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아젠다

[왱알앵알] 삼성전자가 스마트폰을 '접어야' 하는 이유

필요성 납득시켜야 소비자 선택 받아…시제품 선공개는 개발자와 함께 풀려는 시도

2018.11.09(Fri) 16:36:07

[비즈한국] 삼성전자가 7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를 통해 폴더블 스마트폰의 시제품을 공개했다. 반으로 접었을 때는 일반 스마트폰 화면과 비슷한데, 수첩을 열 듯 화면을 펼치면 그 안에 두 배로 넓은 화면이 나온다. 바깥쪽과 안쪽으로 두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함께 넣은 셈이다.

 

접었을 때는 4.6인치, 펼치면 7.6인치다. 이 화면 수치는 대각선 방향의 길이이기에 4.6인치와 7.6인치를 수치로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다. 실제 면적이 가로로 두 배 정도 커진다고 보면 된다. 다만 펼쳤을 때 접히는 부분만큼 조금 더 큰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를 구부리는 것은 오랜 숙제였고, 이미 어느 정도는 우리 일상에 들어와 있다. 삼성전자는 이미 ‘갤럭시노트 엣지’를 통해 구부러진 화면을 상용화했다. LG전자도 G플렉스로 비슷한 시기에 휘어진 제품을 내놓았다. OLED는 LCD와 달리 백라이트 없이 각 소자가 빛과 색을 함께 표현하기에 휘어진 면에 픽셀을 잘 뿌리면 곡면 가공이 수월하다. 그래서 접었다 펼 수 있는 소재에 OLED 소자를 심으면 접는, 그러니까 ‘폴더블(foldable)’ 화면이 만들어진다.

 

삼성전자가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최초로 공개한 인피니티 폴더블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화면 두 개를 붙여놓은 비율의 7.6인치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 사진=삼성개발자컨퍼런스 영상 캡처

 

이 디스플레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내구성이다. 모든 소재는 구부렸다가 펴면 바깥쪽은 늘어나고, 안쪽은 수축하게 된다. 이를 반복하면 재료가 본래의 특성을 잃고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내구성도 약해진다. 이를 ‘바우징거 효과’라고 부르는데 우리가 무엇인가를 구부렸다 펴는 것을 반복해서 자르는 것이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한 층이 아니라 커버글래스부터 폴라라이저, 백플레인 등 여러 개의 층이 겹쳐진 복잡한 구조다. 하루에도 수십 번씩 펼쳐보는 것이 스마트폰이기에, 이 부분을 보강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삼성전자는 특수 소재를 적용해서 수십만 번 접었다 펴도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기계적으로 양산, 상용화할 수 있는 단계에 완전히 접어들었다는 이야기다. 삼성전자도 내년이면 이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을 출시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 기기가 어떤 면에서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마음을 흔들 것인가에 달려 있다. 바로 ‘왜 접어야 하느냐’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다. 시장에서, 또 소비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도 이 부분이다. 분명히 이 제품은 기존 제품보다 가격이 비싸질 수밖에 없다. 고급화, 그리고 좋은 기술로 더 비싼 제품을 내놓는 것은 기업들이 해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일이다. 상품성을 높이는 것이다. 다만 그 요소에는 명확한 이유가 필요하다.

 

접으면 외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일반 스마트폰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두께는 훨씬 두꺼워진다. 사진=삼성개발자컨퍼런스 영상 캡처

 

아직 삼성전자는 그 답을 정확히 찾지는 못한 것 같다. 어떻게 보면 시작은 ‘더 작은 기기’와 ‘더 넓은 화면’이라는 이율배반적인 시장의 요구를 따랐다. 더 큰 화면은 이미 태블릿이 차지하고 있었지만 스마트폰의 화면이 6인치를 넘어서면서 단순히 영상이나 게임 용도의 태블릿 시장은 가라앉고 있다. 그래서 애플은 아이패드를 ‘생산성’과 ‘교육’이라는 키워드로 연결고리를 바꾸었다. 기기를 바라보는 해석이 달라졌다는 이야기다.

 

폴더블 스마트폰 역시 목적이 명확해야 소비자를 설득할 수 있다. 신기한 것만으로는 잠시 주목받을 수는 있지만 꾸준히 생태계를 이어가기는 어렵다. 특히 펼쳤을 때의 화면 비율은 일반적이지 않아 앱 생태계에서도 혼란을 겪을 수 있다.

 

화면을 접는 것만큼 새로운 형태의 화면을 채우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형태의 화면은 항상 신선함을 가져온다. 갤럭시노트 엣지의 테두리 화면이나 LG전자의 ‘V10’ ‘V20’의 세컨드 디스플레이처럼 말이다. 이용자들은 만족하지만 이를 하나의 화면 기반의 개발 생태계로 가져가기는 꽤 어려운 일이다.

 

물론 삼성전자가 직접 이 자리에서 화면을 접어야 하는 이유와 개발 철학을 설명하지 않은 점은 아쉽다. 꼭 논리적으로 깊이 설득되지 않더라도 새로운 기술에는 그럴싸한 포장이 필요하다. ‘신기하다’는 관심은 곧 ‘익숙함’으로 덮이기 때문이다. ‘접히는 디스플레이가 있기에 접히는 스마트폰을 만들었다’는 시선도 길게 보면 환영받기 힘든 평가다. 

 

삼성전자는 그 답을 개발자들과 함께 풀어보려는 시도를 했다고 볼 수도 있다. 개발자 행사는 가장 효과적인 자리다. 디스플레이와 함께 새로운 안드로이드 인터페이스 ‘원UI’를 함께 공개한 것도 이런 이유로 보인다. 이 화면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가장 잘 아는 것은 바로 앱을 직접 만드는 개발자들이다. 이 행사 이후에도 분명히 삼성전자는 여러 개발사들과 협력해서 기기의 성격을 잡아가는 노력을 할 것이다.

 

아직 시간은 남아 있다. 새로운 기술은 그만큼 당위성이 더해져야 ‘혁신’이라는 포장지를 씌울 수 있다. 시장도, 개발자 생태계도 모두 그 혁신에 설득되길 기다리고 있다. 새로운 기술을 꺼내 놓는 게 점점 더 어려워지는 세상이다.​ 

최호섭 IT 칼럼니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스터디는 옛말, 취준생 몰리는 '김대리의 비밀 과외'
· [멋진신세계] 스피커 가성비 종결자, 에이원오디오 '오로라1' 리뷰
· [현장] '우버이츠 대란' 송도에서 비오는 날 주문해봤다
· '서피스의 아버지'가 털어놓은 "MS가 컴퓨터를 만드는 이유"
· 맥북 에어·맥 미니·아이패드 프로, 애플의 '가을 신제품' 3분 정리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