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글로벌

세계 최초 '살아있는 유산균' 개발 '일본 야쿠르트'의 장수 비결은?

용기와 '야쿠르트 아줌마'는 그대로, 품질은 끊임없이 연구 개선

2018.01.15(Mon) 16:02:13

[비즈한국] 매년 수만 개의 신제품이 쏟아져 나온다. 급변하는 시장에서 살아남기란 하늘의 별 따기. 아예 빛을 못 보고 사라지는 제품도 부지기수다. 한편으로는 그런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장수하는 제품이 있다. 시대의 흐름을 잘 읽어 때로는 신중하게, 때로는 대담하게 변신을 거듭한 덕분이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일본의 롱셀러제품 야구르트다. 브랜드의 탄생부터 현재까지 야쿠르트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본다. 

 

야구르트 창업자는 일본의 의학박사인 시로타 미노루(1899~1982)다. 시로타가 교토대학교 의대생이던 1920년대는 콜레라와 이질 같은 감염증으로 많은 아이들이 목숨을 잃는 시대였다. 이러한 상황이 안타까웠던 시로타는 예방의학적 미생물 연구에 매진하게 된다. 그러던 중 유산균이 장내 유해균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1930년 세계 최초로 ‘살아서 장까지 가는 유산균’ 배양에 성공한다. 오늘날 ‘시로타 균주’라고 불리는 유산균이다.

 

야쿠르트는 요거트를 뜻하는 에스페란토어 ‘야후르토’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1968년부터 쓰고 있는 병 디자인은 일본의 전통 목각인형을 본뜬 것이다. 사진=야쿠르트 광고 캡처


이후 시로타는 사람들이 쉽게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도록, 싸고 맛있는 유산균 음료를 제품화하기로 마음먹는다. 그리고 1935년 ‘야쿠르트’라는 이름의 신선한 제품을 세상에 내놓았다. 야구르트는 요거트를 뜻하는 에스페란토어 ‘야후르토’에서 이름을 따왔는데, 발음하기 쉽도록 변형시켜 만든 말이다.

 

흔히 야쿠르트 하면, 허리가 잘록하고 한 손에 쏙 들어오는 독특한 병 모양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대표적인 이 디자인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초창기 디자인은 유리병이었다. 1963년부터 새로운 용기 개발이 시작돼 5년 뒤 플라스틱 용기로 리뉴얼했다. 디자인은 유명한 산업디자이너인 겐모치 이사무가 맡았다.

 

당시 야쿠르트사가 요청한 조건은 크게 2가지다. 먼저 외형적으로는 친숙하면서도 오래 봐도 질리지 않는 디자인일 것, 그리고 식탁에 놓았을 때 잘 어우러지는 모양이길 바랐다. 또 다른 조건은 마시기 편할 것, 하지만 ‘한입에 마실 수 없는 구조였으면 좋겠다’는 기능성을 요구했다. 겐모치는 이 조건들을 수렴해 일본의 전통 목각인형을 본뜬 디자인을 선보였다.

 

용기는 가운데가 잘록해 손에 쥐기 편하고, 기울여도 한꺼번에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아 조금씩 음미하면서 마실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특히 중점을 뒀던 부분은 누구나 기억하도록 수십 년이 지나도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었다. 의도는 잘 맞아 떨어졌다. 야쿠르트 플라스틱 병은 리뉴얼 없이, 지금도 계속 사용 중이기 때문이다. 2011년에는 입체 상표로 특허청에 등록되기도 했다. 특정 상품의 용기가 상표로 인정받은 것은 코카콜라에 이어 두 번째다.​

 

야쿠르트 창업자 시로타 미노루. 의학박사인 그는 싸고 맛있는 유산균 음료를 생산해 사람들이 쉽게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게 했다. 사진=야쿠르트 홈페이지


야쿠르트 용량은 65ml. 여기에도 숨겨진 비밀이 있다. 유산균 음료를 마시면 장내 세균 밸런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데, 포인트는 매일 마셔야 한다는 점이다. 야쿠르트는 적은 양이라 늘 아쉬움이 남지만, 그래서 질리지 않고 또 마시고 싶다. 야쿠르트 섭취를 습관화하는 데는 최적화된 용량인 셈이다.

