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Story↑Up > 엔터

[올드라마] 조선왕조 500년 역사상 최고의 캐릭터 '장희빈'

김지미에서 김태희까지, 당대 스타들 거쳐가…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인물 해석 볼거리

2018.09.19(Wed) 14:07:40

[비즈한국] 어느 장희빈을 보며 자랐느냐. 때때로 한국에선 이런 걸로도 연식을 가늠할 수 있다. 장희빈은 1961년과 1968년 두 차례 영화로 선보인 이래 1971년, 1982년, 1988년, 1995년, 2002년, 2010년, 2013년까지 TV 드라마로 일곱 차례 방영되었으니 어느 장희빈을 봤는지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이대를 추측할 수 있기 때문.

 

1961년 영화 ‘장희빈’으로 1대 장희빈을 연기한 배우는 김지미, 1968년 ‘요화 장희빈’에 출연한 배우는 남정임이며, 1971년 최초로 브라운관에 등장한 장희빈은 윤여정이 맡았고, 1982년 ‘여인열전’에서 첫 인물로 나온 장희빈을 이미숙이, 1988년 ‘조선왕조 500년-인현왕후’에선 전인화가 장희빈으로 나온다. 참고로 1971년부터 1988년까지 3번의 장희빈은 모두 MBC에서 제작되었다.

 

당시 떠오르는 신인 스타였던 전인화는 장희빈을 맡아 최우수연기상을 거머쥐었다. 사진=MBC

 

이후 SBS에서 1995년 처음 도전한 장희빈을 정선경이, KBS에서 처음 도전한 장희빈을 김혜수가, 장희빈이 주연 아닌 조연으로 등장하는 2010년 MBC ‘동이’의 장희빈을 이소연이 연기했고, 2013년 9대 장희빈을 SBS ‘장옥정, 사랑에 살다’에서 김태희가 맡았다. 면면만 봐도 알겠지만 대부분 빼어난 미모를 갖춘 당대 스타들이 장희빈을 거쳐 갔다.

 

정1품 희빈 첩지를 받아 통칭 장희빈이라 불리는 여인 장옥정이 이토록 대중매체에서 사랑받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조선왕조 500년여 동안 양반이 아닌 신분으로 한때나마 중전의 자리를 차지한 사람은 그녀가 유일하다.

 

보수적이기 짝이 없는 조선왕조실록에서 인정한 미모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사대부의 나라 조선에서 중인인 역관의 자식으로 태어나 궁녀로 입궁해 임금의 총애를 받아 후궁이 되고, 귀한 아들을 낳아 기존 중전을 몰아내고 중전이 되었다가 6년 만에 다시 후궁으로 강등되더니 끝내 남편인 임금에게 죽음을 명받는 드라마틱한 삶.

 

전인화의 장희빈과 마찬가지로 2002년의 장희빈도 문짝으로 가슴을 눌린 채 사약이 퍼부어지며 숨을 거뒀다. 체력이 좋은 김혜수 덕분에 이를 저지하는 상궁과 내관 역을 맡은 연기자들이 땀깨나 흘렸다는 후문. 사진 출처=KBS 포토뱅크

 

이런 게 바로 드라마 주인공의 삶이구나 싶을 만큼 드라마 세계에서 다시없을 매력적인 인물이 아닌가 말이다. 저 멀리 영국에서 헨리 8세와 앤 불린의 이야기가 사랑받아 시대별로 영상화되는 것처럼, 한국에는 숙종과 장희빈이 있는 셈이다.

 

나의 경우 국민학교(초등학교 세대가 아니다, 크흑) 입학할 당시 전인화의 장희빈을 봤던 장면장면이 어슴푸레 기억나고, 10대에는 정선경 주연의 장희빈을 흥미진진하게 시청했고, 20대에 김혜수가 연기하는 장희빈에 기가 질리곤 했다.

 

아무래도 더 또렷이 기억나는 건 정선경, 김혜수 주연의 장희빈인데, 최근 채널을 돌리다 ‘CNTV’에서 전인화 주연의 ‘조선왕조 500년-인현왕후’를 방영하는 걸 알고 주말마다 홀릭 중이다. 조선왕조 500년은 1983년부터 1990년까지 11개의 시리즈로 조선시대 주요 사건을 그려낸 작품으로, 현재 사극의 기틀을 마련한 작품이다.

 

장희빈 역을 맡은 김혜수와 인현왕후 역을 맡은 박선영. 특히 방영 초반 장희빈이 기존 이미지와 달라 미스캐스팅 논란이 있었으나 연기력으로 극복한 사례다. 사진=KBS 포토뱅크

 

단아하고 카리스마 있는 왕비나 재벌가 사모님을 주로 맡아온 전인화의 앳된 시절을 볼 수 있을뿐더러 숙종 역에 강석우, 인현왕후 역에 박순애, 숙빈 최 씨 역에 견미리, 장희빈의 오빠인 장희재 역에 이덕화, 그 외에 정혜선, 김해숙, 고두심 등 연기력 갖춘 배우들이 대거 출연했다. 당시 데뷔한 지 몇 년 되지 않은 전인화가 장희빈 연기를 위해 사극의 달인 유동근에게 연기 지도를 받다가 이후 결혼에 이른 일화도 유명하다.

