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덕후

[밀덕텔링] ‘밀덕’이 분석한 북한 북극성2호 미사일의 성능과 한계

고체연료 장점 있지만 액체연료만큼 멀리 못 날아…궤도차량 때문에 미사일 길이 제한

2017.02.14(Tue) 18:26:10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고 난 뒤, 북한의 동향에서 가장 촉각을 곤두세운 부분은 미사일 발사 테스트를 언제 하느냐였다. 북한은 과거부터 미국과의 협상 카드로, 또는 긴장 조성을 위한 미사일 도발을 사용하며 워싱턴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고, 자신들의 존재감을 과시했다.

 

북극성 2호를 지켜보는 김정은. 사진=조선중앙통신 KCNA


이 때문에 북한이 상당히 오랜 기간 미사일 발사를 준비한다는 소식이 들렸다. 지난 1월 15일경부터 북한에 새로운 디자인의 ICBM이 있으며, 이 미사일의 길이는 15m라는 뉴스가 여러 채널을 통해서 흘러나왔다. 일부 언론들은 매티스 미 국방장관이 방한했던 지난 주 발사실험이 이뤄질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에서는 미사일 추적 전문 함정(‘USNS Howard O. Lorenzen’)을 부산항에 입항시켰다. 한·미 국방당국 모두 북한의 신형 미사일 발사를 기정사실화하고 대비한 셈이다.

 

예상은 조금 빗나가 매티스 장관이 떠난 주말인 지난 12일 일요일 북한은 미사일을 발사했다. 500km를 비행한 이 미사일에 대해 처음에는 여러 추측이 난무했다.  500km는 스커드와 같은 단거리 탄도탄의 최대 사정거리다. 또 무수단과 같은 중장거리 미사일이 고도를 높여 사거리를 줄이는, 일명 LOFT 궤도를 통해 만들 수 있는 최소 사거리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미사일에 대한 정보가 많아지면서 언론들은 혼란에 빠졌고, 여러 분석이 분분한 하루가 지나갔다. 13일 월요일이 되자 북한은 노동신문 1면 기사를 통해 신형 미사일의 정체와 내용을 설명했다. 

 

북한이 공개한 내용을 종합하면 이 미사일은 KN-11, 즉 북한이 작년 신포급 잠수함에서 발사한 잠수함 발사 탄도탄(SLBM)을 지상에서 쏠 수 있도록 개조한 것이다. 비행거리는 500km로 짧지만, 고도 정점이 500km에 달해 최대 사거리는 1200km에서 2000km 사이로 평가할 수 있다. 북한은 이 미사일을 ‘북극성 2호’라고 불렀다.

 

발사차량도 지금까지 공개된 것이 아니었다. 기존의 발사차량이 바퀴식인 것과 달리, 이번 북극성 2호는 무한궤도를 장착한 차량에서 발사되었다. 북극성 2호와 그 발사차량은 한국의 ‘킬체인’(적을 무력화하기 위해 표적을 탐지하고 공격하는 과정) 전술을 어렵게 만들기 위해 북한이 심혈을 기울인 무기라고 할 수 있다. 왜 그럴까?

 

첫 번째 이유는 북극성 2호가 고체연료 로켓을 사용한 미사일이라는 점이다. 지금까지 북한의 중장거리 탄도 미사일은 전부 액체연료 미사일이었다. 가장 대표적인 액체연료 미사일인  ‘스커드’와 ‘노동’은 발사 전 연료를 주입해야 한다. 

 

주입시간이 길기 때문에 사전에 발사 징후를 탐지하기 쉽다. 연료를 미리 채워두고 2~3일간 대기할 수 있지만, 오래 보관하면 연료의 산화작용으로 발사가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고체연료의 경우 연료 주입 절차가 인공위성이나 정찰기에 탐지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연료 주입 시간 동안 위성탐지가 용이한 액체연료 미사일에 비해 고체연료 미사일은 정찰로 탐지하기가 쉽지 않다. 사진=조선중앙통신 KCNA


두 번째는 궤도식 발사차량이라는 점이다. 발사차량이 존재하는 이유는 미사일을 노리는 적에게 들키지 않고 이리저리 숨고 옮겨 다니기 위함이다. 1차 걸프전 때 이라크군은 수십 대의 전투기와 특수부대, 공격헬기를 동원한 ‘스커드 헌팅’ 부대로부터 스커드 미사일 발사대를 상당수 지키는 데 성공했다. 

