증권 관계자는 “공개적으로 인수 의사를 표명한 곳은 교보생명뿐이다. 문제는 교보생명이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고 있느냐다. 우리은행은 자기자본이 19조원이다. 정부 지분을 현재 시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주가순자산비율(PBR) 0.5배를 적용해 계산하면 매각액이 5조4000억 원이다. 지분 30%를 인수하려면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고려해 최소 3조 원가량 투입해야 우리은행의 새 주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교보생이어 “해외 사모 펀드에도 문호를 열어 놓겠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지만 예전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와 관련 ‘먹튀 논란’이 있었기 때문에 국민 정서상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타 은행이 우리은행을 인수하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은행을 인수할 만한 대형 은행들은 지방까지 지점이 조밀하게 분포돼 있어 우리 은행 인수로 시너지 효과를 볼 순 없을 거란 분석이다. 특히 KB금융그는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대기업을 비롯한 산업자본은 우리 은행을 매입할 수 없다. 한마디로 인수 희망자가 현재로선 교보생명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밖에 두 곳 이상이 입찰에 참여하는 유효경쟁이 이뤄져야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어 정부 계획대로 우리 은행 매각이 순조롭게 이뤄질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변수는 있다. 최근 새마을금고가 우리은행 인수를 저울질하고 있기 때문. 새마을 금고가 우리 은행 인수에 참여하면 유효경쟁이 성립해 입찰이 가능하다. 어떻게든 우리은행을 매각해 공적자금을 회수하려는 정부 계획이 결실을 거둘지 아니면 허탕을 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구경모 기자

chosim34@bizhankook.com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