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신어보지 않아도 안심" 신발 스타트업 디파인드 vs 퍼핏

앱 또는 기기로 발 사이즈 측정 후 신발 추천…국내외 투자사 관심 집중

2018.09.12(Wed) 18:32:44

[비즈한국] 휴대폰 진동이 울린다. 엊그제 온라인 주문한 운동화를 집 현관문 앞에 놔두었다는 택배 기사의 문자다. 신나는 마음으로 귀가해 신발을 신어보지만 사이즈가 맞지 않아 헐렁하다. 다시 택배로 돌려보내려니 짜증이 밀려온다.

 

2016년 기준 국내 신발 시장 규모 6조 9000억 원. 그 중 온라인 신발 시장이 1조 500억 원(약 15%)을 차지한다. 온라인 시장이 점점 커지는 상황. 인터넷으로 주문한 신발이 맞지 않아 반송하는 일은 누구나 한 번쯤 겪는다. 내 발 사이즈(길이)를 알더라도 브랜드에 따라 신발 사이즈 측정값, 발볼 넓이, 발가락을 감싸는 디자인, 발등 높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같은 270mm 신발이라도 브랜드에 따라 착화감이 다르다.

 

김주형 디파인드 대표(왼쪽)​, 이선용 퍼핏 대표(오른쪽). 두 기업은 발 사이즈를 측정해 꼭 맞는 신발을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진=이종현·​박정훈 기자

 

그래서 나온 말이 ‘신발은 신어보고 사야 해’다. 신어보면 내 발에 딱 맞는 신발을 찾을 수 있을까? 쉽지 않다. 마음에 드는 모든 신발을 신어볼 순 없기 때문이다. 체력도 체력이지만,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신발은 한정적이다. 사소하지만 모두가 겪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나선 국내 스타트업이 있다. 디파인드와 퍼핏은 발 사이즈를 측정해 그에 꼭 맞는 신발을 추천해준다. 

 

두 기업의 서비스 본질은 같지만 서비스 방법은 조금 다르다. 디파인드는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 발 사이즈를 측정해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를 제공한다. 퍼핏은 직접 만든 기기를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해 발 사이즈를 측정한다. 두 스타트업은 아직 서비스 상용화 단계이지만, 이미 국내외 투자사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 ‘모바일 강점’ 발 사이즈 측정과 설문을 동시에, 디파인드(Defind)

 

김주형 디파인드 대표는 온라인으로 산 딸의 신발을 반품하는 아내를 보고 아이디어를 얻었다. 삼성전자를 다니던 그는 사내벤처로 시작해 슈픽이라는 앱 서비스 개발에 나섰다. 작동 방식은 간단하다. 위에서 아래로 발 사진 한 장을 찍으면 발 길이, 발볼 넓이, 발 둘레가 측정된다. 슈픽은 고객의 데이터와 가장 잘 맞는 신발을 디자인별로 추천한다. 

 

인터뷰 중 발 사이즈 측정 애플리케이션 슈픽 서비스를 소개하는 김주형 디파인드 대표. 사진=박정훈 기자

 

발 사이즈를 잘 측정했더라도 ‘가장 잘 맞는 신발’ 추천은 쉽지 않다. 착화감은 개인 성향에 따라 천차만별이기 때문. 연령에 따라, 성별에 따라 차이 나기도 한다. 김 대표는 “딱 맞아떨어지는 신발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내부 공간이 넉넉한 신발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발 사이즈를 잘 측정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원하는 착화감이 다르기 때문에 신발 추천이 쉽지 않다. 정량적인 방법에 설문을 통한 정성적인 방법을 더했다”고 설명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웹사이트 아마존에서 신발을 살 때 설문이 등장한다. 주로 어떤 신발을 신었는지, 어떤 브랜드와 사이즈가 편했는지 ‘히스토리’를 묻고 신발을 추천한다. 슈픽이 쓰는 방법도 같다. 김 대표는 “주로 신었던 신발 사이즈를 묻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6 대 4 비율로 270mm​와 275mm​ 신발을 번갈아 신는 사람도 있다”며 “아마존은 설문만 하지만, 슈픽은 측정과 설문을 함께하기 때문에 강점이 있다”고 답했다.

 

김 대표는 지난해 10월 삼성전자를 나와 법인을 설립했다. 지금까지 슈픽에 쌓인 고객 데이터는 1만 3000여 개. 딥러닝 기술을 통해 고객 데이터가 축적될수록 ‘신발 매칭’ 정확도가 높아진다. 슈픽은 현재 고객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집중하는 한편 신발 판매 업체 여섯 곳과 제휴하고 서비스를 시험 중이다. 김 대표는 “개인 고객에게는 앱을 무료로 제공한다. 수익은 신발 판매업체나 유통업체와의 B to B 사업에서 발생한다. 신발 반품으로 인한 손실도 상당하기 때문에 슈픽 서비스를 쓰면 업체도 이익이다. 현재 신발 판매 사이트에 슈픽 서비스를 심어 테스트 중”이라고 덧붙였다.

