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비즈

정부 조종사 양성 전력투구? 오히려“날개”꺽어

훈련공항과 공역 절대 부족, 지방이전도 곳곳이 걸림돌

2014.06.16(Mon) 14:20:18

   
정부가 대외적으로 항공조종 인력 양성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또 한편에선 국내 조종교육 환경을 더욱 악화시키는 이중적 행태를 보이고 있어 비난이 일고 있다.

민간 조종사를 양성하는 관계자들은“정부의 조종사 육성 정책은 대외적으로 잘 운영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당장 수도권 인근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대다수 훈련생들이 제대로 된 비행훈련을 할 수 있는 공항과 공역이 없는 상황"이라며 "김포공항에서의 조종훈련을 막고, 이들을 지방공항으로 이전 시키려 해 교육여건은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럴듯한 조종사 양성계획을 발표하고, 또 다른 한편에선 조종교육 여건을 이런 저런 이유로 가로막아 해외 조종유학을 부추기고 있다. 앞뒤가 맞지 않는 국내 조종사 훈련교육 실태를 알아봤다.

◆매년 140명 배출?, 실 면허취득 50명 내외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와 한국항공진흥협회(회장 김석기)는 지난 6월10일 국내 항공조종인력 양성체계를 강화하고 조종사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2단계(2014~2018년) 항공조종인력 양성사업의 훈련사업자를 선정(5월30일), 협약을 체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정부가 추정하고 있는 향후 5년간 국내 조종사 신규 수요는 연평균 455명에 달한다. 이번 계획은 기존 1차 양성사업 이후 2단계로 항공조종인력 양성사업의 훈련사업자로 선정된 학교는 한국항공대학교와 한국항공직업전문학교다. 훈련 장소는 서울에서만 편도 4시간 이상이 떨어진 경상남도 울진비행교육훈련원에서 사업용 조종사를 양성하게 된다.

정부가 밝힌 항공 조종인력 양성사업은 유휴 공항인 울진비행장 양성화의 일환으로 지난 2010년 7월 비행교육훈련원을 개원했다. 이 사업은 사업용 조종사를 양성하는 계획으로 1단계 사업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는 자체 평가다. 1단계 사업에서는 한국항공대학교와 한서대학교가 훈련사업자로 선정돼 총 140명의 사업용 조종사를 배출, 약 70%의 취업률을 보였다. 하지만 3년에 걸쳐 고작 140명만이 사업용조종사면허를 취득한 것이다.

국토부는 이후 2014년 3월부터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2단계 사업으로 한국항공대학교와 한국항공직업전문학교를 선정, 올해 6월부터 교육생을 모집해 매년 140명의 사업용 조종사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2단계 사업을 통해 국내 조종인력 양성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 세계적으로 심각하게 문제가 되고 있는 조종사 인력난을 해소하고, 글로벌 항공산업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교육현실 악화일로, 항공유학 증가

전 세계적으로 항공기 조종사 부족은 승객들의 안전을 크게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항공시장 역시 기존 조종사들의 고령화로 충분한 경험을 가진 조종사 부족은 갈수록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실제 국내 최고 시설을 갖춘 울진비행교육원에서 배출되는 사업용 조종사는 연간 40~50명에 불과하다. 지난해 울진비행교육훈련원에서 사업용조종사 면허를 취득한 A모씨는 “물리적으로 국내 비행여건의 경우 실제 비행교육을 받을 수 있는 날이 연간 180여 일에 불과하고, 훈련생이 많아 연간 사업용 면허를 취득하는 학생들은 정부가 밝힌 인원에 크게 못 미친다”며 “울진공항 이외 여타 공항에서의한 조종교육생은 "울진공항의 훈련기 부족과 훈련생이 많아 매년 140명의 훈련생을 안정적으로 양성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교육시설과 과정은 최고지만, 당장 취업을 할 수 있는 500시간의 조종사 배출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나마 울진비행훈련원이 생기기전까지는 교육 양성기반이 취약해 많은 예비조종사들이 해외(미국, 호주)기관에서 훈련을 받아왔다.

◆대체 교육시설 급해, 현장 목소리 들어야

국내 조종사 훈련 환경은 물리적으로도 해외보다 불리하며, 비용면에서도 큰 경쟁력이 없다. 우선 현재 해외 조종훈련 여건은 미국이나 호주의 경우 365일 가능하지만, 국내의 경우 기상상황이 나빠 연간 비행훈련일수도 1/2인 180여일에 불과하다. 특히 군 공항이 많아 민간 조종사 훈련할 수 있는 공항과 공역도 적어 훈련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여기다 최근 세월호 참사이후 대다수 훈련생이 밀집해 있는 수도권 공항인 김포공항은 민간 훈련용 항공기 이착륙을 제한하면서 훈련 여건이 악화, 조만간 훈련자체도 어려워질 전망이다.

민간 조종사교육원 관계자는 "정부가 당장 비행훈련을 금지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조종사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밝히는 것은 이중적 행태"라며 "대안은 없이 조종사를 육성하겠다고 눈 가리고 아웅 식의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한편 김포공항을 이용하던 훈련용 경항공기들은 지방이전에도 발목이 잡히고 있다. 수도권에서 가까운 양양국제공항의 훈련용 경항공기 이전 계획도 크게 위축되고 있다. 강원도는 현재 훈련용 경항공기가 하루 수백회씩 이착륙 훈련으로 소음에 따른 주민 피해가 가중되면서 평창동계올림픽 여객 수송에도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강원도 역시 서울지방항공청과 한국공항공사에 공식 반대 입항공업계 관계자는 "당장보다 향후 조종사 수급이 더 문제며, 교육여건이 파격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한 해외로의 조종교육을 위한 유학생들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2011년 이후 다수의 민간 대학을 중심으로 항공 조종인력 양성을 위한 항공운항학과가 2개에서 11개로 확대 개설되고 있으나 활주로 등 훈련시설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당장 수도권 인근에 훈련공역 확보와 경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한 활주로를 갖춰야 한다"며 "초기 훈련용 시뮬레이터도 공군 위주로 정부에서 지원하고, 민간 조종훈련기관에 대한 지원은 전혀 없이 각종 규제와 소몰이 하듯 지방 이전을 종용하는 것은 조만간 국내 항공안전을 크게 위협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정우 기자

jwson@bizhankook.com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