 

80여 년 전 야쿠르트가 세상에 나왔을 때로 잠시 시간을 거슬러 가보자. ‘균’이라고 하면 으레 병원균이 연상돼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가 허다했다. 이로 인해 야쿠르트사는 유산균의 가치를 시민들에게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판매법이 필요했다. 고심 끝에 상품 특성을 숙지한 판매원이 방문 판매하는 방식을 택하게 된다.

 

1963년에는 ‘주부 판매 시스템’이라는 독자적인 방식도 도입했다. 이른바 ‘야쿠르트 아줌마’에 의한 배달이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시로타 박사가 제안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시로타 박사는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주부가 야쿠르트의 가치를 전달한다면 가사와 일을 양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더 많은 이들의 건강을 지키는 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의 예상은 적중했고, 이 판매법은 지금도 ‘주부 일자리 창출’의 모범사례로 뽑힌다.

 

야쿠르트는 1964년 대만 진출을 시작으로 현재 전 세계 38개국에서 제조·판매되고 있다. 흥미로운 건 다른 나라에서도 야쿠르트 아줌마가 배달하는 방식을 고수한다는 점이다. 일본에는 약 3만 6000명, 해외의 경우 4만 5000여 명의 야쿠르트 아줌마가 근무 중이다. 한마디로 걸어 다니는 소비자 대응센터라 할 수 있다. 나이 제한이 없기 때문에 2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하며, 50년 장기 근속한 주부도 있다고 한다. 

 

38개국에서 제조·판매되는 야쿠르트는 야쿠르트 아줌마가 배달하는 방식을 고수한다. 일본에 약 3만 6000명, 해외에 4만 5000여 명의 야쿠르트 아줌마가 있다. 사진=야쿠르트 광고 캡처


장수제품인 만큼 일본에서 야쿠르트 인지율은 90%를 넘는다. 다만, 어린 시절 마셨던 음료로 인식하는 이들이 많다. 실제로 야쿠르트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해보면, ‘아이의 건강음료’ ‘추억’ ‘그립다’와 같은 답변이 적지 않다. 그래서 최근 성인을 타깃으로 한 광고에 힘을 싣고 있다.

 

야쿠르트는 낱개 판매의 경우 야쿠르트 아줌마를 통해서만 구입이 가능했다. 하지만 가게에서 구입해 즉시 마시고 싶다는 요구가 많아 2015년부터는 편의점, 슈퍼마켓용 제품 ‘매일 마시는 야쿠르트’를 선보였다. 용량을 100ml로 늘렸고, 디자인도 매장 진열에서 제일 돋보일 만하게 새롭게 바꿨다. 이 같은 업태 차별화 전략으로 ‘매일 마시는 야쿠르트’ 판매는 호조를 보이고 있다.

 

올해로 야쿠르트사는 창업 83주년을 맞는다. 오래 사랑받는 장수 브랜드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터. ‘닛케이트렌디’는 “야쿠르트 본사만큼 연구논문을 많이 발표한 회사도 없다. 특히 야쿠르트라는 독보적인 히트상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개량에 개량을 거듭해온 사실이 칭찬할 만하다”고 평했다. 2016년 야쿠르트 본사는 최신예 연구시설 ‘야쿠르트 중앙연구소’를 완성했다. 앞으로도 창업자 시로타 박사의 탐구심을 계승 발전시키겠다는 방침이다.

강윤화 외신프리랜서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암호화폐-코스닥 '디커플링'에 숨은 정부의 '복심'
· [홍춘욱 경제팩트] 4차 산업혁명, 제조업 4.0을 외치는 이유
· [부동산 인사이트] 지금 서울 부동산은 철저한 실수요 시장이다
· [탐식다반사] "청어·꽁치 반반에 야채 추가요" 갯바위수산 과메기
· [밀덕텔링] 비상하는 해병 항공단, 예산과의 전쟁을 준비하라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