 

전인화의 장희빈은 뭐랄까, 아름답지만 표독스러운 요부(妖婦)라는 기존의 장희빈 이미지와 잘 맞아떨어진다. 정선경의 장희빈은 신진 스타들을 대거 기용한 만큼 가벼운 신세대 느낌이 강했고, 김혜수의 장희빈은…, 앞에서 기가 질린다고 표현한 것처럼 무서웠거든. 남자를 사로잡는 요부보다는 남자를 쓰러트리고 전장에 나설 것 같은 여장부의 느낌?

 

그에 비해 전인화의 장희빈은 여리여리하면서도 표독스러운 표정을 지을 땐 천생 요부다. 이따금 숙종에게 애교를 부릴 때면 ‘전하’와 ‘즌하’ 사이를 오가는 간드러진 목소리를 내며 폭 안기는 것도 특징.

 

부드럽고 젠틀한 숙종을 연기한 강석우나 인자하고 어진 인현왕후의 재현처럼 보이는 박순애의 연기도 일품이요, 조선왕조에서 유일무이하게 후궁을 허락치 않을 정도로 기가 센 여인이었던 숙종의 모후 명성왕후를 열연한 김해숙의 연기는 당시의 미모와 함께 놀라울 따름이다. 장희재를 맡은 이덕화의 난봉꾼 연기는 또 어떻고.

 

조선왕조 500년-인현왕후의 주인공들. 인자한 인현왕후(박순애)와 훤칠한 숙종(강석우), 표독스러운 장희빈(전인화). 사진=MBC

 

재미난 건 1988년 장희빈과 2002년 장희빈의 유사성이다. 우선 14년의 시간차를 두고도 같은 배역을 맡은 배우들이 보인다. 배우 김석옥이 1988년과 2002년에 인현왕후의 계모인 부부인 조 씨를 연기해 고난을 겪는 인현왕후를 근심 어린 표정으로 바라보았고, 김명희는 1988년과 2002년 모두 인현왕후를 저주하는 장희빈을 돕는 무당 막례로 활약해 눈길을 끌었다.

 

1988년에 장희빈의 어머니 윤 씨를 맡은 배우 엄유신이 2002년에는 장희빈을 돕는 동평군의 어머니인 숭선군 부인 신 씨를 연기한 것도 눈에 띈다. 보는 시청자도 흥미로운데, 연기자들의 감흥은 어땠을까 싶다. 곳곳의 대사와 흐름이 유사한 것은 물론 마지막 사약신에서 발악하는 장희빈을 제압하기 위해 문짝을 떼어 가슴에 누르는 장면도 흡사하다. 그럼에도 이를 연기하는 배우가 다르니 같고도 다른 그 차이를 발견하는 재미가 쏠쏠할 수밖에.

 

영화 ‘바람난 가족’​도 마다하고 장희빈을 택한 김혜수와 숙종 역의 전광렬. 사진=KBS 포토뱅크

 

시대에 따라 장희빈을 연기하는 배우가 다르고, 또 장희빈과 그를 둘러싼 역학관계를 달리 해석하는 것이 여러 번 장희빈이 등장해도 식상하지 않은 이유다. 물론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동이의 장희빈이 대중적으로 인기가 덜한 걸 보면 아직은 표독스러운 기존의 장희빈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지만, 앞으로도 여러 장희빈이 나올 게 분명하다. 이제 슬슬 10대 장희빈이 나올 때도 되었는데 말이지.

 

만약 전인화의 장희빈이 궁금하다면 CNTV에서 방영하는 주말을 기다리거나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을 이용하자. 전인화는 물론 정선경의 장희빈도 만날 수 있다. 그나저나 아버지가 극찬한 윤여정의 장희빈과, 친한 50대 출판인이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한 이미숙의 장희빈은 어떻게 볼 수 없나?(엉엉) 방송사 관계자분들, 후대의 덕후를 위해서라도 아카이빙은 참으로 중요하답니다.

 

필자 정수진은? 영화를 좋아해 영화잡지 ‘무비위크’에서 일했고, 여행이 즐거워 여행잡지 ‘KTX매거진’을 다녔지만 변함없는 애정의 대상은 드라마였다. 새로 시작하는 드라마 홈페이지에서 인물 소개 읽는 것이 취미이며, 마감 때마다 옛날 드라마에 꽂히는 바람에 망하는 마감 인생을 12년간 보냈다. 지금은 프리랜서를 핑계로 종일 드라마를 보느라 어깨에 담이 오는 백수 라이프를 즐기는 중.​   

정수진 드라마 애호가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이해림 탐식다반사] 시간과 경험으로 완성한 유니콘급 귤 브랜디
· '총 상금 360만 원의 주인공은?' 버닝런 프로 2018 개최
· [올드라마] 쿨하지 않은 불꽃같은 사랑에 '올인'
· [올드라마] '서울의 달'이 비춘 그때 치열했던 우리네 삶
· [올드라마] 패전처리용 신인 배우들의 반란 '젊은이의 양지'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