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미국 긴축 돌아서자 흔들리는 신흥국들, 한국은요?

미 국채 10년물 금리 3%대 도달하자 글로벌 자금 '머니무브'…"우리 영향은 제한적"

2018.05.15(Tue) 10:29:40

[비즈한국] “수년간 이어진 초저금리에서 벗어나는 이정표.” 지난 4월 24일(현지시간)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2014년 이후 4년 3개월 만에 처음으로 3%대에 도달하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글로벌 금융자산의 거대한 이동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채권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된다. 채권 금리가 오르면 앞으로 경기가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고, 금리가 떨어지면 경기 활황을 내다보고 돈은 증시 등 위험자산에 몰린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최근 빠른 속도로 오르자 저금리의 축복이 끝나고 대규모 ‘머니무브’가 나타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만기 3년 이상의 장기채는 중장기 경기를 가장 잘 가늠하는 지표로, 미국의 주택담보대출과 기업 대출의 바로미터다. 그런데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최근 빠른 속도로 오르자 저금리의 축복이 끝나고 대규모 ‘머니무브’가 나타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증시 등 위험자산에 몰렸던 돈이 빠져나가는 한편, 대출이자가 올라 기업·가계는 부채 다이어트에 나서며 예금 등 안전자산을 찾게 된다는 것이다.

 

WSJ은 “금융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이어져 있다. 미국 소비자와 기업이 주택담보대출 등 빚을 청산하기 시작하면 중국부터 아르헨티나까지 금융자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신흥국에 쏠려 있던 글로벌 자금이 5월 들어 썰물처럼 빠지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5월 3~9일 일주일간 선진국 주식형 펀드에 51억 5000만 달러(약 5조 5000억 원)가 순유입 됐는데, 같은 기간 신흥국 주식형 펀드에서는 15억 7000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채권형 펀드를 합하면 신흥국 펀드에서만 36억 7000만 달러 순유출됐다. 최근 국내 증시에서도 외국인의 매도 행렬이 이어졌다. 4월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2조 2040억 원을 순매도했다. 5월 들어서도 순매도가 이어지고 있다.

 

신흥국발 금융위기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아르헨티나가 8일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 아르헨티나가 구제금융을 요청한 일은 2001년 위기 이후 17년 만이다. 아르헨티나는 외환보유액이 적고 대외경기 변동에 민감해 최근의 자금 유출을 견디지 못했다. 아르헨티나 페소의 달러화 대비 가치는 5월 들어서만 10% 이상 떨어졌다. 

 

터키 리라와 러시아 루블, 브라질 헤알 등 주요 신흥국의 통화 가치도 5월 들어 꺾이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기조와 채권금리 상승으로 유동성이 위축될 수 있다는 분위기가 신흥국들을 짓누르는 셈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3년간 40달러대에서 안정적이던 국제유가가 최근 70달러선까지 치솟은 점도 글로벌 경제에 부담감을 안긴다. 한국 등 신흥국으로서는 달러와 유가 상승의 이중고를 부담해야 한다. 기업 실적 악화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내수 위축 등 경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경우 통화 당국은 긴축에 더욱 속도를 올리기 때문에 ‘인플레-긴축-소비 악화’의 흐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미 연준은 연 1.50~1.75%인 기준금리를 연말까지 2~3회 올려 2.00~2.25%, 2.25~2.50% 수준으로 맞추겠다고 밝힌 상태다.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인상 횟수를 4회로 늘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폭발적으로 상승한 미국 증시에 대한 걱정도 나온다. 미 다우산업지수는 25,000에 육박하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4배 가까이 올랐다. 나스닥지수도 7,400에 달해 10년 저점 대비 6배 수준에 도달했다. 글로벌 위기 극복을 위해 연준이 돈을 풀며 미국 본원통화 양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8000억 달러에서 4조 달러까지 부푼 영향이다. 

 

이에 비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지난 10년 평균 2.5% 수준에 머문다. 실제 부가가치 창출 능력에 비해 돈이 지나치게 많이 풀렸다는 뜻이다. 단 스트루벤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4.5%까지 오르면 미 증시는 20~25% 급락할 것으로 봤다. 미 연준이 통화량을 죌 경우 증시 하락과 그에 따른 경기 충격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최근 장기채권보다 단기채권 금리가 더 빠르게 오르는 점도 불안 요소로 꼽힌다. 미 국채 2년물과 10년물의 금리차는 지난해 말 1.25%포인트(p)에서 최근에는 0.5%p 이내로 축소됐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전인 2007년과 닷컴버블이 터지기 직전인 2000년에도 경기 불안에 단기채 금리가 급격히 올라 장기채 금리를 역전한 바 있다.

 

다만 최근 신흥국에서 이는 심상찮은 분위기가 한국에는 전염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르헨티나 등 일부 신흥국 문제는 인플레이션이 지나치게 높았고 실물 경제 기반이 취약하기 때문에 미 금리인상이 아니었어도 문제가 됐을 것”이라며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강하고 통화스와프 등을 통해 가용 외환보유액도 5000억 달러에 달해 한국에는 큰 파장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서광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부동산 인사이트] '역대급'으로 혼란한 시장, 정부는 '등대'가 돼야 한다
· [돈과법] 인격살인, 모든 몰카 범죄의 기준이 돼야 한다
· '그린북' 수정 소동 부른 '회복흐름'의 진실
· [회장님들의 집1] 2018 공시가격 순위, 삼성가 턱밑 '신세계'
· [홍춘욱 경제팩트] 미국 기업 부채, 금융위기의 뇌관 될까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