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에버그린 콘텐츠’란 상록수처럼 푸른 콘텐츠. 1일 뒤에도 읽히고, 1년 뒤에도 읽히고 10년 뒤에도 읽힐 콘텐츠를 말한다. 시대가 바뀌었으니 ‘읽힐’ 콘텐츠보단 ‘소비’되는 콘텐츠라 표현하자. 글을 읽고, 사진을 보고, 영상을 시청하는 모든 개념은 결국 ‘소비’로 귀결된다.
에버그린 콘텐츠의 자격은 뭘까 심각하게 고민했다. 사회에 의미를 주는 콘텐츠가 기본이겠으나, 요즘 사회는 너무 자주 빠르게 바뀐다. 내 세월호 댓글 읽는 영상이 1년이 지난 지금도 공유가 되고 있으나, 이는 세월호 참사 3주기라는 이벤트가 영향을 줬다. 운 좋게 에버그린 콘텐츠가 됐으나, 안정적이지 못하다.
콘텐츠 제작자의 가장 큰 고민은 ‘어떻게 하면 안정적으로 우리만의 시그니처이자 에버그린 콘텐츠를 만들까’에 있다. MIC, 리파이이너리29(refienery29), 버즈피드(buzzfeed), AJ플러스(AJ+), 나우디스(nowthis), 나이스게임TV, 온게임넷 등 온갖 방송을 본 결과 나온 답은 바로 ‘포맷’이다. 영상의 포맷만 개발한다면 시그니처가 되어 에버그린 콘텐츠 생산에 반은 먹고 들어간다.
자체 포맷은 곧 자체 시그니처가 되고, 자체 시그니처 포맷은 특정 소재에 국한되지 않고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릇 하나만 사면 어떤 재료든 담을 수 있다. 72초 TV가 흥한 것도 결국 모바일 시장에 맞는 포맷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 포맷은 어때야 할까. 72초처럼 새로운 기원을 만들어야 하나? ‘쿠르쯔게자크트-인 어 넛쉘(Kurzgesagt – In a Nutshell)’처럼 ‘오지게’ 모션을 넣어야 할까?
그렇게 어렵게 할 필요 없다. 어렵게 할 자신도 없고, 능력도 없다. 가장 기본적이고 에버그린한 포맷은 바로 ‘사람’이다. 스피커(출연자)의 캐릭터를 만들고, 그 캐릭터가 가장 잘 나타날 수 있는 포맷(브리핑, 엔터테인먼트)을 잡고, 소재(시사, 패션)를 다루게끔 한다. 즉, 스피커에 맞는 시그니처 콘텐츠를 제작한다.
시그니처 콘텐츠만 제작되면, 사람 자체가 포맷이 된다. 송강호가 ‘박쥐’에서 사람의 피를 빨고, ‘괴물’에서 딸을 잃어도, ‘하울링’에서 개를 쫓는 형사가 되어도 결국은 ‘송강호’인 것처럼 말이다. 역할이 소재라면, 배우는 포맷이다. 사람 자체가 포맷이 되니, 고정팬이 생긴다. 기존 에버그린 콘텐츠가 조회수로 증명된다면, 새 시대의 에버그린 콘텐츠는 결국 팬층으로 증명된다.
이는 경험적으로 증명된 사실이다. 버즈피드 같은 경우 특정 출연자를 키워주고, 그 출연자의 독자적 채널을 만든다. 버즈피드 스타가 곧 포맷이자 채널이 되는 셈이다.
포맷이 에버그린 콘텐츠의 생명이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한다. 새 시대의 에버그린 포맷은 결국 사람이다. ‘넌 is 뭔들’이라는 말처럼, 그 ‘스피커 is 뭔들’이라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스피커를 키워야 한다. 그 스피커가 잘 다룰 수 있는 소재가 무엇인지, 스피커를 도드라지게 만들 수 있는 기초 영상 포맷은 무엇인지 개발하는 게 기본이다.
구현모 알트 기획자
writer@bizhankook.com[핫클릭]
·
삼성 '갤럭시S8' 구형 무선충전기서 오작동 논란
·
LG전자 G6가 '선점효과 오류'에 빠진 까닭
·
홍성열 마리오아울렛 회장이 '박근혜 자택'을 산 까닭
·
IDS홀딩스 범죄수익이 '조희팔 사건'의 두 배인 이유
·
[단독] 박근혜 새 주소지가 '대구 아파트'로 간 까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