 

같은 이유로 북한도 이동식 발사대를 선호하지만, 문제는 북한의 도로가 무척 열악하다는 것. 바퀴로 가기 힘든 지형이나 지역은 궤도차량으로 움직일 수 있다. 우리의 정보 자산으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대 이동을 추적하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이번 북극성 2호의 출현으로 우리의 킬체인 전력은 적을 추적하기 더 어려워졌고, 발사 준비를 포착하는 시간은 더욱 짧아졌다. 여러 전문가들이 북극성 2호 출현에 경계를 보내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하지만 북극성2호가 가진 여러 한계점도 보인다.

 

첫 번째 문제는 사거리다. 고체연료 로켓은 발사 징후를 숨기기는 용이하지만, 사거리를 늘리는 것이 어렵다. 액체연료 로켓이 더 큰 추력과 긴 사거리를 내기 때문이다. 액체연료 로켓과 고체연료 로켓은 개발의 노하우도 상당히 다르다. 

 

북극성 1호와 북극성 2호의 사거리는 최대 3000km로 추정되지만, 보수적으로 1200km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많다. 북한이 20년 전 시험 발사한 노동 1호 미사일의 사정거리에서 발전이 없는 셈이다. 고체연료 로켓을 개발하는 예산이 커지는 만큼, 미국을 노릴 수 있는 액체연료 미사일의 개발과 생산이 늦어지는 문제도 있다. 북한이 상당한 준비와 예산이 필요한 북극성 미사일을 만들기로 한 이상, 미국을 노리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의 실용화는 더 늦어질 수 있다.

 

두 번째는 궤도식 트럭이 만능이 아니라는 것이다. 궤도식 차량은 50년 전 구 소련이 실용화한 SS-14와 SS-15 미사일에 적용됐다. 당시 구 소련은 60톤에 가까운 T-10 중전차의 차체에 미사일을 실었다. 

 

속도가 느리고 연비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바퀴식 차량보다 고장도 빈발하다. 더 큰 문제는 길이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었다. 바퀴식 차량은 핸들을 돌려 바퀴의 방향을 조절한다. 궤도식 차량은 좌우 궤도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이 때문에 궤도식 차량은 길이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자연스럽게 미사일의 크기와 길이도 제한된다. 

 

북극성 2호는 약 10m 길이인데, 15m는 넘겨야 미국 알래스카에 닿을 수 있다. 액체연료 중거리 탄도탄인 KN-08의 경우 길이가 19m에 달한다. 

 

무궁화 2호는 무한궤도 차량에서 발사됐다. 사진=조선중앙통신 KCNA


킬체인과 KMPR(대량응징보복)은 북핵 대응의 핵심 요소이다. 하지만 북한 미사일을 찾아내 파괴하는 데 드는 비용이, 북한이 미사일을 숨기고 발사 징후를 가리는 데 드는 위장비용보다 비싼 것이 명확해지고 있다. 새로운 기술과 창조적인 발상이 필요한데, 현실적으로는 두 가지 기술혁신으로 북한 미사일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첫 번째는 드론(무인항공기) 기술의 활용이다. 우리는 미국에서 글로벌 호크라는 대형 무인기를 도입할 예정이고, 정찰 용도로 백여 대의 무인항공기가 군에 운용되고 있지만, 현재의 기술과 장비로는 북한의 산악지대에서 이동하는 미사일 발사대를 탐지하기 어렵다. 

 

유사시 특수작전부대가 적진 근처까지 실어 나를 정도로 작으면서도, 넓은 범위를 수색할 수 있는 소형 드론을 고려해볼 만하다. 민간용 드론 중 가장 고급에 속하는 DJI 드론의 경우 비행시간이 20여 분에 불과한데, 이런 한계를 극복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적의 미사일 공격을 IT 기술로 극복하는 것도 필요하다. 미사일을 방어할 수 있는 견고한 벙커는 현대전에서 의미가 크지 않다. 핵 무기가 사용된다면 더욱 그러하다. 발달된 IT 기술은 넓게 분산된 아군을 개미떼처럼 정확히 지휘할 수도 있을 것이고, 중요한 적의 목표물인 지휘소 그 자체를 없앨 수도 있을 것이다. 

 

중계소와 대형 통신 장비가 필요한 네트워크 대신, 개개인이 무전기이자 무전기 중계소가 되는 기술들은 미래전에서 적의 미사일 공격에 부대가 붕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군의 냉철한 판단과 치열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민석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핫클릭]

· [밀덕텔링] 트럼프도 반하게 만든 미국 해병대의 싸우는 방법
· [밀덕텔링] ‘싸지방’에서 즐기는 FPS 게임이 온다
· [밀덕텔링] 중국의 공중 도발행위, 막을 수 있을까?
· [밀덕텔링] 북한판 참수부대의 능력은 어느 정도일까
· [밀덕텔링] M16·AK-47 이후 50년, 개인화기의 혁신은 이뤄질 것인가?
· [밀덕텔링] 지상전 핵심전력, 소형무장헬기 사업의 부침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