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귀농귀촌진흥원 유상오 원장 |
최근 귀농귀촌으로 농촌사회가 변하고 있다. 2009년 정부의 귀농귀촌종합대책 마련 이후 귀농귀촌인들은 매년 증가했다. 2013년에는 귀농 종주국 일본을 추월해 3만2천 세대 5만6천명으로 역대 최고이다. 귀농귀촌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7년경 약 4만 5천 세대, 8만 명 전후로 안정화될 것이다.
무엇이 50년 이상 지속된 산업화와 이촌향도를 무너트리고, 도시에서 농촌으로 떠나는 이도향촌(移都向村)을 만들었나. 전문가들은 은퇴 이후 경제적 불안, 전원생활의 동경, 고령의 가족과 결합, 일과 건강의 양립, 생명농업의 선호 등 다양한 이유를 제시한다.
1990년부터 현재까지 30만 명 정도가 농촌으로 이동했다. 대규모 인구 이동의 결과 농촌은 과거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더 이상 농업 중심의 획일화된 농촌이 아니다. 단순 1차 산업에서 가공과 서비스, 유통, 농촌관광이 결합한 6차 산업으로 무장하고 있다. 귀농귀촌한 도시민은 도농융복합(融複合)을 시도한다. 즉, 도시의 기술, 지식, 경험과 농촌의 전통, 농업기술, 휴양, 환경 등을 융합해 새로운 맹아를 키농촌으로 가는 개척자들은 디지털과 디자인, 다이내믹으로 무장한다. 소위 농공상 융합화에 여가, 경관, 친환경식품, 교육, 힐링, 직거래 등이 가세해 과거에 볼 수 없는 일자리를 만들고 있다. 귀농귀촌으로 도농융합의 길을 열렸다. 이것은 국토개조와 공간산업 활성화, 내수경기를 살리고 있다. 덤으로 일자리창출과 마을 단위 자조적 복지가 이루어진다.
2009년 이후 귀농귀촌이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은퇴 이후 행복한 생활을 위해 시골을 선택하고 있다. 이들은 경제적으로 지속불가능한 도시생활의 대안 모색을 농어촌에서 찾는다. 또 평생 경제적 자립과 자력갱생의 실현을 농촌에서 시도하고 있다. 한마디로 남에게 폐 끼치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가려는 애국애족이다. 하지만 국가가 귀농귀촌인들에게 제공하는 정책은 미미하다. 약간의 정보제공과 귀농 전 단계 교육, 현장지원실습 등이 전부이다. 실상을 보면 2013년 귀농귀촌한 사람의 5%정도가 귀농 전 단계 100시간 교육을 이수했다. 또 전체 귀농귀촌인의 2% 정도가 선도농가에서 현장실습을 지원받았다. 교육과 훈련이 없는 귀농귀촌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국가는 준비된 귀농귀촌인들을 농촌으로 내려 보내는 장기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자신이 도시에서 해 오던 일과 농업, 농촌, 농민이 결합할 수 있도록 직업융합교육과 훈련이 요구된다. 이웃 일본은 도시민을 대상으로 시골 마을에 최초 방문하고 재방문해 후원자가 되도록 유도한다. 이들이 원주민과 호흡하는 과정에서 준주민이 되고 귀농귀촌 후에 정주민이 되도록 돕는다. 10여년 이상 시간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우리 정부도 번갯불에 콩 굽는 방식이 아니라 지역에 적응하고 자립과 안착을 도울 수 있는 그랜드 디자인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정부정책은 도시에서의 정보제공과 사전교육, 농촌 이주 후 전문품목 교육과 현장지원실습으로 일관해 왔다.
이것으로는 세계금융자본주의에 익숙한 디지털 노마드에게는 부족함이 많다. 현장실습이후 작목의 재배, 가공, 유통, 마케팅에 관련된 전문훈련이 요구된다. 또 훈련된 전문농업인을 평가하고 컨설팅해서 스스로 브랜드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귀농귀촌인들이 성공브랜드를 만들면 마을과 주민이 협력형 소득사업을 할 것이다. 20세기 중반 시들었던 경제와 문화가 다시 꽃 피울 것이다.
한국귀농귀촌진흥원 유상오 원장
chosim34@bizhank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