 

김주형 대표가 슈픽을 직접 시현해 보이고 있다. 사진을 찍으면 발 길이, 발볼 넓이, 발둘레 길이를 알려준다. 사진=박정훈 기자

 

이미 러브콜도 상당하다. 2017년 2월 세계 최대 신발 트레이딩 전시로 알려진 라스베이거스 매직쇼에 참가했을 당시, 슈픽의 가능성을 보고 그 자리에서 인수를 제안한 기업도 있었다. 김 대표는 좀 더 서비스를 갈고 닦아 내년에 승부수를 띄우겠다는 입장이다. 김 대표는 “현재는 데이터베이스 작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시장이 커지는 건 시간문제다. 한 번에 시장을 장악할 것”이라고 밝혔다.

 

# 발 사진 찍는 게 귀찮은 고객을 끌어들인다, 퍼핏(Perfitt)

 

온라인으로 신발을 사는 시간은 주로 밤 10시에서 11시 사이. 퇴근한 뒤 소파에 앉아 TV를 보면서 쇼핑을 한다. 대부분 사람들은 이 편안함을 포기하기 싫어한다. 사진을 찍어 발 사이즈를 측정하는 행위는 간단해 보이지만 이마저도 귀찮다. 사실 사이즈는 신발을 살 때 최우선 고려 사항이 아니기 때문. 디자인, 가격 등을 고려해 구매 의사가 확실해졌을 때 필요한 것이 사이즈다.

 

이선용 대표는 고객이 새로운 서비스로 잘 유입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착안해 발 사이즈 측정 기기를 만들어 고객에게 먼저 한 발짝 다가갔다. 사진=이종현 기자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을 통해 구매 의사를 결정한 뒤 오프라인 매장을 찾아 신발을 직접 신어본다. 고객을 ‘발 사이즈 측정 서비스’​​로 유입하기 어려운 이유다. 이선용 퍼핏 대표는 이 점에 착안해 측정 기기를 만들었다. 이 대표는 “새로운 서비스로 고객이 바로 넘어 오지 않는다는 걸 알았다. 측정 기기를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해 신발을 사러 온 사람이 재미로라도 발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게 했다. 고객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올 수 있도록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작년 10월 본격적으로 퍼핏을 시작하기 전 쇼핑몰을 운영하면서 신발 추천 기능 테스트를 거쳤다. 평균 30%이던 ​반품 및 교환율이 ​사이즈 추천 기능을 추가하자 ​4.5%로 감소했다. 이 대표는 “우리 생각보다 내 발에 맞는 제품을 구매하고 싶은 온라인 신발 시장의 니즈가 크다는 것을 알았다. 이를 계기로 투자를 받아 퍼핏을 개발했다”고 답했다.

 

크기와 디자인을 개선한 세번째 발 사이즈 측정 기기. 현재는 명동 브룩스 신발 매장에 비치돼 있다.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측정 알고리즘을 그대로 사용하지만, 측정 환경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도가 더 높다. 사진=퍼핏 제공

 

처음엔 슈픽과 같은 사진을 찍어 발 사이즈를 측정하는 서비스로 시작했지만, 알고리즘을 그대로 옮겨 기기를 만들었다. 고객은 물론 온라인 시장의 확대로 인해 위기감을 느끼는 오프라인 매장에 호응을 얻었다. 오프라인 매장의 가장 큰 약점은 고객의 데이터를 쌓을 수 없다는 것. 이 대표는 “오프라인 매장은 신발을 산 고객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도 쉽지 않다. 신발 측정 기기를 설치함으로써 필요한 고객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퍼핏의 전략은 잘 먹혔다. 나이키코리아와 에스마켓, 삼성물산에서 국내로 들여온 신발 브랜드 브룩스와 파트너십을 맺은 것. 대형 신발 판매·유통 업체와 제휴를 맺으면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를 풀었다. 고객의 발에 맞는 신발을 ‘매칭’하기 위해선 발 사이즈뿐만 아니라 신발 내부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시중에 나온 신발을 일일이 측정하는 건 업체와 파트너십을 맺지 않곤 불가능하다. 퍼핏은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이 대표는 “반품되는 신발로 인한 손실이 연간 15조 원 정도다. 업계에서 딱히 이걸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문제였다. 적지 않은 시장이다. 빠른 시일 내에 해외로 진출하고 싶은 마음이 크다. 모두가 겪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이기에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현광 기자

mua123@bizhankook.com

[핫클릭]

· 항공사 직원도 헷갈리는 항공권 가격의 비밀
· 은산분리 규제완화 안갯속 윤곽 드러나는 '제3 인터넷은행'
· SK텔레콤 중간지주사 전환설과 SK하이닉스의 '운명'
· [밀덕텔링] 육군의 위대한 도전 '드론봇 전투단'의 성공조건 셋
· [단독] '자꾸 왜 이럴까' 동원샘물, 이번엔 정체불명 흰가루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