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머니

'구관이 명관 시즌2' 이주열 한은 총재 연임 막전막후

박근혜 정부 때도, 이번에도 '정통 한은맨' 장점 부각…정부 협조 지속은 '글쎄'

2018.03.02(Fri) 16:03:14

[비즈한국] 박근혜 정부에서 임명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문재인 정부에서 연임됐다. 한은 총재가 연임된 것은 한은 70년 역사에서 11대 총재를 지냈던 김성환 전 총재(1970년 5월 2일~1978년 5월 1일) 이후 두 번째 있는 일이다. 이주열 총재는 도합 8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한은을 이끌게 됐다. 특히 이 총재의 연임은 한은이 외환위기 이후 정부로부터 독립을 이뤄낸 이후 처음 있는 사례라는 점에서 더욱 눈길을 끌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임됐다. 지난해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는 이주열 총재. 사진=박은숙 기자


이주열 총재는 1977년 한은에 들어온 이후 2012년 4월 한은 부총재를 마친 뒤 한은을 떠날 때까지 35년간 한은에서 외길을 걸어온 ‘정통 한은맨’이다. 특히 조사와 국제금융, 정책기획, 통화신용정책 등 요직을 역임해 한은의 임무인 ‘물가안정’에 대한 분명한 철학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를 받는다. 

 

이 총재는 한은맨이면서도 정부와 협조가 잘 되는,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있다고도 평가를 받는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은행자본확충펀드나 시중은행 유동성 공급 등을 정부와 공조해 시장 안정을 이끌어 냈다. 

 

다만 정통 한은맨이라는 자부심과 물가안정이라는 확실한 철학으로 인해 이명박 정부 당시 김중수 전 총재와는 트러블이 있었다. 김 전 총재는 정부의 경기 부양책을 돕기 위해 저금리 정책을 오랫동안 써왔는데 이는 당시 물가 급등의 부작용을 가져왔다. 또 외부 출신인 김 전 총재는 한은에 젊은 피를 넣는다며 임원 승진 1순위인 조사국과 통화정책국 국장들을 보직 해임하고 젊은 인사들을 주요 국장에 전면 배치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했다. 

 

이에 이 총재는 2012년 4월 부총재직을 끝내고 한은을 떠나면서 퇴임사를 통해 “글로벌과 개혁의 흐름에 오랜 기간 힘들여 쌓아온 과거의 평판이 외면되면서 적지 않은 사람들이 마음의 상처를 입었다”며 김 전 총재를 정면 비판했다. 

 

이러한 비판 탓에 김 전 총재가 이 총재의 퇴임 후 길을 막으면서 한동안 고생스러운 생활을 해야 했다. 이 총재는 한은 부총재 퇴임 후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의 배려로 화재보험협회 차기 이사장으로 갈 예정이었으나 갑작스레 통보가 철회된 것이다. 이 총재는 이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고문과 연세대 경제대학원 특임교수를 지냈다.

 

이 총재는 박근혜 정부가 김 전 총재의 후임으로 지명하면 다시 ‘날개’를 달았다. 당시 여러 명이 한은 총재 후보로 물망에 올랐으나 첫 도입된 한은 총재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는 인물이 이 총재밖에 없다는 평가 덕이었다. 

 

강원도 강릉 출신에 고등학교도 원주 대성고 출신이어서 학연·지연에 얽히지 않은 데다 35년간 한은에서만 일한 덕에 별다른 뒷말이 없었던 것이 강점으로 작용했다. 이 장점은 문재인 정부에서도 통했다는 후문이다. 이번에도 여러 인사들이 물망에 올랐지만 이들 대부분 정부 여당에서 청문회 통과가 쉽지 않다는 우려가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이 총재가 문재인 정부에 들어서 정부와 경제 정책에서 박자를 잘 맞춘 것도 강점으로 작용했다. 물가안정을 내세운 이 총재는 경기 대응보다는 물가 안정을 더 중시하는 ‘매파’ 성향을 갖고 있다. 실제로 2014년 한은 총재 지명 당시부터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후 경제가 개선되지 않자 기준금리를 잇따라 내리며 통화 완화책을 썼다. 

 

이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 의장으로서 지금까지 통화정책 회의를 총 43번 주재했지만 기준금리를 올린 것은 지난해 11월 딱 한 차례다. 오히려 기준금리를 5차례나 내렸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잇단 기준금리 인상으로 기준금리 역전 우려가 커졌지만 미국을 따라 올리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는 등 경기 부양을 꾀하는 정부를 도왔다. 올해 시작과 동시에 벌써 추가경정예산을 언급하고 나서 정부로서는 알아서 도와주는 이 총재와 함께 가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셈이다.

 

하지만 이 총재가 앞으로 계속해서 정부에 협조할지는 두고 볼 일이다. 이 총재 임기 중 저금리 정책으로 인해 가계부채가 눈덩이처럼 불면서 한국 경제의 뇌관이 된 때문이다. 이 총재가 취임하기 직전이던 2014년 3월 말 1022조 4462억 원이던 가계부채는 지난해 말 1450조 8939억 원으로 급증한 상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19일 한국을 부동산거품 파열이 임박한 세계 10개국 중 한곳으로 지목하며 경고음을 보낸 바 있다.

이승현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2018 한국미술응원프로젝트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개막
· MB 형제는 '경제공동체'? 이상은·이상득·이명박 부동산 거래 들춰보니
· [CEO 라이벌 열전] '반도체 황금시대' 삼성전자 DS 김기남 vs SK하이닉스 박성욱
· 숨고르기 돌입한 부동산 시장, 정부 의도대로 가나
· "청년 디자이너에게 희망을" 신민정 라잇루트 대표 인터뷰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