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Target@Biz > 아젠다

[한국미술응원 프로젝트 2018] 최형주-동서양을 융합한 현대문인화

2017.12.05(Tue) 10:16:54

[비즈한국] 세 번째 시즌을 맞은 ‘한국미술응원 프로젝트’는 한국미술 응원 개념에 더 충실하기 위해 소외돼온 작가와 흐름을 조명하는 데 더욱 적극적으로 초점을 맞춘다. 현재 우리 미술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경향-팝아트, 재료와 기법의 다양한 개발, 순수한 미감의 재해석 등-에서 역량 있는 작가 발굴은 기본으로 하면서, 우리 미감을 현대화하는 분야의 작가 발굴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는 한국미술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소명이라는 생각에서다. 특히 2018년 세 번째 전시회에서는 관람객들과 더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작가와의 대화, 작품 시연, 작품 해설, 소품 특별전의 확대 등을 계획하고 있다.

 

조선시대는 문인이 주도한 사회였다. 선비 덕목 중에도 글 짓는 재주(詩)를 맨 앞자리에 두었고, 생각한 글을 표현하는 붓글씨 솜씨(書)를 다음 자리에, 그리고 그림 그리는 일(畵)은 남은 재주를 풀어내는 것으로 여겼다. 이런 탓에 조선시대 회화 중에는 문인들이 그린 그림이 많이 남아 있다. 이를 ‘문인화’라 부른다. 중국 영향에서 자라난 문인화는 조선 말 추사를 중심으로 북산, 고람 같은 이들에 의해 신감각 산수라는 독보적 회화를 일구었다. 따라서 문인화는 우리 그림의 중심에 있었다.

 

오늘에 이르러 우리는 문인화를 버리고 있다. 한국미술 근간을 허무는 일로 자기 부정의 역사를 쓰고 있는 셈이다. 현대미술이라는 명분으로. 최형주는 이런 세태를 뒤집는 통쾌한 예술을 추구한다. 문인화의 혁신을 통해 한국 회화의 새로운 길을 모색한다. 필묵의 힘과 색채 감각 그리고 서양의 구성 방식을 융합해 최형주식 문인화를 보여준다.

 

열정: 138×75cm 한지에 수묵담채 2017

 


그러면 그의 문인화는 기존의 것과 어떻게 다를까. 

 

그의 그림을 보면 필력 좋은 작가가 먹으로 그린 추상화처럼 보인다. 물론 문인화의 기본 소재인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의 형상은 변형된 모습으로 스며들어 있다. 그런 형상은 붓의 힘을 담뿍 담은 구성의 중심 요소로 드러난다. 이는 문인화의 소재를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지는 창작의 구심점으로 삼으려는 작가의 생각에서 나온다. 자연 형상에서 기하학적 구성 요소를 찾으려 했던 서양 추상회화의 출발점과 같은 맥락이다. 

 

그리고 배경의 추상적 붓질에 의해 화면에서 다양한 움직임이 나타난다. 작가는 ‘자연 속의 형상이 보이지 않는 기운-물리적으로는 바람 같은-과 화합해 생명 에너지로 보인다’는 생각을 그렸다고 한다. 

 

그의 그림을 현대 문인화로 부르는 데는 서예의 필법을 바탕에 깔고 있기 때문이다. 서예는 일정한 구성을 염두에 두고 밑 작업 없이 한 번에 조형을 완성하는 예술이다. 서예의 예술성은 서양미술에서도 관심의 대상이었다. 1950년대 유럽과 미국에서 나타난 새로운 추상미술운동 중 타시즘이 있다. 작가의 자유로운 붓놀림을 중히 여기는 경향이다. 필력과 거친 붓 터치, 붓에서 떨어져 생긴 점 등으로 그림을 만드는 방법이다. 종이에 붓으로 글씨를 쓰듯 밑그림 없이 한순간에 무엇인가를 그려내는 것이다. 따라서 작가의 숙련된 손놀림과 순식간에 빈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직관력 없이는 불가능한 그림이다. 서예의 기본인 직관적인 제작 태도를 서양에서 따라한 셈이다. 그래서 타시즘을 ‘서법적 추상’이라고도 부른다.​

 

Drawing-盜(훔칠 도): 35×46cm 한지에 수묵담채 2017(위), 探道(탐도)-方(모 방): 35×45cm 한지에 수묵담채 2016.

 

 

그의 작업은 서예의 필력을 바탕으로 한 직관성과 서양의 계획적 구성력이 절묘한 융합을 이룬 결과다. 문인화의 전통적 요소에 서양의 조형적 구성 법칙을 접목한 최형주식 문인화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전준엽 화가·비즈한국 아트에디터​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청년변호인] 대법원 판례 바로잡겠다는 '패기'에 판사의 반응은?
· [클라스업] 미중년이 되려면 가까이해야 할 사람들
· [홍춘욱 경제팩트] 워런 버핏에게 다시 듣는 투자의 기초
· "비트코인 7300억 원어치 보유" 아이카이스트 김성진 옥중 편지 단독입수
· [한국미술응원 프로젝트 2018] 김영운-켜켜이 쌓인 시간을 그리다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